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육절보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다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green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미꾸리광이속(Glyceria) 9종
국명육절보리풀
학명Glyceria acutiflora Torr. subsp. japonica (Steud.) T.Koyama & Kawano
별명개미피(북한명)
원산지일본, 중국, 북미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20-70㎝
형태
  • 엽신은 길이 10~30cm, 너비 3~6mm, 털이 없으며 끝은 급히 좁아진다. 10~30cm 3~6mm 엽초는 절간보다 길고 털이 없다. 엽설은 길이 4~7mm, 백색 막질로 눈에 띤다. 4~7mm
  • 원추화서는 좁고 길이 15~30cm, 기부는 상위 엽초 속에 있고 소수가 화축에 압착되어 총(raceme)처럼 보인다. 소수는 원주상으로 길이 25~50mm, 8~15개의 소화로 이루어지며 담록색이다. 제1포영은 길이 2mm, 1맥, 제2포영은 길이 4~5mm, 1맥이다. 호영은 길이 7~11mm, 7맥, 피침형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길고 작은 2개의 톱니가 있으며 2맥은 용골을 이룬다.
  • 영과
  • 줄기는 기부가 옆으로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비스듬히 위를 향하며 길이 40~70cm이다. 40~70cm
서식지평지의 습지나 작은 물웅덩이에 자란다.
개요습지 주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아랫부분이 옆으로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고, 줄기는 비스듬히 선다. 높이는 40~70cm이다. 잎집은 마디 간격보다 길고 털이 없다. 잎혀는 길이 4~7mm이고 흰 막질이다. 잎몸은 길이 10~30cm, 너비 3~6mm이다. 꽃은 4~6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길이 15~30cm이고 아랫부분은 가장 위 잎의 잎집에 싸여 있다. 작은이삭은 줄기에 밀착하여 선형으로 보인다. 작은이삭은 선형이고, 길이 2.5~5.0cm, 꽃은 8~15개 들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mm이고, 제2포영은 4~5mm이다. 호영은 7개의 맥이 있고 7~11mm이고, 까락은 없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길고 끝이 2개의 톱니처럼 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유럽육절보리풀에 비해 호영의 끝이 뾰족하고, 내영이 호영보다 길다. 국내에 분포하는 것은 아종으로 구분하거나 독립적인 종으로 보기도 한다. 개미피라고도 부른다.
근연종* ▶두메미꾸리꽝이(G. alnasteretum Komarov):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80-150㎝, 근경은 길다. 잎은 진한 녹색이고 잎혀는 위쪽이 약간 들쭉날쭉하다.
▶긴진돌피(G. effusa Kit.):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다.
▶대택광이(G. spiculosa Roshev.): 높이 70-100㎝, 근경은 옆으로 길게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줄기는 곧게 선다.
▶검정진들피(G. triflora Komarov): 잎몸은 길이 25㎝, 폭 7-10㎜, 잎혀는 길이 2-3㎜이고 막질이며 평두이다.
동정키유럽육절보리풀(G. declinata)에 비하여 내영의 맥은 2개의 톱니(齒)속으로 뻗고 호영 보다 0.8~2.5mm 더 길다. 소수는 길이 25~50mm로 보다 크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민주엽나무 [4/3] 국가표준식물목록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콩과   주엽나무속   1,750
아자비과즐 국가표준식물목록 Gleditsia japonica var. stenocarpa   콩과   주엽나무속   1,477
조각자나무 [6/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editsia sinensis   콩과   주엽나무속   3,657
갯방풍 [10/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ehnia littoralis   산형과   갯방풍속   4,737
조도만두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ochidion chodoense   대극과   조도만두나무속   2,636
육절보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acutiflora subsp. japonica   벼과   미꾸리광이속   1,030
두메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alnasteretum   벼과   미꾸리광이속   1,104
긴진들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effusa Kitag.   벼과   미꾸리광이속   994
검정진들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debilior   벼과   미꾸리광이속   1,345
유럽육절보리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declinata   벼과   미꾸리광이속   1,631
진들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ischyroneura   벼과   미꾸리광이속   983
왕미꾸리광이 [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leptolepis   벼과   미꾸리광이속   1,834
총전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lithuanica   벼과   미꾸리광이속   1,134
대택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eria spiculosa   벼과   미꾸리광이속   1,070
[3/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ine max   콩과   돌콩속   2,918
돌콩 [5/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ine max subsp. soja   콩과   돌콩속   4,000
개감초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yrrhiza pallidiflora   콩과   감초속   1,613
감초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lycyrrhiza uralensis   콩과   감초속   2,966
왜떡쑥 [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naphalium uliginosum   국화과   왜떡쑥속   3,516
천일홍 [4/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omphrena globosa   비름과   천일홍속   2,19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