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섬개야광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설뫼

    설뫼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통통배

    통통배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석뫼

    석뫼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현촌

    현촌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현촌

    현촌

  • 섬개야광나무(Cotoneaster wilsonii Nakai) : 현촌

    현촌

  • 낙엽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Pink
  • 원추화서,
장미과(Rosaceae)
섬개야광나무속(Cotoneaster)
국명섬개야광나무(한반도특산식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학명Cotoneaster wilsonii Nakai
원산지한국 : 울릉도의 도동과 송곳산.
분포중국; 울릉도의 도동과 송곳산.
전체크기높이 1.5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둔두이다. 길이와 폭이 3.5 ~ 5cm × 1.5 ~ 2.5cm이고 맹아에 달려 있는 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표면에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뒷면에 처음에는 털이 많지만 점차 적어진다. 잎자루 길이는 2 ~ 4mm정도로서 털이 있으며 턱잎은 선형이고 길이 1~4mm로서 끝까지 남는다.
  • 꽃은 5~6월에 피며 산방상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길이는 2.5cm에, 3 ~ 5개의 꽃이 달리고 꽃자루의 털은 꽃이 핀 다음 떨어지며 흑자색의 포와 작은포가 있다. 꽃받침통은 작은포로 둘러싸이고 노목의 것은 털이 없으나 어린 나무의 것은 털이 있으며 꽃받침조각은 끝에 털이 있고 길이 3mm 정도로서 백색이며, 꽃잎은 길이 3mm정도로서 백색이며 수술이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는 2개이다. 씨방은 2실이다.
  • 열매는 달걀꼴이고, 길이 7 ~ 8mm정도로, 붉은 보라색이며, 달걀모양이다. 길이는 6mm로, 8월 ~ 9월에 성숙한다.
  • 하나의 줄기가 올라와 윗가지는 밑으로 처진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자주색이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다.
서식지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 또는 양토가 적합하다. 암상식생으로 건조에 강하고 원래 양수이나 음지에서도 잘 견디며 추위에 강하여 서울지방에서도 개화결실이 되고 번성한다.
개요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섬개야광나무는 장미과의 낙엽활엽떨기나무로 전체 높이가 1.5m 정도까지 자란다. 수피는 잿빛이 도는 자주색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엇갈려 달리며 달걀형,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형이며 양 끝이 좁다. 길이는 2~5cm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새로 나온 가지에 달려 있는 잎은 넓은 가시 모양으로 처음에는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진다. 길이 2.5mm 정도의 잎자루는 털이 있으며 길이 1~4mm의 턱잎이 끝까지 남아 있다. 흰색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산방상 원추꽃차례에 무리 지어 핀다. 꽃잎은 5장으로 둥글고 길이는 3mm 정도로 작다. 수술이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는 2개이다. 작은 꽃자루의 털은 꽃이 핀 다음에 떨어진다. 오래된 나무의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나 어린 나무의 것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끝부분에 털이 있고 포와 작은 포는 붉은빛을 띤 검은색이다. 열매는 달걀모양으로 가을에 자줏빛의 홍색으로 익으며, 길이는 6mm 정도이다. 무분별한 채취 등으로 위협에 처해 있으며, 울릉도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현재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고,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급종(CR)으로 평가되어 있다. 경상북도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해발 110~130m의 절벽 또는 절벽 근처 해가 비치는 곳에서 산다.섬개야광나무는 장미과의 낙엽활엽떨기나무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경상북도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해발 110~130m의 절벽 또는 절벽 근처 해가 비치는 곳에서 산다. 무분별한 채취 등으로 위협에 처해 있으며, 울릉도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은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급종(CR)으로 평가되어 있다.해안가 절벽이나 바위지대에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전체 높이는 1~4m,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자주색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밋밋한 잎은 어긋나고 달걀형,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형이며 양 끝이 좁다. 새로 나온 가지에 달려 있는 잎은 넓은 가시 모양으로 처음에는 뒷면에 털이 많지만 점차 없어진다. 길이 2.5mm 정도의 잎자루는 털이 있으며 길이 1~4mm의 턱잎이 끝까지 남아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지름 3mm, 흰색이다. 작은꽃자루의 털은 꽃이 핀 다음에 떨어진다. 오래된 나무의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나 어린나무의 것은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끝부분에 털이 있고 꽃싸개잎과 작은꽃싸개잎은 붉은빛을 띤 검은색이다. 열매는 길이 6mm 정도의 달걀형이며 9~10월에 자줏빛이 나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경상북도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잎몸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으로 잎밑이 뾰족하고, 꽃차례가 밑으로 처지지 않는 반면, 개야광나무는 잎몸이 넓은 타원형, 넓은 난형으로 잎밑이 둥글고, 꽃차례가 밑으로 처지는 점에서 구별한다. 환경부령에 따른 법정보호종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근연종* ▶둥근잎개야광나무(C. integerrima Medicus): 엽병의 길이가 2-4㎜이고 잎이 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무산에서 자란다.
동정키경상북도 울릉군 도동 ⓑ지정사유:특산식물자생지, ⓒ면적:49,587㎡이다. 도동 항구에서 시가지를 향하여 오른쪽의 암벽 능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군락이다. 이 두 수종은 모두 울릉도 특산종으로 소위 진희한 식물의 자생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절벽처럼 된 곳인데 향나무가 군데군데 자라고 틈틈히 울릉도 특산인 섬기린초의 작은 군락이 있다. 능선에 따라서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가 있었으나 섬개야광나무는 많이 없어졌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46

식물이름 학명
자주족도리풀 Asarum koreanum (J.Kim & C.Yook) B.U.Oh & J.K.Kim   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히어리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Uyeki) T.Yamaz.   조록나무과   히어리속  
가지제비꽃 Viola ramiflora K. O. Yoo   제비꽃과   제비꽃속  
갑산제비꽃 Viola kapsanensis Nakai   제비꽃과   제비꽃속  
우산제비꽃 Viola woosanensis Y.N.Lee & J.Kim   제비꽃과   제비꽃속  
울릉제비꽃 Viola ulleungdoensis M.Kim & J.S.Lee   제비꽃과   제비꽃속  
섬개야광나무 Cotoneaster wilsonii Nakai   장미과   섬개야광나무속  
금강인가목 Pentactina rupicola Nakai   장미과   금강인가목속  
섬국수나무 Physocarpus insularis (Nakai) Nakai   장미과   산국수나무속  
섬나무딸기 Rubus takesimensis Nakai   장미과   산딸기속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Nakai   장미과   벚나무속  
가거양지꽃 Potentilla gageodoensis M. Kim   장미과   양지꽃속  
가시딸기 Rubus hongnoensis Nakai   장미과   산딸기속  
가시복분자딸기 Rubus schizostylus H.Lev.   장미과   산딸기속  
거제딸기 Rubus tozawae Nakai ex J.Y.Yang   장미과   산딸기속  
구름오이풀 Sanguisorba argutidens Nakai   장미과   오이풀속  
백운배나무 Pyrus hakunensis Nakai   장미과   배나무속  
복사앵도나무 Prunus choreiana Nakai ex Handb.   장미과   벚나무속  
산이스라지 Prunus ishidoyana Nakai   장미과   벚나무속  
우산마가목 Sorbus ulleungensis   장미과   마가목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