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명천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초
  • white,red
석죽과(Caryophyllaceae)
장구채속(Silene)
국명명천장구채(한반도특산식물)
학명Silene myongcheonensis S.P.Hong & H.K.Moon
원산지한국
분포우리 나라 북부의 고산에서 자란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달걀모양 또는 긴 달걀모양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녹색이고 잔털이 있다.
  • 꽃은 처음에는 꽃자루가 없으나 긴 산형상으로 자라며 가장자리의 꽃자루는 꽃받침보다 2-3배 길고 꽃자루는 샘털이 있어 끈적끈적하다. 포는 난상 피침형이며 뒤로 젖혀지고 꽃받침은 달걀모양이며 샘털과 10맥이 있고 열편이 뾰족하다. 꽃잎은 분홍색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며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다. 꽃밥은 적자색이고 암술대는 3개이며 씨방은 1실이다.
  • 열매는 삭과이며 종자는 갈색으로서 전체에 선점이 있다.
  • 가지가 퍼지고 줄기 윗부분에 샘털이 있다.
개요높은 산지 경사지고 습기가 있는 곳에 높이 25~5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가지는 퍼지며, 잔털이 있고, 윗부분에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녹색,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양 끝이 좁아진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머리 모양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보라색이다. 작은꽃자루는 꽃받침의 2~3배 길이이며, 꽃받침과 더불어 샘털이 있어 끈적끈적하다. 꽃싸개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뒤로 젖혀지며, 꽃받침에 10개 맥이 있고, 열편은 뾰족하다. 꽃잎은 5개이며, 끝이 2열하고, 꽃받침의 2배 길이다.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 8~9월에 익으면 5~9개의 이 모양으로 갈라진다. 종자는 갈색으로 전체에 샘점이 있으며 둥근 신장형이다. 함경북도 명천 칠보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꽃이 보라색이고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소화경과 꽃받침에 선모가 있고 씨에 선점이 있어 장구채와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분홍꽃장구채, 보라장구채라고도 부른다.
근연종*전체에 회색의 잔털이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2-8㎝, 끝이 뾰족하다.
▶장구채(M. firmum Rohrb.): 녹색 또는 자줏빛을 띠는 녹색, 마디 부분은 검은 자줏빛이다. 잎은 긴 타원형, 난상 넓은 피침형, 길이 3-10㎝이다.
▶털장구채(M. firmum Rohrb. for. pubescens Ohwi): 장구채와 닮았으나, 식물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가는장구채(M. seoulensis Nakai): 전체에 잔털,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달걀모양, 끝이 뾰족하다.
동정키장구채와 비슷하지만 우산모양꽃차례며 꽃자루가 보다 길고 화경, 꽃자루 및 꽃받침에 퍼진 샘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46

식물이름 학명
몽울토현삼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현삼과   현삼속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현삼과   현삼속  
다발골무꽃 Scutellaria asperiflora Nakai   꿀풀과   골무꽃속  
연지골무꽃 Scutellaria indica L. var. coccinea S.T.Kim & S.T.Lee   꿀풀과   골무꽃속  
왕골무꽃 Scutellaria pekinensis var. maxima   꿀풀과   골무꽃속  
태백기린초 Sedum latiovalifolium Y.N.Lee   돌나물과   돌나물속  
섬기린초 Sedum takesimense Nakai   돌나물과   돌나물속  
한라꿩의비름 Sedum taquetii   돌나물과   돌나물속  
큰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quelpaertensis   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한라장구채 Silene fasciculata Nakai   석죽과   장구채속  
명천장구채 Silene myongcheonensis S.P.Hong & H.K.Moon   석죽과   장구채속  
울릉장구채 Silene takeshimensis Uyeki & Sakata   석죽과   장구채속  
덕우기름나물 Sillaphyton podagraria (H.Boissieu) Pimenov   산형과   덕우기름나물속  
세잎개발나물 Sium ternifolium B.Y.Lee & S.C.Ko   산형과   개발나물속  
자주솜대 Smilacina bicolor Nakai   백합과   솜대속  
점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var. glandulifolia J.H.Song & S.P.Hong   장미과   쉬땅나무속  
우산마가목 Sorbus ulleungensis   장미과   마가목속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 Nakai   장미과   조팝나무속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차나무과   노각나무속  
버들개회나무 Syringa fauriei H.Lev.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