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짚신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habal

    habal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가야

    가야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habal

    habal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河志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 수상화서,
장미과(Rosaceae) 42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짚신나물속(Agrimonia) 4종
국명짚신나물
학명Agrimonia pilosa Ledeb.
별명지풀(전남 순천), 개구리눈(강원 정선)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오키나와, 중국, 아무르, 히말라야, 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에 야생한다.
전체크기높이 30-100cm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기수우상복생으로서 5-7개의 소엽이 있으나 밑부분의 소엽은 점차 작아지고 중앙부에 소엽같은 것이 끼어 있으며 끝에 달려 있는 3개의 소엽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고 긴 타원형, 거꿀달걀모양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3-6cm, 폭1.5-3.5cm로서 양면에 털이 있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탁엽은 반월형이며 한쪽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성글게 있으며 뒷면은 담록색으로서 털이 더 많다.
  • 이삭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20cm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3mm 정도로서 세로로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그 밑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서 성숙하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3-6mm로서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수술은 12개이고 꽃받침은 도원추형이다.
  • 수과는 도원추형으로 술잔모양의 꽃턱에 싸여 세로로 능선이 있고 윗머리에 갈고리가시들이 있으며 8-9월에 익는다.(수과로서 숙존악 속에 있다.)
  • 높이 3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나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서식지▶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개요고도가 낮은 지역의 햇빛이 잘 드는 풀밭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100cm이다. 전체에 털 있다. 잎은 어긋나고, 5~7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며, 밑부분의 작은잎은 점차 작아진다. 꽃은 6~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길이 10~20cm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3mm, 세로로 파진 줄이 있으며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그 밑에 갈고리 같은 털 있다. 성숙하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꽃잎은 도란형, 길이 3~6mm이다. 수술은 12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8~9월에 익으며 갈고리 같은 가시들이 있어서 다른 물체에 잘 들러붙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동부, 몽골, 유럽, 일본 오키나와,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턱잎 낫 모양으로 줄기를 대개 감싸지 않는 데 비해 산짚신나물은 반원형 또는 부채모양으로 줄기를 감싸므로 구별된다. 또한 꽃은 총상꽃차례에 빽빽이 붙으므로 꽃이 다소 엉성하게 붙는 산짚신나물과 구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뿌리와 줄기를 약용한다.
근연종* ▶큰골짚신나물 (A. eupatoria)
▶산짚신나물 (A. coreena Nakai) : 턱잎이 좁고 끝이 뾰족하며 잎모양으로 넓고 많은 톱니가 있다.
동정키개화 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용아초(龍牙草) 또는 선학초(仙鶴草)라 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64

  • Profile 추풍 2010.10.10 23:18:34 촬영일시 : 20101006 경북 문경시 조령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Profile 설뫼* 2010.12.14 12:35:08 촬영일시 : 20100803 경기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달걀 2011.08.20 11:40:15 촬영일시 : 20110818 경기 파주시 용암사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항상초보 2011.09.09 01:17:19 촬영일시 : 20110905 경남 합천군 가야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등산중에

  • Profile 도리뫼 2012.07.28 17:19:29 촬영일시 : 20120728 경기 양평군 옥천면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곰배령 2012.09.21 22:33:29 촬영일시 : 20110726 강원 태백시 대덕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곰배령 2013.09.01 10:03:24 촬영일시 : 20120815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갯 짚신나물

  • 초롱 2013.10.19 11:57:48 촬영일시 : 20130728 경북 구미시 환경연수원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rhdwltjd2616 2015.04.01 21:24:54 촬영일시 : 20150328 대전 중구 사정동 176-6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Profile 바지랑대 2015.09.10 22:59:18 촬영일시 : 20150827 강원 평창군 오대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박용석nerd 2015.09.29 11:20:44 촬영일시 : 20060830 전남 신안군 가거도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Profile 설뫼* 2016.02.16 23:26:33 촬영일시 : 20101015 경기 남양주시 운길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눈송이 2017.09.02 11:38:35 촬영일시 : 20170902 서울 서대문구 안산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170917 창경궁 열매

  • 별꽃 2019.08.14 06:59:21 촬영일시 : 20190807 인천 남동구 인천대공원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 : 河志

    .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

식물이름 학명 조회
고로보이짚신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imonia gorovoii   장미과   짚신나물속   230
좀짚신나물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imonia nipponica   장미과   짚신나물속   1,530
산짚신나물 [3/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imonia coreana   장미과   짚신나물속   2,611
짚신나물 [4/6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rimonia pilosa   장미과   짚신나물속   4,650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