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실별꽃,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벚나무, 말발도리,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황종용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Yellow
열당과(Orobanchaceae) 5속 (피자식물문/목련강/현삼목)
초종용속(Orobanche) 4종
국명황종용
학명Orobanche pycnostachya Hance
별명노랑개더부사리, 노랑갯더부살이, 노랑쑥더부사리, 노랑쑥더부살이
형태
  • 꽃은 황색으로 핀다.
개요바닷가 초지에서 쑥속 식물의 뿌리에 붙어사는 여러해살이풀로 기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굵고 육질이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 10~3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흰색의 연한 털이 있다. 잎은 비늘 모양으로 줄기에 듬성하게 붙는다. 꽃은 5~6월에 노란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에 흰색의 연한 털이 많다. 암술대는 꽃부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으로 7~8월에 익으면 2갈래로 터진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과 비교하여 꽃이 연한 보라색으로 피는 변종을 압록더부살이로 구분하며, 북부지방의 고원지대에서 자란다. 강장제로 약용한다. 노랑갯더부살이, 노랑쑥더부사리, 노랑쑥더부살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열편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

식물이름 학명 조회
초종용 [2/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coerulescens   열당과   초종용속   2,627
황종용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pycnostachya   열당과   초종용속   1,226
백양더부살이 [11/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filicicola   열당과   초종용속   2,358
압록더부살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obanche pycnostachya var. amurensis   열당과   초종용속   1,235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