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주걱잎갯비름 국가표준식물목록


돌나물과(Crassulaceae) 7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돌나물속(Sedum) 13종
국명주걱잎갯비름
학명Sedum formosanum N. E. Br.
분포Japan (South), Korea (Jeollanam-do), Philippines (North), Taiwan.
형태
  • fleshy, glabrous. Roots fibrous, sometimes adventitious leaf scars. Stems: first year stems stout, erect, only sterile, 1?trifurcate, ca. 10 cm height, overwintering, reddish brown later; second year stems erect, decumbent at bases, 1?2(?3)-trifurcate, 20.0?45.0(?65.0) cm height, up to 1 cm wide at bases, reddish brown and yellowish brown later, flowering all, sprawling after flowering period. Petioles sessile or nearly so. Leaves: first year leaves alternate with lax rosettes, spreading, green, spatulate to widely obovate; second year leaves alternate, green or yellowish green later, flattish, thick, spatulate to widely obovate, 0.8?4.8 × 0.5?1.5 cm, bases long attenuate, margins entire, apices rounded. Inflorescences terminal, cymes, 1?2-trifurcate with 3(?4) primary axes; primary axes 2.0?15.0 cm long, ascending, 1 to several times irregularly and often unequally forking, with a flower at each fork; bracts leaflike, smaller than cauline leaves. Flowers 5(?6)-merous, 1.0?13.0 mm wide, sessile. Sepals 5, free, green or yellowish green later, fleshy, flattish, unequal in size, obovate to oblanceolate, 3.0?7.0 × 1.5?3.0 mm, apices rounded. Petals 5(?6), bright yellow, lanceolate, 5.0?6.0 × 1.3?1.6 mm, bases slightly connate, apices short acuminate. Stamens 10(?12), slightly shorter than petals, ascending at flowering, 2-whorled; anthers oblong-lanceolate, ca. 0.5 mm long, deep yellow. Carpels 5, ca. 5 mm long, free, connate at the bases, gibbous ventrally. Fruits follicles, star-shaped, erect, ca. 7 mm long. Seeds elliptical, 0.4?0.6 × ca 0.1 mm.
서식지Approximately 50 individuals were found growing along with Lysimachia mauritiana Lam. [Primulaceae Batsch ex Borkh.] in open and dried stone crevices within a 70 × 7 m area of a Pinus thunbergii Parl. and Euonymus japonicus Thunb. plant community, located adjacent to the island’s coast. Given that the native habitat of plants lies along the side of the coastal road, the population is considered to be highly susceptible to disturbance, by both road maintenance projects and the disposal or stacking of fishing gear in the vicinity of habitat, thereby threatening the viability and survival of S. formosanum on Hataedo Island.
개요한국산 주걱잎갯비름(Sedum formosanum N. E. Br.)은 133년 전에 기록된 후, 이제야 이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현황이 밝혀졌다. 이들은 그동안 기준표본 채집지인 타이완을 비롯하여 일본의 남부, 필리핀 북부 섬지역에만 국한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는 제4차 전국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전라남도 신안군 하태도 및 상태도의 바닷가 바위 틈새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주걱잎갯비름은 높이 최대 65 cm에 달하는 2년생 다육식물로 결실기에 골돌과의 심피가 곧추서는 점에서 속내 대부분의 식물들과 다르다. 특히, 주걱잎갯비름은 한국산 돌나물속 중, 주걱비름과 비슷하지만 엽신이 단일형으로 엽선이 원두이며, 꽃 피는 줄기와 꽃이 없는 줄기를 따로따로 갖는 점에서 구별된다. 주걱잎갯비름에 대한 기재, 근연종과 차이점, 검색표 및 사진 등을 수록하였다.
근연종*1. Stems typically with bulbils in the leaf axils; leaves generally oblanceolate or rhombic ovate on flowering stems; flowers nearly sterile ··················· S. bulbiferum 말똥비름

1. Stems without bulbils in the leaf axils; leaves generally spatulate to obovate, sometimes subcircular on flowering stems; flowers fertile.

2. Stems with distinct segmental nodes; upper leaves somewhat ascending on sterile stems; leaves opposite, rarely verticillate on flowering stems ······························ ···················································· S. makinoi 둥근잎비름

2. Stems without segmental nodes; upper leaves also spreading on sterile stems; leaves alternate on flowering stems.

3. Perennial plants with simultaneously flowering and sterile stems; leaves dimorphic, with emarginate apices; carpels spreading during the fruiting period ·· ················································· S. tosaense 주걱비름

3. Biennial plants with separately flowering and sterile stems; leaves monomorphic, with rounded apices; carpels erect during the fruiting period ····················· ································· S. formosanum 주걱잎갯비름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두메바늘꽃 Epilobium angulatum   바늘꽃과   바늘꽃속   213
점개구리밥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odela punctata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214
동강고랭이 [4/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chophorum dioicum   사초과   애기황새풀속   214
애기땅꽈리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ysalis minima   가지과   꽈리속   214
갯바늘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eocharis parvula   사초과   바늘골속   215
나래사초 [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filipes var. oligostachys   사초과   사초속   215
얼치기대가래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tamogeton × anguillanus   가래과   가래속   215
주걱잎갯비름 국가표준식물목록 Sedum formosanum   돌나물과   돌나물속   217
애기석잠풀 [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achys agraria   꿀풀과   석잠풀속   220
바람개비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mbristylis fimbristyloides   사초과   하늘지기속   221
잎꽃돌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dum kiangnanense   돌나물과   돌나물속   223
태백개별꽃 [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석죽과   개별꽃속   223
노랑꽃누운땅꽈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ysalis lagascae   가지과   꽈리속   225
긴잎구기자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ium barbarum   가지과   구기자속   227
고로보이짚신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imonia gorovoii   장미과   짚신나물속   230
세로티나벚나무 [3/11]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serotina   장미과   벚나무속   230
주름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tokuii   사초과   사초속   232
큰쉽싸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ycopus lucidus var. hirtus   꿀풀과   쉽싸리속   232
울릉꽃장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ofieldia ulleungensis   백합과   돌창포속   232
영암풀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xallage chrysotricha   꼭두선이과   영암풀속   23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