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안면용둥굴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kplant1EXIF Viewer

    kplant1

  •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풀배낭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Digimax V50/a5 소프트웨어Ver 3.31촬영일자2007:05:27 09:45:51감도(ISO)75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2.7조리개 최대개방27/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600 X 1200

    풀배낭

  •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5:09:10 14:03:0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5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800 X 600

    통통배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ish green
백합과(Liliaceae) 33속 (피자식물문/백합강/백합목)
둥굴레속(Polygonatum) 16종
국명안면용둥굴레
학명Polygonatum × desoulavyi Kom.
별명금강용둥굴레, 안민용둥굴레, 조선용둥굴레
원산지한국
분포전국적으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 20-60㎝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2줄로 배열되며 좁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4㎝로서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이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 꽃은 5-6월에 피며 엽액(잎의 겨드랑이)에 달리며 백녹색이고 길이 2.5㎝로서 털이 없다. 화경은 길이 1-2㎝로서 털이 없으며 꽃자루의 중·상부에 포가 달리고 포는 길이 1.5-3㎝, 폭 1-2.5㎝로서 안에 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꽃자루는 길이 2-4㎜이다. 수술대는 편평하고 잔돌기가 있으며 꽃밥보다 약간 길고 꽃밥은 길이 5㎜이다.
  • 장과(종자가 육질의 과피속에 매몰되어 있는 열매)는 둥글며 흑감색으로 익는다.
  • 굵은 근경이 뻗는다.
서식지산지에서 자란다.
개요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굵은 뿌리줄기가 뻗는다. 줄기는 높이 20~60cm로서 윗부분에 능각이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 좁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폭 2.5~4.0cm로서 양 끝이 좁으며 짧은 잎자루가 있는 것도 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백록색이고 길이 2.5cm로서 털이 없다. 꽃자루는 길이 1~2cm로서 털이 없으며 끝에 2~3개의 꽃싸개잎이 달리고, 꽃싸개잎은 길이 1.5~3.0cm, 폭 1.0~2.5cm로서 안에 2개의 꽃이 들어 있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2~4mm이다. 수술대는 편평하고 작은 돌기가 있으며 꽃밥보다 약간 길고 꽃밥은 길이 5mm이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8~9월에 검은 남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동부, 중국 등에 분포한다. 용둥굴레와 형태적으로 비슷하나 꽃싸개잎이 작고 피침형인 점이 다르다. 뿌리줄기와 잎을 약재로 쓴다. 조선용둥굴레, 양덕용둥굴레, 안민용둥굴레, 금강용둥굴레라고도 한다.
근연종* 용둥글레, 목포용둥굴레
동정키윗부분에 능각이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5

  • 통통배 2006.04.21 13:20:45 촬영일시 : 2005.6 경기도가평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5:09:10 14:03:06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0/50조리개 값f/4.0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800 X 600

    영매입니다.
    * 07-03-14 16:33:56 : 둥굴레에서 변경(통통배)
    * 08-05-07 11:29:49 : 용둥굴레에서 변경(통통배)

  • kplant1 2008.01.04 19:07:20 촬영일시 : 5월 충남 청양군 안면도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Viewer

  • 풀배낭 2008.05.13 22:24:57 촬영일시 : 2007-05-27 강원 평창군 흥정산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Digimax V50/a5 소프트웨어Ver 3.31촬영일자2007:05:27 09:45:51감도(ISO)75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2.7조리개 최대개방27/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600 X 1200

  • 풀배낭 2008.05.13 22:26:01 촬영일시 : 2007-05-27 강원 평창군 흥정산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 Techwin카메라모델명Digimax V50/a5 소프트웨어Ver 3.31촬영일자2007:05:27 09:46:35감도(ISO)75촬영모드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30조리개 값f/2.7조리개 최대개방27/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0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600 X 1200

  • Profile 도리뫼 2019.05.07 11:30:45 촬영일시 : 20190504 충남 태안군 안면읍

    안면용둥굴레(Polygonatum × desoulavyi Kom.) : 통통배EXIF DB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19:05:04 09:53:00감도(ISO)400촬영모드수동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13.0촛점거리75/1노출보정0/1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6240 X 4160

    .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92

식물이름 학명 조회
안면용둥굴레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 desoulavyi   백합과   둥굴레속   2,376
누른하늘말나리 [0/12] Lilium tsingtauense for. flavum   백합과   백합속   2,428
망적천문동 [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paragus davuricus   백합과   비짜루속   2,431
꽃장포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ofieldia yoshiiana var. koreana   백합과   돌창포속   2,452
진황정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falcatum   백합과   둥굴레속   2,477
산옥잠화 [3/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sta longissima   백합과   비비추속   2,484
개감채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loydia serotina   백합과   개감채속   2,539
백운산원추리 [6/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hakuunensis   백합과   원추리속   2,550
파란여로 [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Veratrum maackii var. parviflorum   백합과   여로속   2,557
주걱비비추 [1/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sta clausa   백합과   비비추속   2,604
종둥굴레 [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acuminatifolium   백합과   둥굴레속   2,628
큰연영초 [7/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illium tschonoskii   백합과   연영초속   2,653
갯부추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pseudojaponicum   백합과   부추속   2,668
흰처녀치마 [2/4] 국가표준식물목록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   백합과   처녀치마속   2,676
각시원추리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dumortieri   백합과   원추리속   2,676
애기원추리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minor   백합과   원추리속   2,696
왕둥굴레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lygonatum robustum   백합과   둥굴레속   2,721
큰솔나리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lium pumilum   백합과   백합속   2,725
부추 [2/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llium tuberosum   백합과   부추속   2,740
실맥문동 [1/12] 국가표준식물목록 Ophiopogon japonicus var. umbrosus   백합과   맥문아재비속   2,78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