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벚나무, 냉이, 들메나무, 제비꽃, 올벚나무, 모과나무, 분꽃나무, 큰개별꽃, 황매화, 현호색, 알록제비꽃, 달래, 목련, 서울제비꽃,
식물정보 및 용어
2009.07.07 13:00

뒤죽박죽 연영초속

조회 수 415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뒤죽박죽 인영초속

1. 葯은 花絲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길다. 꽃잎은 첨두, 꽃받침은 2-2.5cm -------- 1.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
1. 약은 화사보다 2-3배 길다. 꽃잎은 둔두, 꽃받침은 2.5-4cm  ------------------ 2. 연영초(Trillium kamtschaticum Pall. ex Pursh)

연영초속 식물의 검색은 이상태검색집을 보면 아주 간단해보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게 간단해보이지 않아보입니다.
이창복도감 검색표에는 연영초속이 아예 누락되어있습니다.
풀베개 자료로 등록된 연영초와 큰연영초를 비교해보면 별 차이를 느낄 수가 없으니 말입니다.

일단 국내 도감을 살펴봤습니다.

이창복 도감에 있는 연영초설명부분입니다.

이창복도감에 있는 연영초 학명인 Trillium kamtschaticum 으로 마끼노도감을 찾아봤습니다.
근데 뭔가 좀 이상합니다.

분명히 큰연영초가 아니고 연영초학명으로 찾았는데
이름이 オオバナノエンレイソウ(大花の延?草)입니다.
직역하자면 큰꽃연영초인 셈입니다.
게다가 캄차카라는 지명이 들어있는 학명에서 느끼듯이 내용을 보면 북해도지방에 자생하고있다고 되어있습니다.
위도로 따지자면 우리나라는 북한지역의 백두산쯤에 해당되는 지역입니다.
이창복도감의 북부지방과 거의 맞습니다.

우리나라 식물자료라는 것이 일제시대때 일본인들에 의해서 일본어로 만들어진 자료를 한글로 그저 번역한 수준이라는 것을 감안할때 뭔가 잘못된 느낌입니다.
우리가 연영초라고 하는 것이 큰꽃연영초라면 그렇다면 우리가 큰연영초라고 부르는 것은 어떻게 부를까?

ミヤマエンレイソウ(深山延?草) 즉 심산연영초라고 되어있고 인터넷을 찾아보니까 しろばなえんれいそう(白花延?草) 흰꽃연영초라고도 부른답니다.


이창복도감의 내용에서도 울릉도, 경기도 강원도 및 북부지방에 자란다고 되어있습니다.

좌우간 일본자료를 옮기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이유가 한가지 더 있습니다.

이영노도감에 보면 연영초(*큰연영초)라고 되어있고 큰연영초(*연영초)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내용에도 중부이북의 산지와 개울가에 자란다고 되어있습니다.

혹씨나 하고 가장 최근에 발간된 자료인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를 찾아봤습니다.

1. 외화피와 내화피편이 첨두 또는 예두;약은 4-8mm로 수술대보다 약간 길다.............. T.tschonoskii(연영초)
1. 외화피와 내화피편이 둔두, 꽃밥은 길이 1.0-1.5cm이고 수술대보다 훨씬 길다.......... T. cmaschatcense(큰연영초)
얼핏 내용은 이상태검색집의 내용과 거의 유사합니다.
근데 자세히 보니 두개의 학명과 국명이 뒤바뀌어있습니다.
게다가 학명이 T.kamtschaticum이 아니고 T.camchatcense Ker Gawl로 바뀌어 있습니다.
내화피편과 꽃밥이 T.tschonoskii보다 크다고 명시되어있습니다.
자생지역이 NE China, Japan(Honshu, Shikoku), Korea Russia (Ussuri)로 되어있고 한국은 중북부지역에 자생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반면 우리가 연영초라고 부르는 T.kamtschaticum은 NE China, Japan(Hokkaido), Korea, Russia(Kamchatka, Kurils, Sakhalin, Ussri)라고 되어있고 한국은 강원, 경기 울릉도등의 높은산속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부분은 아무리 생각해봐도 앞뒤고 안맞습니다.
다른나라에서는 우리보다 훨씬 위도가 높은 북쪽지방에 자생하는데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경기, 강원도에서도 자생한다고 되어있으니 말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영문판에도 오류가 많은 듯합니다.

좌우간 자료를 뒤져보면 뒤져볼수록 뒤죽박죽 미궁에 빠져드는 것이 연영초속인 것같습니다.

