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증산쑥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국화과(Asterace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쑥속(Artemisia) 38종
국명증산쑥
학명Artemisia borealis Pall.
분포한반도(북부), 러시아
전체크기높이20~35cm이다.
형태
  • 근생엽은 모여나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한다. 근생엽에는 긴 엽병(길이 5~9cm)이 있고 엽병끝에 원형(길이 2~3cm, 너비 2~8cm)의 잎이 붙는다. 잎은 두번 또는 세번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거나 또는 피침형이며 끝부분의 열편이 둥글고 클때도 있으며 잎가장자리에 결각이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약간 연한 녹색이고 털이 없다. 줄기잎은 거의 없거나 두세개가 있는데 어긋나기하며 피침형(길이 1.5~3cm, 너비 0.5~1cm)이고 깃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한쪽면에 한 두개있다. 잎에는 털이 없다.
  • 꽃은 8~9월경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고 피는데 꽃차례는 줄기 중간에서부터 붙어 총상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 이룬다. 총포는 달걀모양(길이 4~5mm, 직경 2~3mm)이다. 총포조각은 3줄이 기와장을 인 모양으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짧고 달걀모양(길이 3mm)이며 안쪽줄의 것들은 둥근모양(길이 4~5mm)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총포쪽은 갈색이며 털이 없다. 꽃차례에는 단성꽃과 양성꽃이 있다. 꽃차례의 잎가장자리에는 가는 통모양의 암꽃(길이 1mm)이 있고 열매를 맺으며꽃부리의 끝은 다섯갈래로 얕게 갈라졌다. 양성꽃의 암술은 암술머리가 두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의 끝은 잘린 모양이며 털이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맞붙었으며 그 밑부분은 전저이다.
  • 수과는 달걀모양(길이 2mm)이며 털이 없고 암갈색이며 9~10월에 익는다. 관모는 없다.
  • 줄기는 곧추 자라거나 때에 따라 밑부분이 약간 눕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거나 흔히 치지 않으며 털은 거의 없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흔히 자색을 띤다.
  • 근경은 굵고 짧으며 여기에서 많은 싹이 돋는다.
서식지강기슭, 개울가 주변의 모래땅 또는 자갈밭
개요강변 모래땅이나 자갈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기는 높이 20~30cm, 곧추서거나 때때로 약간 누우며 가지를 치지 않거나 드물게 친다. 줄기 아랫부분은 흔하게 보라색을 띤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이 5~9cm, 잎몸은 원형으로 길이와 폭이 2~3cm, 깃꼴로 2~3회 갈라지며 털이 없다. 줄기잎은 2~3개가 어긋나게 달리며 피침형으로 길이 1.5~3.0cm, 폭 0.5~1.0cm, 1~2회 깃꼴로 갈라지며 털이 없다. 머리모양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중간에서부터 이삭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수과, 난상, 길이 2mm쯤이고, 9~10월에 익는다. 우산털은 없다. 한반도 북부지방 함경북도에 나며, 러시아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기본종은 전체에 털이 많고 머리모양꽃이 붙는 줄기 끝부분과 꽃줄기에 선형의 긴 잎들이 많으므로 증산쑥과 다르다. 신탄재로 사용하고, 줄기와 잎은 약용한다.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영아리난초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Nervilia nipponica   난초과   영아리난초속   1,516
큰물통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lea hamaoi   쐐기풀과   물통이속   1,517
무산곰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gularia japonica   국화과   곰취속   1,517
다발골무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utellaria asperiflora   꿀풀과   골무꽃속   1,517
개차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plenium oligophlebium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1,517
가는잎태양국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azania linearis   국화과   태양국속   1,517
큰천일사초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rugulosa   사초과   사초속   1,518
좀솔방울고랭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irpus fuirenoides   사초과   고랭이속   1,518
송금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licarpa japonica var. taquetii   마편초과   작살나무속   1,518
들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duriuscula   사초과   사초속   1,518
국화잎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bonariense   배추과   다닥냉이속   1,519
큰새포아풀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trivialis   벼과   포아풀속   1,520
조이삭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phaeothrix   사초과   사초속   1,520
등골나물아재비 [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eratum conyzoides   국화과   등골나물아재비속   1,520
칠보개물통이 [0/1] 국가표준식물목록 Parietaria micrantha var. coreana   쐐기풀과   개물통이속   1,521
증산쑥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borealis   국화과   쑥속   1,521
좀도깨비사초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idzuroei   사초과   사초속   1,521
개사탕수수 [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ccharum spontaneum   벼과   개사탕수수속   1,521
흰골병꽃나무 Weigela hortensis for. nivea   인동과   병꽃나무속   1,522
털새모래덩굴 국가표준식물목록 Menispermum dauricum f. pilosum   방기과   새모래덩굴속   1,52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