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한라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석죽과(Caryophyllaceae) 21속 (피자식물문/목련강/석죽목)
장구채속(Silene) 23종
국명한라장구채(한반도특산식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
학명Silene fasciculata Nakai
원산지한국
분포한국(한라산)
전체크기높이 20c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모여나기하고, 선형이며 길이 7cm, 폭 3-4mm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한다.
  •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총상 비슷한 원뿔모양이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1cm로서 끝이 5갈래이고 10맥이 있으며 꽃잎은 5장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꽃받침의 2배 길이이고 열편은 길이 4mm, 폭 1mm 이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과 마주나기한 5개는 길고 수술대는 길이가 7mm이며 꽃밥은 길이 1.5mm이고 꽃잎과 어긋나기한 5개는 수술대의 길이가 2mm이다. 암술대는 3개이며 길이 3.7-8mm로서 끝이 젖혀진다.
  • 삭과는 3실로서 긴 타원형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진다.
  • 높이가 20cm에 달하며 밑부분이 새순의 잎과 더불어 모여나기하고 자주색이다.
  • 뿌리는 방추형이며 굵고 털이 없다.
개요고도가 높은 산지 능선부의 햇빛에 노출된 바위의 틈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0~20cm 정도이다. 뿌리는 굵고 목질화되며, 기부에서 여러 대가 모여나고, 털이 없다. 전체적으로 자주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거의 치지 않으며, 털이 없고, 밑부분은 자주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잎몸은 선형으로 길이 0.5~4cm, 너비 1~5mm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그 근처의 잎겨드랑이의 기산꽃차례에 흰색으로 달리며, 작은꽃자루는 길이 1cm 정도이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꽃잎은 5개로 끝이 2갈래지며 입술 부위가 길이 4mm 정도이고, 수술은 10개, 씨방은 3개이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타원형인 삭과로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신장 모양으로, 매우 작다. 제주도 한라산 정상 부근에 드물게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줄기를 비롯하여, 꽃받침의 맥, 작은꽃자루 등 전체적으로 자주색을 띠고, 잎몸의 폭이 좁은 선형이며, 꽃잎의 입술 부위가 길이 4mm 정도로 작은 점 등으로 속 내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섬장구채라고도 한다.
근연종*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달걀모양,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층층장구채(S. macrostyla Maxim.): 잎은 피침형, 피침상 선형,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나온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먼나무 [4/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lex rotunda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5,935
종가시나무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glauca   참나무과   참나무속   5,947
개박달나무 [7/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etula chinensis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5,949
정향풀 [9/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   정향풀속   5,976
감국 [4/6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anthemum indicum   국화과   쑥갓속   5,977
쥐방울덩굴 [3/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istolochia contorta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   5,989
미국쑥부쟁이 [2/5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mphyotrichum pilosum   국화과   미국쑥부쟁이속   5,990
단풍취 [2/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insliaea acerifolia   국화과   단풍취속   5,991
참식나무 [3/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eolitsea sericea   녹나무과   참식나무속   6,013
일본목련 [6/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gnolia obovata   목련과   목련속   6,017
큰조롱 [5/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nanchum wilfordii   협죽도과   백미속   6,038
개망초 [4/7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geron annuus   국화과   개망초속   6,042
뱀딸기 [4/6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uchesnea indica   장미과   뱀딸기속   6,045
만병초 [3/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Rhododendron brachycarpum   진달래과   진달래속   6,047
해국 [3/7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spathulifolius   국화과   참취속   6,051
중국굴피나무 [4/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terocarya stenoptera   가래나무과   개굴피나무속   6,065
가는명아주 [2/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enopodium album var. stenophyllum   명아주과   명아주속   6,074
개비자나무 [5/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phalotaxus harringtonia   개비자나무과   개비자나무속   6,089
뻐꾹나리 [3/6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cyrtis macropoda   백합과   뻐국나리속   6,097
칠면초 [3/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uaeda japonica   명아주과   나문재속   6,10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