여러 자료를 종합해볼때 하지만 한가지 분명해보이는 것은 한종은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고
나머지 한종은 백두산 근처의 북부지방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어떤 분은 울릉도에 자생하는 것이 꽃색이 육지의 그것과 약간 달라서 큰연영초이고 육지에 있는 것은 연영초라고 주장하는 분도 계시는 분도 봤습니다만 식물의 종을 단순하게 꽃의 색상만으로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결국 같은 것을 가지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료에 따라서 또는 자신의 생각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동정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당분간 연영초와 큰연영초, 아니 Trillium tschonoskii와 Trillium kamtschaticum의 혼란이 한국에서는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1937년 정태현선생님의 조선식물향명집까지는 일본식물도감과 동일한 내용이었지만 1949년 조선생물학회에서 발간한 조선식물명집에서부터 학명이 잘못기재되어 있었던 탓에 이 혼란은 이미 오래동안 진행되어온 것이고 원래대로 수정하는 것도 그리 간단해보이지 않습니다.
 

  Trillium tschonoskii Trillium kamtschaticum
영문자료학명 T.tschonoskii T. cmaschatcense
국명 큰연영초 연영초
일본명 심산연영초, 흰꽃연영초 큰꽃연영초
영문자료 연영초 큰연영초
이창복도감서식지 울릉도, 강원도, 경기도, 북부지방 북부지방
마키노도감서식지 북해도, 혼슈, 시고쿠 북해도
이영노도감서식지 불명확 중부이북
영문자료서식지 중국북동부, 일본혼슈 시코쿠, 러시아, 한국의 중북부 중국북동부, 일본북해도, 러시아 캄차카, 한국북한, 경기, 강원 울릉도의 심산지역
조선식물향명집 연영초  
조선식물명집 큰연영초 연영초
韓國植物圖鑑 큰연영초 연영초
  • ?
    외솔 2009.07.08 02:11
    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延龄草-----ヤマエンレイソウ

    큰연영초:-------Trillium camschatcense----吉林延龄草---オオバナノエンレイソウ
    뭔가 좀 수상했어요.
  • profile
    카르마 2009.07.12 12:06 Files첨부 (1)
    EXIF Viewer

    1937년의 정태현선생님의 자료가 잘못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사실과 다릅니다.

    1937 鄭台鉉 外編의 朝鮮植物鄕名集에는 연영초의 학명이 Trillium tschonoskii 로 기록되어있다.
  • profile
    카르마 2009.07.12 12:07 Files첨부 (1)
    EXIF Viewer

    朝鮮植物鄕名集에는 연영초(Trillium tschonoskii)만 기록되어있을뿐 큰연영초는 목록에 아예 빠져있습니다.
  • profile
    카르마 2009.07.12 23:08 Files첨부 (1)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09:07:12 23:04:33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2/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3원본사진 크기800 X 533

    1957년에 발간된 鄭台鉉 著 韓國植物圖鑑의 내용부터 변화가 있었네요.
    연영초(Ohobana-enreisho) Trillium Pallasii = T. kamtschatticum=T. obovatum Pursh : 경북(울릉도) 강원(금강산,태백산), 평북, 함남
    큰연영초(Miyama-enreisho) Trillium Tschonoskii Maximowicz : 경북(울릉도), 강원, 경기, 평북, 함남

    이건 식물자체와 관계없는 궁금증이 되고 말았네요.
    왜 정태현선생님은 1937년 T.tschonoskii를 연영초라고 기록했다가 20년후인 1957년에는 뒤바꿔 기록을 하셨는지...
  • profile
    카르마 2009.07.12 23:09 Files첨부 (1)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09:07:12 22:35:00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2/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3원본사진 크기800 X 533

    1949년 조선생물학회에서 발간된 조선식물명집에서부터 두개가 뒤바뀌기 시작했나봅니다.
    조선생물학회는 식물학회나 식물분류학회같은 단체로 요즘같으면 국가표준식물목록같은 권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결국 정태현선생님도 그보다 훨씬 후인 1957년에 도감을 발행했으니 조선생물학회의 자료를 따랐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직전인 1946년 문교부에서 발간된 박만규편저 "우리나라 식물 명감"에는 큰연영초는 물론 연영초가 아예 누락되어있습니다.

    첨부된 사진은 조선식물명집 초본편 182쪽에 있는 내용입니다.

    궁금증때문에 자료를 뒤져보기 시작했지만 옛날 책들 뒤적이다 보니 나름대로 재미있네요.
  • profile

    cd34f9aec58c5b66346d5087eb3252f4.jpgEXIF Viewer 

    1988년 북한의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에서 발행한 식물원색도감의 내용입니다.

    이 도감의 내용이 1937년의 정태현선생님의 자료와 일치되고

    일본의 도감과도 일치하는 제대로된 내용으로 생각됩니다.

