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넓은잎큰조롱 국가생물종목록


  •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설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8:03 16:17:50감도(ISO)1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3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설뫼

  •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설뫼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8:03 16:17:59감도(ISO)1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3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설뫼

  •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4:35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0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habal

  •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5:07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64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habal

  •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5:16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habal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협죽도과(Apocynaceae) 1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용담목)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백미속(Cynanchum) 14종
국명넓은잎큰조롱
학명Cynanchum boudieri
별명折冠牛皮消(절관우피소) 이엽우피소
개요박주가리과에 속하는 아관목 또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덩굴줄기는 직립하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지하경이 있다. 뿌리는 섬유질, 목질, 육질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드물게 돌려나기도 한다. 잎겨드랑이에 때로 작은 턱잎처럼 생긴 잎이 있다. 잎몸은 막질, 가는 털이 있으며, 넓은 난형 내지 난상 긴 원형, 길이 4~12cm, 너비 4~10cm이다. 잎끝은 점차 짧게 뾰족해지고, 기부는 심장형이다. 꽃은 특이한 잎겨드랑이에서, 가끔은 끝부분에, 드물게는 잎겨드랑이에 산형꽃차례, 산방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직립하는데 가끔 밑에 분비샘이 있다. 화관은 소용돌이치는 모양이거나 이에 가깝다. 화통은 짧다. 열편은 뚜렷하다. 암술머리는 볼록하거나 짧은 원뿔 모양이다. 열매는 골돌과, 방추형 또는 창끝 모양, 드물게 좁은 날개가 있거나 가시가 나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약용으로 재배한다. 경작지 주변에 야생화하여 자라기도 한다. 중국, 네팔, 부탄, 인도, 카슈미르, 파키스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큰조롱에 비해 잎이 상대적으로 넓고 크므로 구별된다.
근연종*Cynanchum boudieri H. Léveillé & Vaniot, Bull. Soc. Bot. France. 51: 144. 1904.
折冠牛皮消 zhe guan niu pi xiao

Cynanchum auriculatum Royle ex Wight var. amamianum (Hatusima) T. Yamazaki; C. ampibolum C. K. Schneider; C. taiwanianum T. Yamazaki; C. wilfordii var. amamianum Hatusima.

Roots tuberous, 10-50 × 1-4 cm. Stems twining to 5 m, puberulent. Leaves opposite; petiole ca. 5 cm, with adaxial glands; leaf blade broadly ovate to ovate-oblong, 4- >18 × 4-11.5(-17) cm, membranous, adaxially puberulent, base cordate, basal lobes mostly recurved, sometimes incurved, rarely overlapping, apex short acuminate; lateral veins 5 or 6 pairs. Inflorescences racemelike, to 30-flowered; peduncle 6-10 cm. Pedicel ca. 1.5 cm, puberulent. Sepals ovate-oblong, ciliate, pubescent. Corolla white, to 1 cm; tube short; lobes oblong, (3-)3.5-6 × 1.5-1.7 mm, strongly reflexed after anthesis, pilose inside. Corona very deeply 5-lobed; lobes elliptic, fleshy, obtuse, up to 2 × as high as gynostegium, with narrowly triangular adaxial appendages; pollinia oblong. Stigma head conical, apex 2-cleft. Follicles lanceolate in outline, 8-11 cm × 8-10 mm, with 2 longitudinal ridges. Seeds ovate-elliptic. Fl. Jun-Sep, fr. Jul-Dec.

Forest edges, thickets, riversides; 300-3500 m. Anhui, Gansu, Guangdong, Guangxi, Guizhou, Hebei, Henan, Jiangsu, Jiangxi, Shaanxi, Shandong, Sichuan, Taiwan, Yunnan, Zhejiang [Japan (Ryukyu Islands)]

Root tubers are used medicinally for the treatment of infantile malnutrition caused by intestinal parasites, gastric and duodenal ulcer, nephritis, and neurasthenia.

댓글 3

  • Profile 설뫼 2010.08.21 08:32:22 촬영일시 : 20100803 경기 화성시 매송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8:03 16:17:50감도(ISO)1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3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CS Windows촬영일자2010:08:03 16:17:59감도(ISO)100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3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 12-07-03 11:53:03:덩굴민백미꽃에서 변경(카르마)
    * 12-07-23 09:32:18:큰조롱에서 변경(카르마)

  • Profile 설뫼 2011.10.12 09:54:11 촬영일시 : 20111008 경기 화성시 매송면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DSC-H50촬영일자2011:10:08 15:21:31감도(ISO)125촬영모드셔터스피드우선노출모드8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12500조리개 값f/2.7촛점거리52/10조리개 최대개방46/16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768원본사진 크기2048 X 1536

    칠보산


    * 12-07-25 11:10:00:큰조롱에서 변경(설뫼)

  • Profile habal 2015.08.30 22:41:19 촬영일시 : 20150830 충남 아산시 도산초실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4:35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0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1/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5:07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64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넓은잎큰조롱(Cynanchum boudieri) : habal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10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Lightroom 4.0 (Windows)촬영일자2015:08:29 16:45:16감도(ISO)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4/6플래쉬외장후레쉬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4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바위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mbristylis hookeriana   사초과   하늘지기속   181
화산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nakasimae   사초과   사초속   181
구름꽃다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aba mongolica   배추과   꽃다지속   182
초록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tellaria neglecta   석죽과   별꽃속   182
미국갯마디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um ramosissimum   마디풀과   마디풀속   184
방울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breviflora   제비꽃과   제비꽃속   184
제주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 cheju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184
바늘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tsushimensis   사초과   사초속   185
흰털괭이눈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osplenium barbatum   범의귀과   괭이눈속   185
유럽단추쑥 [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tula australis   국화과   유럽단추쑥속   186
대왕참나무 [2/10]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palustris   참나무과   참나무속   186
민바위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stachys cartilaginea   돌나물과   바위솔속   187
백약이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saxifraga   산형과   참나물속   188
반들잎곰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gularia euodon   국화과   곰취속   188
송이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carmichaelii var. truppelian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88
가거양지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tentilla gageodoensis   장미과   양지꽃속   189
물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Fimbristylis campylophylla   사초과   하늘지기속   189
털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pinnatifidum   배추과   다닥냉이속   189
가는타래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olestiformis   사초과   사초속   191
한석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scoparia   사초과   사초속   19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