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왕다람쥐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0소프트웨어Ver.1.02 촬영일자2006:06:08 13:04:56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400/10조리개 최대개방47/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2원본사진 크기3008 X 2000

    벼루

  • 상록다년초
석송과(Lycopodiaceae) 2속 (양치식물문/석송강/석송목)
뱀톱속(Huperzia) 8종
국명왕다람쥐꼬리(희귀멸종위기 식물 : EN 위기종)
학명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대만
전체크기높이 15-30cm
형태
  • 잎은 총생하며 윤채가 있는 짙은 녹색으로서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12-18mm, 폭 1.5-2.0mm이며 표면에는 넓고 약간 도드라진 중륵이 희미하게 나타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약간 밖으로 젖혀지며 끝이 점차 좁아져서 약간 뭉뚝해지고 밑부분이 약간 좁아지는 듯하며 원줄기로 흘러서 능선이 진다. 포자엽은 보통잎과 비슷하거나 약간 작다.
  • 포자낭은 가지 또는 원줄기 끝부분의 엽액에 1개씩 달리고 포자낭수를 만들지 않으며 신장형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끝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 기부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2-3회 갈라지며 길이 30cm에 달한다.
서식지산지의 그늘진 숲 속 바위 또는 나무 위
개요숲속의 나무 또는 바위 위에서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양치식물로 키는 30cm 정도이다. 줄기를 비롯한 가지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하거나 정단부가 다소 밑으로 처지며, 수평적인 원줄기는 없고, 2~4회 차상으로 분지하며, 무성아가 없다. 잎은 빽빽하게 나선상으로 배열하며, 개출하거나 비스듬히 달리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1~1.5cm, 폭 1.5~2m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의 질은 지질이다. 포자잎은 영양잎과 형태가 같거나 약간 차이 나지만 따로 포자낭이삭을 만들지 않는다. 포자낭은 포자잎의 겨드랑이에 달리거나 앞면 기부 부근에 달린다. 포자는 7~9월에 성숙한다. 우리나라 강원도 금강산, 전라남도 대둔산, 지리산, 제주도 한라산 등에 나며, 중국 남부, 타이완, 일본, 인도 등 동아시아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다른 종에 비해 무성아가 없고, 다람쥐꼬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대형이며 잎은 가운데가 가장 넓으므로 구별된다.
근연종* ▶긴다람쥐꼬리 (L.integrifolium MATSUDA et NAK.) : 잎이 길이 15-20mm, 폭 1.5mm이하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5

  • 벼루 2006.02.09 23:58:30 촬영일시 : 2005. 6월 중순 백두산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70소프트웨어Ver.1.02 촬영일자2006:06:08 13:04:56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000조리개 값f/5.6촛점거리400/10조리개 최대개방47/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6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532원본사진 크기3008 X 2000

    잎사이의 희끗한 모습은 포자낭이 떨어지고 남은 흔적입니다.
    * 14-08-28 14:00:37:다람쥐꼬리에서 변경(카르마)

  • 현촌 2006.02.10 08:59:12

    백두산에 다녀 오셨군요. 싱그럽습니다.

  • 벼루 2006.02.12 22:13:04

    잊지 못할 백두산의 식생. 2번을 다녀왔는데 매년 가고픈 꿈을 꿉니다. ^^

  • 벼루 2007.01.20 17:04:57

    양치도감을 구입하고 보니 욘석은 왕다람쥐꼬리로 재동정되었습니다. 죄솧합니다. ^^

  • 통통배 2014.06.11 14:41:35 촬영일시 : 20100514 제주 서귀포시 .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0:05:13 12:49:24감도(ISO)4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1600조리개 값f/6.3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7/10노출보정-2/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0:05:13 16:23:34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600조리개 값f/4.0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2/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6원본사진 크기1195 X 800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10:05:13 16:28:23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800조리개 값f/4.5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33/10노출보정0/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왕다람쥐꼬리(Huperzia cryptomerina (Maxim.) R.D.Dixit) : 벼루EXIF Viewer카메라제조사NIKON CORPORATION카메라모델명NIKON D200소프트웨어Ver.2.00 촬영일자2009:05:04 11:22:49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80조리개 값f/14.0촛점거리1050/10조리개 최대개방40/10노출보정2/6플래쉬Not Fired35mm 환산157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6 X 1024원본사진 크기800 X 1195

    이번에 공부하면서 다시 고쳤습니다.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긴꽃뽀리뱅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Youngia japonica subsp. longiflora   국화과   뽀리뱅이속   1,854
개당주나무 [1/2] 국가표준식물목록 Ribes fasciculatum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1,854
가는홍지네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caudipinna   면마과   관중속   1,854
애기향유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lsholtzia serotina   꿀풀과   향유속   1,855
날개진범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pteropus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855
아프리카문주란 [0/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rinum moorei   수선화과   문주란속   1,856
제주무엽란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canorchis kiusiana   난초과   무엽란속   1,857
좀냉이 [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damine parviflora   배추과   황새냉이속   1,858
민둥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var. umbraculi-fera   콩과   아까시나무속   1,858
큰원추리 [4/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middendorffii   백합과   원추리속   1,859
애기금강제비꽃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iola yazawana   제비꽃과   제비꽃속   1,860
선줄바꽃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onitum raddeanum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1,860
명천장구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myongcheonensis   석죽과   장구채속   1,860
왕다람쥐꼬리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uperzia cryptomerina   석송과   뱀톱속   1,861
진들검정사초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meyeriana   사초과   사초속   1,862
솔잎사초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biwensis   사초과   사초속   1,863
비자란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hrixspermum japonicum   난초과   비자란속   1,863
반들지네고사리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medioxima   면마과   관중속   1,863
멧수영 국가표준식물목록 Rumex alpestris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1,863
펠리온나무 [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llionia scabra   쐐기풀과   펠리온나무속   1,86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