     

    위의 제 추론대로 1949년 조선생물학회에서 발간된 조선식물명집에서부터 두개의 학명이 뒤바뀌어 혼란을 일으켜왔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국가표준식물목록은 물론 국내의 각종 도감들도 아래처럼 학명을 바꿔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큰연영초 ->Trillium kamtschaticum

    연영초 -> Trillium tschonoskii

     

  • ?
    산들꽃 2011.05.11 21:58

    카르마님 고맙습니다. 이렇게 많은 자료을 언제 다찾으십니까 ?

    울릉도에서 담은 연영초 두종 모두 다시올려보겠습니다만 저는 연영초,큰영영초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No Image

    뒤죽박죽 연영초속

    뒤죽박죽 인영초속 1. 葯은 花絲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길다. 꽃잎은 첨두, 꽃받침은 2-2.5cm -------- 1.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 Maxim.) 1. 약은 화사보다 2-3배 길다. 꽃잎은 둔두, 꽃받침은 2.5-4cm ------------------ 2. 연영초(Trillium kamtsch...
    Date2009.07.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415
    Read More
  2. 대극속 식물의 배상화서(杯狀花序)에 대한 이해

    대극속 식물들은 배상화서라는 독특한 화서를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배상화서(杯狀花序)란 문자그대로 화서의 형태가 술잔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영문 기재문을 보면 involucre cuplike 또는 Cyathium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서의 형태가 컵(잔)처럼...
    Date2012.07.19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712
    Read More
  3. 어리연꽃이 용담목(目)이라니!

    연꽃과 밑에 연꽃속, 수련속, 가시연꽃속, 어리연꽃속이 속해 있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조사하여 보고 놀랬습니다. 얼마나 무식한지를 알게 되어 부끄럽습니다. 잘 아시리라고 믿습니만 저 처럼 아직 몰랐던 회원들에게도 도움이 될것 같애 알려 드립니다. ...
    Date2007.07.1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853
    Read More
  4. No Image

    운향과의 상위 분류

    초피나무 산초나무등을 조사하다가 의문점이 생겨 올립니다. 산초나무는 쥐손이풀목 Geraniales 운향과, 초피나무는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운향과로 되어있습니다. 운향과의 상위분류가 어떻게 두가지가 되나요? 실제로 그런가요? 이해가 힘듭니다. 고수님...
    Date2016.02.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숲과나무 Views539
    Read More
  5. 바위솔 바로알기

    바위솔이 암에 좋다고 하니 멸종 위기종이 되어간다. 그래서 10여년 동안 가을에는 바위솔위치 확인하고 겨울에는 꽃대를 찾아 씨앗을 받으러 다녔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바위솔과 외국에서 들여온 종을 혼돈하는것이 너무 안타까워 한번 글을 올리고자 한다....
    Date2015.04.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케빈 Views552
    Read More
  6. 솔장다리의 실체

    드디어 솔장다리의 실체를 보았다. 딱보는 순간 수송나물과는 달랐다.. 역시 필드에서 보는게 최고 아무리 책상에서 들여다봐도 현장을 보지않고는 실감나지 않는것 같다 자생지도 강변이었고 잎의 형태나 꽃의 형태 모든게 달랐다
    Date2013.08.24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무심거사 Views456
    Read More
  7. 갈퀴덩굴속 식물정보

    마침 금년에 나온 논문이 갈퀴덩굴속의 형태에 대해서 잘 되어있네요.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정금선 ( Keum Seon Jeong ) , 박재홍 ( Jae Hong Pak ) 식물분류학회지 | 2012 위 논문의 주요내용을 발췌해...
    Date2012.05.30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889
    Read More
  8. No Image

    변산바람꽃과 풍도바람꽃의 차이

    제목: 풍도바람꽃과 변산바람꽃과의 차이 글쓴이: 돗가비 * http://eflora.kr 등록일: 2010-02-24 16:49 조회수: 732 / 추천수: 4 참고자료: http://kwls.kr/bbs/zboard.php?id=F10&no=500 꽃의 비교는 위 참고자료를 참조 바람니다. 식물분류학회지 39(2), 20...
    Date2012.03.2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334
    Read More
  9. No Image

    야생화 이름의 유래에 대한 기초지식[펌]

    야생화 이름의 유래에 대한 기초지식 우리나라에는 대략 4천여 종(귀화식물이나 원예종은 제외)의 식물이 있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이름이 있는 것처럼, 식물의 이름은 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며 사람과 식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Date2007.08.30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유수처럼 Views924
    Read More
  10. 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

