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화엄제비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河志

  • 무경성(無莖性)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red
제비꽃과(Violaceae) 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제비꽃목)
제비꽃속(Viola) 70종
국명화엄제비꽃(희귀멸종위기 식물 : CR 멸종위기종)
학명Viola ibukiana Makino
별명화엄오랑캐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 한국(전라남도 구례군, 장흥군)
전체크기높이 10cm
형태
  • 잎은 달걀모양이고 작으며 표면은 푸른 빛이 도는 녹색으로서 흔히 흰색 무늬가 있고 윤채가 있으며 얼핏보기에 잎이 단풍제비꽃의 잎과 같다.
  • 꽃은 4월에 피고 밝은 홍자색이며 자주잎제비꽃의 것과 같다. 꽃이 진 다음 큰 잎이 나오는 성질은 남산제비꽃과 같으나 자주잎제비꽃은 남산제비꽃에 비해 그리 흔하지 않으므로 보다 자세한 관찰이 필요하다.
  • 삭과
  • 무경성(無莖性) 여러해살이풀로서 꽃이 필 때는 높이가 10cm에 달한다.
  • 뿌리가 갈라져 깊이 들어간다.
서식지낮은 지대의 경사진 곳에서 드물게 자람
개요낮은 지대의 경사진 곳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늘며 땅 위를 기는줄기는 없다. 잎은 여러 개가 모여나며,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3~4cm, 폭 2~3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얕은 톱니 모양이다. 잎 앞면에는 흰색 무늬가 있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뒷면에는 털이 없다. 꽃은 4월에 밝은 자주색으로 피며, 뿌리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다. 열매는 삭과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화엄사 부근에서 자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남산제비꽃과 자주잎제비꽃, 또는 남산제비꽃과 민둥뫼제비꽃의 잡종으로 추정된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순은 식용하고, 전초를 약용한다. 화엄오랑캐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남산제비꽃과 자주잎제비꽃의 자연잡종으로 보고 있다.
화엄사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화엄제비꽃이라고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9

  • 河志 2007.04.14 00:00:10 촬영일시 : 2007, 4,13. 국립수목원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통통배 2009.04.30 10:12:24

    단풍제비꽃으로 보면 될듯한데요.

  • 塞翁之馬 2007.04.14 23:13:34 촬영일시 : 2007.04. 14 대둔산 수락계곡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통통배 2008.04.08 14:16:20 촬영일시 : 2008.4 전남 고흥군 .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통통배 2008.04.08 14:16:50 촬영일시 : 2008.4 전남 고흥군 .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여울목 2008.04.18 11:05:42 촬영일시 : 2008.4.7 충북 청원군 대청댐 주변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통통배 2010.06.01 21:17:56 촬영일시 : 20100320 전남 고흥군 .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작년 개체와는 다른 개체입니다.

  • Profile 추풍 2011.07.11 16:43:04 촬영일시 : 20110503 강원 춘천시 남산면 굴봉산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Profile 설뫼* 2019.04.23 08:32:24 촬영일시 : 20190409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화엄제비꽃(Viola ibukiana Makino) : 河志

    .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76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서울제비꽃 [4/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seoul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3,532
둥근털제비꽃 [4/5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collina   제비꽃과   제비꽃속   3,889
털긴잎제비꽃 [3/2] 국가표준식물목록 Viola ovato-oblonga f. pubescens   제비꽃과   제비꽃속   2,175
흰갑산제비꽃 [0/1] Viola kapsanensis for. albiflora   제비꽃과   제비꽃속   1,706
간도제비꽃 [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dissecta   제비꽃과   제비꽃속   2,714
긴잎제비꽃 [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ovato-oblonga   제비꽃과   제비꽃속   2,611
단풍제비꽃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albida var. takahashii   제비꽃과   제비꽃속   3,387
화엄제비꽃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ibukiana   제비꽃과   제비꽃속   3,418
민둥제비꽃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Viola phalacrocarpa f. glaberrima   제비꽃과   제비꽃속   3,569
반달콩제비꽃 [1/12] 국가표준식물목록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제비꽃과   제비꽃속   2,910
삼색제비꽃 [3/34]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tricolor   제비꽃과   제비꽃속   3,457
금강제비꽃 [5/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diamantiaca   제비꽃과   제비꽃속   3,845
넓은잎제비꽃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mirabilis   제비꽃과   제비꽃속   5,131
장백제비꽃 [4/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biflora   제비꽃과   제비꽃속   3,128
우산제비꽃 [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woosan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2,848
울릉제비꽃 [0/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ulleungdoensis   제비꽃과   제비꽃속   796
큰졸방제비꽃 [2/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kusanoana   제비꽃과   제비꽃속   3,332
섬제비꽃 [0/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takesimana   제비꽃과   제비꽃속   2,543
종지나물 [4/4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papilionacea   제비꽃과   제비꽃속   5,194
제비꽃 [4/5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mandshurica   제비꽃과   제비꽃속   4,02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