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정보 및 용어

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

by 카르마 posted Apr 02,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1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06:04:02 22:52:17촬영자Soonjae Kim M.D.감도(ISO)250촬영모드Manual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22.0촛점거리180/1노출보정0/1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800 X 535원본사진 크기2464 X 1648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1D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06:04:02 23:07:13촬영자Soonjae Kim M.D.감도(ISO)250촬영모드Manual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22.0촛점거리180/1노출보정0/1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800 X 535원본사진 크기2464 X 1648
어떤 책을 보면 개나리를 자웅이주라고 적어놓은 책이 가끔 있더군요.
하지만 이는 명백한 잘못입니다.

위의 두개의 사진처럼 개나리는 꽃하나에 암술과 수술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화입니다.
위쪽의 사진은 암술의 길이가 긴 장주화(長柱花)이고 아래는 암술이 짧은 단주화입니다.
장주화의 경우 암술이 수술보다 훨씬 길어서 금방 눈에 띄지만 단주화의 경우 암술이 짧아서 수술 아래에 처박혀 있어서 돋보기등으로 자세히 보지않으면 암술이 눈에 잘 띄지않습니다. 아래사진에서도 수술대 하단에 암술머리가 보이실겁니다.

재미있는 것은 장주화와 단주화사이에서만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한 종에 긴 암술과 짧은 수술을 갖는 꽃(장주화)와 짧은 암술과  긴 수술을 갖는 꽃(단주화)이 있는. 장주화와 단주화 사이에서만 수분이 이루어져 열매를 맺는 현상을 이화주성 (二花柱性 distyly)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장주화와 단주화가 섞여있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수분이 이루어지지만 어느 한가지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불행히도 개나리는 삽목등의 방법으로 번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지역에는 단주화만, 또 어떤지역에는 장주화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개나리에 열매가 달리는 것은 좀처럼 구경하기 힘드실겁니다.

실제로 호남고속도로 60Km 구간을 도로주변에서 매 10Km마다 개나리꽃을 채집해본 결과 네곳에서는 단주화만, 나머지 두곳에서는 장주화만 채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