    어떤 책을 보면 개나리를 자웅이주라고 적어놓은 책이 가끔 있더군요. 하지만 이는 명백한 잘못입니다. 위의 두개의 사진처럼 개나리는 꽃하나에 암술과 수술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화입니다. 위쪽의 사진은 암술의 길이가 긴 장주화(長柱花)이고 아래는 암술이...
    Date2006.04.0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72
    Read More
  11. 운향과 상산

    우리 종합식물도감에 상산의 열매와 잎 그리고 열매의 빈 껍질은 있는데 꽃이 없어 인터넷에 돌아 다녀 봐도 찾지 못했습니다. 회원님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하여 암, 숫 꽃을 일본 yahoo에 들어 가서 수집했기에 게시합니다. 이 꽃의 특성 및 자료는 ...
    Date2011.03.09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344
    Read More
  12. 화서(花序) <--네이버 백과사전

    꽃대[花軸]에 달린 꽃의 배열, 또는 꽃이 피는 모양. 화서(花序)라고도 한다. 크게 단꽃차례[單花序]와 복꽃차례[複花序]로 나누며, 단꽃차례는 다시 총수꽃차례[總穗花序]와 취산꽃차례[聚繖花序]의 2가지로 나눈다. ⑴ 총수꽃차례:꽃대 밑에서 끝을 향하면서 ...
    Date2005.06.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848
    Read More
  13. 등골나물속 2 : 등골나물을 찾아라...

    등골나물검색표를 이미 작성해두고서도 구태여 이글을 쓰는 이유는 여러가지입니다. 전에도 여러번 이야기한 적이 있지만 우리네 식물학의 역사가 일본인들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거의 모든 자료가 일본책을 베끼는 수준에서 진행이 되어왔습니다. 하지만 기왕 ...
    Date2009.07.23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506
    Read More
  14. 미기록신종 서양갯냉이(Cakile edentula) 소개

    사진은 작년 6월 제부도에서 우연히 찍은 사진입니다. 꽃모양으로 보아 십자화과식물을 분명해보이는데 잎모양도 그렇고 열매형태도 그렇고 난생처음보는 것입니다. 혹씨 새로운 외래식물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외래식물쪽으로도 검색을 해봤지만 답을 얻지 못...
    Date2009.06.15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350
    Read More
  15. No Image

    일비현상과 일액현상

    지난번 塞翁之馬님의 사진에 대해서 일비현상이라고 답을 드렸었는데 자료를 뒤지다 보니까 일비현상이 아니고 일액현상이 맞는 것같습니다. 일비현상(Exudation,Bleeding):식물의 줄기를 절단하거나 줄기의 도관부에 상처를 주었을 때 물이 배출되는 경우 일...
    Date2006.03.28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56
    Read More
  16. 가웅예, 헛수술, staminodes

    피나무속을 살펴보니 소위 staminoides라는 용어가 생소합니다. 사전에서 찾아보니 http://www.backyardgardener.com/gardendictionary/staminode.html staminode (syn. staminodium, syn. staminoide) A sterile stamen, or any structure without anther cor...
    Date2010.07.2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353
    Read More
  17. 어느 정보가 맞는 것인지요?

    어느 정보가 맞는 것인지 애매하네요? 맑은대쑥과 국화잎쑥에 대해서 풀베개와 국생지정에서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글을 올려 놓아 혼란스럽니다. 이미지가 저작권이 있는 것도 알고 사용하면 안되는 것도 압니다. 어떤 상업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 아니고 ...
    Date2010.06.30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만향소축주 Views347
    Read More
  18. 앉은부채와 노랑앉은부채

    화악산 탐사를 갔다가 하산길에 눈이 밝으신 맥우님 덕분에 대규모 앉은부채군락지를 두군데 발견했습니다. 그중 한군데서는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를 찾았습니다. 사진은 일반 앉은부채와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가 서로 기대며 사이좋게 살고 있더군요. 위 ...
    Date2006.04.1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48
    Read More
  19. 화서 <-- 야후백과사전

    꽃대에 달린 꽃이 둘 이상 집단을 이루어 피는 모양. 화서(花序)라고도 한다. 꽃의 배열양식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한 형이 있는데 이것을 꽃차례형(型)이라고 하며 보통 줄여서 꽃차례라고 한다. 줄기의 맨 끝에 단 1개의 꽃이 달린 경우는 꽃차례가 ...
    Date2005.06.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06
    Read More
  20. 잎차례 [phyllotaxis] <--네이버백과사전

    줄기에 대한 잎의 배열 방식. 엽서(葉序)라고도 한다. 보통의 잎차례는 1개의 마디에 1장의 잎이 붙는 경우이며, 이것을 어긋나기(호생잎차례)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잎의 부착점을 연결하는 선이 나선상으로 되므로 이것을 나선잎차례[螺旋葉序]라고도 한다. ...
    Date2005.07.05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30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