식물검색표

봄망초와 주걱개망초

by 카르마 posted Jul 20,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이상태검색집에는 개망초속이 따로 분리되어있지 않고 망초속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9. 망초속 Erigeron
1. 頭花는 원줄기 끝에 한개, 지름 3-4cm, 연한 자홍색(백두산 지역 고산) --------- 1. 구름국화
1. 두화는 액생 또는 원추-상방상, 지름 2cm이하, 백색-연한 자주색
 2. 頭花는 1개씩 액생한다.
  3. 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 2. 민망초
  3.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친다 -------------------------------------------- 3. 산민망초
 2. 두화는 원추-산방상이다.
  4. 잎은 선형이다 ------------------------------------------------------ 4. 실망초
  4. 잎은 피침형-도피침형이다.
   5. 周邊花의 舌狀花瓣이 筒部보다 길다.
    6. 근생엽은 난형, 꽃필때 소실. 경엽기부는 초상이 아니다. 두화는 개화전에 하향 - 5. 개망초
    6. 근생엽은 피침형, 꽃필때 숙존. 경엽기부는 초상이다. 두화는 개화전 상향 --- 6. 대구망초
   5. 주변화의 설상화판이 통부보다 짧다.
    7. 잎은 연녹색, 가장자리와 뒷면에 유모. 설상화 백색. 총포는 폭 2.5mm --------- 7. 망초
    7. 잎은 진녹색, 양면 특히 뒷면에 밀모. 설상화 연한 갈색. 총포는 폭 3.5mm ---- 8. 큰망초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망초속과 개망초속이 분리되어있고
개망초속에 7종이 등재되어있습니다.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
구름국화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A.Gray) Hara var. glabratus
민망초 Erigeron acris L.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L.
산민망초 Erigeron acris var. kamtschaticus (DC.) Herder
주걱개망초 Erigeron strigosus Muhl.
흰구름국화 Erigeron thunbergii subsp. glabratus for. albiflorus Y.N.Lee

하지만 영문자료에는 봄망초, 산민망초, 및 흰구름국화가 빠져있습니다.

1. 설상화와 중심화의 관모 길이가 똑같다.
  2. 두화의 지름이 2cm 미만,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배열한다. 가장자리의 소화는 이형성(二形成)으로 설상 또는 통형이다.
  .............................. E. aster(민망초)
  2. 두화의 지름은 3-3.5cm로 1개이다. 가장자리의 소화는 설상으로 한가지만 있다.
  .............................. E. thunbergii subsp. glabrate(구름국화)
1. 설상화의 관모가 중심화의 그것보다 짧다.
  3. 경생엽은 난형 또는 도란형, 거친 선모가 있는 거친 톱니모양. 두화의 직경은 2cm.
  .............................. E. annuus(개망초)
  3. 경생엽은 주걱형피침형 또는 선상피침형, 톱니가 없고 털이 거의 없다. 두화 직경은 1.5cm.
  .............................. E. strigos(주걱개망초)
 
민망초구름국화는 백두산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이다보니 우리가 접하기 쉽지않은 식물일테니 논외로하고...
개망초와 주걱개망초가 문제인듯 합니다.

개망초는 거친선모와 거친 톱니가 있고 꽃이 조금 큰편입니다.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1촬영일자2008:05:23 13:10:55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60/10조리개 최대개방4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1944 X 2592한가지 주의사항은 개망초도 상부경생엽은 톱니가 없거나 선모가 없어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OLYMPUS IMAGING CORP. 카메라모델명SP560UZ 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08:10:07 12:31:11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40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984/100조리개 최대개방297/100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853 X 640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아랫쪽 경생엽은 톱니가 있고 선모도 있습니다.

주걱개망초는 톱니도 없고 선모도 없고 꽃도 좀 작은 편입니다.
물론 자료에 따라서 털이 거의없다, 또는 굽은 짧은털이 있다.등으로 표현되기는 하지만 얼핏보면 털이 없어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털이 있는 것이 주걱개망초입니다.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0:06:26 16:40:41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64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8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5616 X 3744
EXIF Viewer자료에는 주걱개망초가 경기도(서울,여주)에 국한되어있는 것으로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수원을 비롯한 경기서남부쪽에서도 자주 목격되는 것같습니다.


이쯤에서 궁금해지는 것이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L.)입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올라있고 풀베개의 자료에도 이미 등재되어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 & 전의식, 1980)에 처음 등재되었고
혹씨나 하는 마음에 일본쪽 자료(日本の外來生物 / 自然環境硏究センタ- 編著 ; 多紀保彦 監修, 平凡社, 2008)을 확인해보았습니다.
일본에서는 1920년대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다고 기록되어있습니다.
개망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줄기속이 비어있다는 것과 설상화의 숫자가 훨씬 많다(봄망초 : 150-400개) 입니다.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5:22 10:26:07감도(ISO)8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0조리개 값f/2.7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5:22 10:30:40감도(ISO)8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400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53/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