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털별꽃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塞翁之馬

    塞翁之馬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현촌

    현촌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버들피리

    버들피리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꽃사랑

    꽃사랑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청암

    청암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바지랑대

    바지랑대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晴嵐

    晴嵐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晴嵐

    晴嵐

  • 털별꽃아재비(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 필릴리

    필릴리

  • 한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ay flowers white, tubular flowers yellow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별꽃아재비속(Galinsoga)
국명털별꽃아재비(외래식물)
학명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별명쓰레기꽃,큰별꽃아재비,털쓰레기꽃,털쓰레기국화
원산지열대아메리카 원산
분포우리나라에 들어와 전국 각지의 산야지 대개는 집 근처의 텃밭이나 길가 구릉지 등에 흔히 퍼져 자라는 귀화식물로 잡초 취급을 받는 풀이다.
전체크기높이는 10~50cm이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對生) 잎차례이며 1-3.5㎝의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달걀모양, 길이 2-8㎝, 폭 1-5㎝, 한쪽에 5-10개의 조거치(粗鋸齒)가 있으며, 양면에 드물게 거센털이 있으나 일년생가지나 줄기 마디에는 백색의 긴 털이 밀생한다.
  • 꽃은 6-9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6-7㎜,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 총포조각은 5개로, 거꿀피침모양, 표면에 샘털이 있다. 혀꽃은 5개, 설상부의 폭이 4㎜ 정도 끝이 3열(裂)되고, 백색이며, 관모는 좁은 능형(菱形)으로 끝이 꼬리 모양으로 뾰족하다. 통상화는 황색이며 꽃부리가 5열되고, 관모는 끝이 뾰족하다.
  • 과실은 수과로서 7월 무렵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포기 전체에 거친 털이 촘촘히 난다.
개요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들판이나 길가에서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50cm이다. 가지와 마디에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이고 길이 5~7cm, 폭 3~5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난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반원형이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5개이며, 바늘 모양이다. 혀모양꽃은 5개로 끝이 3갈래로 갈라지며, 흰색이다. 관모양꽃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7~10월에 익는데 털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1970년대에 이입되었으며, 서울을 비롯하여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별꽃아재비에 비해 털이 많고 혀모양꽃의 크기가 크며, 관모양꽃의 우산털 끝이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가축 사료 및 퇴비로 쓴다.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 빈터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5~50cm, 가지를 치며, 전체에 흰색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0cm, 긴 타원형,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2~8cm, 폭 1~5cm, 가장자리에 5~10개의 톱니가 있다. 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1개씩 피며 지름 6~7m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조각은 5개로 표면에 샘털이 있다. 혀모양꽃은 5개, 흰색,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관모양꽃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 검은색으로 익으며, 혀모양꽃의 수과는 길이 1.5~2.0mm, 갓털은 6~15개, 길이 0.5~1.0mm다. 관모양꽃의 수과는 길이 1.3~1.8mm, 갓털은 없거나 14~20개, 흰색이다.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널리 퍼져 자란다. 세계적으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별꽃아재비에 비해 모인꽃싸개 조각은 쉽게 털어지며, 안쪽조각의 끝은 무디며, 혀모양꽃의 폭이 4mm 정도로 보다 크므로 구분된다.
동정키국내에서는 1970 년대에 이입되었다. 전체 식물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참고문헌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995)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417

식물이름 학명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마디풀과   여뀌속  
털빕새귀리 Bromus tectorum L. var. tectorum   벼과   새귀리속  
털비름 Amaranthus retroflexus L.   비름과   비름속  
털별꽃아재비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국화과   별꽃아재비속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벼과   참새피속  
털뚝새풀 Alopecurus japonicus Steud.   벼과   뚝새풀속  
털땅빈대 Euphorbia hirta Linnaeus   대극과   대극속  
털다닥냉이 Lepidium pinnatifidum Ledeb.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털까마중 Solanum sarrachoides Sendtn.   가지과   가지속  
털개구리자리 Ranunculus sardous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큰키다닥냉이 Lepidium latifoli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큰참새피 Paspalum dilatatum Poir.   벼과   참새피속  
큰참새귀리 Bromus secalinus L.   벼과   새귀리속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벼과   산조아재비속  
큰잎싸리 Lespedeza davidii Franchet   콩과   싸리속  
큰잎다닥냉이 Cardaria draba (L.) Desv.   십자화과   큰잎다닥냉이속  
큰잎냉이 Erucastrum gallicum O.E.Schulz   십자화과   큰잎냉이속  
큰이삭풀 Bromus unioloides H.B. & K.   벼과   새귀리속  
큰석류풀 Mollugo verticillata L.   석류풀과   석류풀속  
큰새포아풀 Poa trivialis L.   벼과   포아풀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