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식물검색표
2010.07.21 12:19

오리무중 큰달맞이꽃

조회 수 23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4. 달맞이꽃속 Oenothera
1. 키는 50-90cm. 잎은 선상 피침형 --------------------------------------- 1. 달맞이꽃
1. 키는 약1.5cm. 잎은 타원상 피침형 ------------------------------------ 2. 큰달맞이꽃
1. 달맞이꽃 O. odorata Jacq. 남미 칠레산
2. 큰달맞이꽃 O. lamarckiana Ser. 북미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긴잎달맞이꽃(Oenothera stricta)을 포함 4종이 등재되어있습니다.
영문자료에는 3종만을 비교하고 있네요.

1. 식물체는 포복하거나 누워있다. 잎은 결각이 있거나 톱니가 있거나 약간의 거치가 있다..... O. lacinata(애기달맞이꽃)
1. 식물체는 직립한다. 잎은 전연이거나 톱니가 있다.
2. 크기는 50-90cm. 화판은 항상 노란색으로 남아있다................ O. odorata(달맞이꽃)
2. 크기는 1.5m. 화판이 초기에는 황색이지만 나중에 붉은색으로 변한다..... O. glazoviana(큰달맞이꽃)

한동안 화서로 구분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고 그렇게 답변을 했었는데 달맞이꽃이나 큰달맞이꽃의 화서가 별 차이가 없습니다.
문제는 영문자료대로 크기와 꽃색이 나중에 붉게 변하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겠느냐하는 점입니다.
우선 학명을 찾아봤습니다.
큰달맞이꽃의 학명이 자료마다 좀 다릅니다.
이창복도감 : Oenothera lamarckiana
이상태검색집 : Oenothera lamarckiana
국가표준식물목록  : Oenothera erythrosepala
영문자료  : Oenothera glazoviana
일본사이트에서 확인해보니까 O. amarckiana, O. glazoviana를 Oenothera erythrosepala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네요.
http://www.zoezoe.biz/2010_syokubutu/ka_0_a/111_akabana/oenothera/oo.html

Oenothera glazioviana is a species of flowering plant in the evening primrose family known by the common names large-flowered evening primrose and redsepal evening primrose. It can be found in scattered locations worldwide, mostly as an introduced species, and its exact native origins are obscure. It has long been cultivated as an ornamental plant. It is generally a biennial herb producing an erect stem approaching 1.5 meters in maximum height. It is roughly hairy in texture, the hairs with reddish blistering or glandular bases. The crinkly leaves are up to 15 centimeters long. The inflorescence is a showy spike of many large flowers. When in bud the long red sepals are visible. When in bloom each flower has four bright yellow petals up to 5 centimeters long which fade orange to red with age. The fruit is a lance-shaped capsule 2 or 3 centimeters long.
위 내용은 위키페디의 내용입니다. 설명대로 시간이 지나면서 화판이 오렌지색에서 빨간색으로 바뀌어간다고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달맞이꽃의 학명은 어떨까요?
이창복도감과 이상태검색집 및 영문자료에는 O. odorata라고 되어있는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Oenothera biennis라고 되어있습니다.
Oenothera odorata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Oenothera and native to South America.[1]
Oenothera odorata grows to 60-90 cm (24-36 in) tall. It flowers in summer with yellow flowers which become red in time.[1]
설명대로라면  Oenothera odorata도 시간이 지나면서 붉은색으로 바뀌어간다고 되어있습니다.

Oenothera biennis (Common evening primrose or Evening star) is a species of Oenothera native to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from Newfoundland west to Alberta, southeast to Florida, and southwest to Texas, and widely naturalized elsewhere in temperate and subtropical regions.[1]
여러가지 정황으로 볼때 국가표준식물목록의 Oenothera biennis가 맞는 것같습니다.

국생종에 올라와 있는 자료들을 살펴보니 외형상 어느정도 구분이 가능할 것같습니다.

큰달맞이꽃은 시간이 지나 꽃이 시들면서 꽃이 붉은색으로 변합니다.EXIF Viewer카메라제조사PENTAX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PENTAX Optio S50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06:07:04 16:49:07감도(ISO)50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2.6촛점거리58/10조리개 최대개방28/10노출보정3/10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35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10 X 800원본사진 크기605 X 800EXIF Viewer꽃이 피기직전에도 꽃받침에 붉은색이 강해지는 것같습니다.
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1촬영일자2008:07:17 07:08:02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6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60/10조리개 최대개방48/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1944 X 2592


달맞이꽃
키가 90cm이하로 키가 작고
꽃이 질때도 색상이 붉은색으로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0:07:25 08:42:11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20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80/1노출보정-1/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3 X 1024원본사진 크기1872 X 2808

결론적으로 달맞이꽃과 큰달맞이꽃의 구분은 화서나 잎모양만으로는 불가능하고
달맞이꽃 중에서도 키가 1.5m정도로 크고 꽃이 지면서 붉은색을 띄는 것이 큰달맞이꽃입니다.
풀베개에 올라있는 달맞이꽃의 사진중 상당수가 큰달맞이꽃으로 보입니다.

  • ?
    산들꽃 2010.07.21 20:10

    카르마님 고밉습니다. 종전것은 삭제하고 새로이 등재하겠습니다.

  • ?
    늘봄 2010.07.22 00:26

    카르마님 분석자료 잘 보고 갑니다.
    논문 수준의 연구라 풀베개만 알고있을 일이 아니란 생각이 듭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0 연영초와 큰연영초 2 file 카르마 2023.06.28 80
269 식물동정 예제 개사철쑥. 족제비쑥. 재쑥 근생엽 비교 file 까치박달 2012.03.19 193
268 식물검색표 변산바람꽃과 풍도바람꽃의 차이 현촌 2012.03.27 195
267 식물동정 예제 유동열매 해부 file 설뫼 2011.09.23 196
266 식물검색표 족도리종류 1 file 까치박달 2012.04.11 196
265 식물정보 및 용어 땅귀개의 꽃구조 file habal 2009.10.16 225
» 식물검색표 오리무중 큰달맞이꽃 2 카르마 2010.07.21 230
263 식물동정 예제 '애기나팔꽃'에 대한 질문입니다... 2 file 고들빼기 2008.09.21 237
262 식물동정 예제 개잠자리난초와 잠자리난초와의 비교 file 현촌 2011.08.10 240
261 식물동정 예제 잔대 어린넘 file 까치박달 2011.05.03 242
260 식물검색표 쐐기풀속 식물의 동정포인트 카르마 2012.06.20 247
259 식물검색표 바늘꽃속 식물의 구분 file 카르마 2012.08.07 247
258 식물동정 예제 펠리온나무 . 몽울풀. 산비장이 잎 비교 file 까치박달 2012.03.25 249
257 식물검색표 박쥐나물속에 박쥐나물이 없다. 카르마 2012.08.03 253
256 식물검색표 점나도나물속의 동정포인트 카르마 2009.05.29 256
255 식물검색표 바람꽃 : 쌍동바람꽃의 정체... 2 카르마 2013.04.26 256
254 식물동정 예제 다시찍어 왔습니다 2 file 꽃천사 2009.05.25 259
253 기타 식물용어사전 2 고들빼기 2007.10.16 259
252 식물검색표 제비꽃속 1 : 서두... 카르마 2012.05.15 263
251 식물정보 및 용어 솔나리 4형제 시리즈 2 file 하늘공간 2009.07.29 272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4 Next
/ 1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