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잔솔잎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잔솔잎사초(Carex capillacea Boott)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06:04:22 11:23:36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280 X 960

    별꽃

  • 다년초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20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사초속(Carex) 226종
국명잔솔잎사초
학명Carex capillacea Boott
원산지한국
분포한국(함북, 함남, 양강, 제주), 중국, 일본, 러시아
전체크기화경(花莖)의 높이는 10-30㎝, 지름 0.5mm.
형태
  • 잎은 편평하거나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선형이며 폭 1㎜정도로서 윗부분이 약간 거칠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엽초는 흑자색이며 늘어지고 다소 갈라진다.
  • 화경(花莖)은 총생하며 섬세하고 지름 0.5mm정도로서 둔한 삼각형이며 높이 10-30cm이고 윗부분이 약간 깔깔하다. 소수(小穗)는 1개가 끝부분에 달리며 길이 5-12mm로서 윗부분에는 3-5개의 수꽃, 밑부분에는 5-10개의 암꽃이 달린다. 자화영(雌花穎)은 넓은 난형이고 길이 2mm로서 둔두이며 1-3맥이 있다. 웅화영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이다.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 과포는 포영보다 약간 길고 옆으로 퍼지며 세모진 넓은 난형, 길이 2.5-3mm로서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잔맥이 있고 뒷면에 맥이 약간 나타나며 밑부분은 둥글고 짧은 대가 있으며 부리는 짧고 요두이다. 수과는 엉성하게 들어있고 삼각상 난형이며 길이 1.5-2mm이다.
서식지▶습한 풀밭과 그늘에서 자란다.
개요낮은 지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매끈하고 조밀하게 모여서 나며, 높이 20~40cm이다. 줄기 아래에는 잎몸이 짧은 잎이 달리고, 위로 갈수록 길어진다. 잎의 너비는 1.0~1.5mm이다. 아래쪽의 잎집은 연한 갈색이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이삭 하나가 달리고 윗부분에는 수꽃이, 아래에는 암꽃이 달리며 수꽃이 달리는 부분의 길이가 약간 짧거나 같다. 이삭의 길이는 0.5~1.0cm이다. 암꽃의 인편은 씨방을 둘러싼 과낭보다 짧고 끝은 뭉뚝하다. 과낭은 넓은 난형으로 2~3mm이고, 성숙하면 뒤로 젖혀진다. 과낭에는 몇 개의 맥이 있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종종 갈색 반점이 있다. 과낭의 부리는 짧고 밋밋하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나며, 뉴질랜드, 인도, 일본, 중국, 타이완;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바늘사초류 중에서 이삭이 크고 수꽃이 달리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종들 중에서 개바늘사초는 잎의 폭이 2~3mm로 넓고, 솔잎사초는 이삭의 길이가 1~2cm로 길므로 구별된다. 끈사초라고도 한다.
근연종*▶긴잔솔잎사초 (var.sachalinensis Ohwi) : 과포가 젖혀지고 길이 3-4mm로서 식물체가 크며 함남 원포리에서 자란다.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댓글 1

  • 별꽃 2006.05.31 19:19:49 촬영일시 : 2006.4.22 인천대공원

    잔솔잎사초(Carex capillacea Boott)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06:04:22 11:23:36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280 X 96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청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for. concolor   장미과   산딸기속   1,403
잡골사초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aphanolepis var. mixta   사초과   사초속   1,403
외잎쑥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viridissima   국화과   쑥속   1,403
별풍경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aximowiczii var. levisaccus   사초과   사초속   1,403
들버들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ix subopposita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1,404
청포아풀 [1/2]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viridula   벼과   포아풀속   1,405
양구슬냉이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elina sativa   배추과   양구슬냉이속   1,405
산바위싱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ogonon limosum   마디풀과   싱아속   1,405
백두산대극 Euphorbia hakutosanensis   대극과   대극속   1,405
청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pellucida   참나무과   참나무속   1,406
염주 [6/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ix lacrymajobi   벼과   율무속   1,406
실개수염 [0/1]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곡정초과   곡정초속   1,406
껍질용수염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arrhena mandshurica   벼과   용수염속   1,406
빈추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insepia sinensis   장미과   빈추나무속   1,408
털제비고깔 [0/2] Delphinium maackianum for. lasiocarpum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1,409
집사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vaginata   사초과   사초속   1,409
얼룩억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Miscanthus sinensis f. variegatus   벼과   억새속   1,409
흰수크령 [0/1] Pennisetum alopecuroides var. albiflorum   벼과   수크령속   1,410
어항마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bomba caroliniana   어항마름과   어항마름속   1,410
난장이이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andenboschia nipponica   처녀이끼과   누운괴불이끼속   1,410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