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쌀새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6:25 08:37:54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2.2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280 X 960

    별꽃

  • 다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green
  • 원추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쌀새속(Melica) 5종
국명쌀새
학명Melica onoei Franch. & Sav.
원산지일본, 중국, 만주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90-120㎝
형태
  • 엽신은 길이 15~30cm, 너비 4~10mm이다. 15~30cm 4~10mm 엽초는 원통형으로 절간보다 길고 아래쪽을 향한 강모가 성기게 있으며 엽초구부 가장자리와 근처에는 털이 있다. 엽설은 막질로 길이 0.2~0.5mm, 재두이다. 0.2~0.5mm
  • 개방원추화서로 길이 30~35cm, 가지는 반윤생상으로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성기게 소수가 달린다. 소수의 자루 끝에는 백색의 털이 모여난다. 소수는 납작한 타원형으로 길이 6~9mm, 2개의 임성소화와 퇴화된 소화가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3mm, 1맥, 제2포영은 길이 3~4mm, 5맥이다. 호영은 타원형으로 길이 4.5~5.5mm, 두꺼운 지질로 용골이 없이 7맥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2맥이다. 끝에 있는 불임소화는 미숙한 임성소화와 비슷하다.
  • 영과
  • 근경은 길고 줄기는 직립하며 높이 75~110cm, 가지를 치지 않는다. 75~110cm
서식지숲 속에 자란다.
개요산지 다소 습하고 햇빛이 드는 트인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길다. 높이는 80~110cm이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집은 마디를 덮고, 밑을 향한 거센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15~30cm, 너비 4~10m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0.2~0.5mm로 끝이 편평하다. 꽃은 8~9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에는 마디에 2~3개의 가지가 달리고 작은이삭이 듬성듬성 달리며, 전체 길이는 30~35cm이다. 작은이삭은 자루에 흰색 털이 있고, 긴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길이 6~9mm, 2개의 임성인 꽃과 퇴화된 꽃이 하나 들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3mm이고 맥이 1개이며, 제2포영은 길이 3~4mm이고 맥이 5개이다. 호영은 7개의 맥이 있고 4.5~5.5mm이며, 까락이 없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2개의 맥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왕쌀새와 참쌀새에 비해서 작은이삭은 긴 타원형이고, 전체 꽃차례의 가지는 길게 자라므로 구별된다. 껍질새라고도 부른다.
동정키참쌀새(M. scabrosa)에 비해 화서의 가지는 길이 4~10cm정도로 길며 소수는 가는 자루가 있어서 아래로 숙인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6

  • 별꽃 2006.06.25 20:31:09 촬영일시 : 2006.6.25 시흥 옥구공원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ONY카메라모델명CYBERSHOT촬영일자2006:06:25 08:37:54감도(ISO)1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0/1250조리개 값f/2.2촛점거리97/10조리개 최대개방33/16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600원본사진 크기1280 X 960

  • 여울목 2006.08.16 20:59:15 촬영일시 : 2006.7.30 청주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OLYMPUS IMAGING CORP.카메라모델명u810/S810소프트웨어Version 1.0촬영일자2006:07:30 15:37:51감도(ISO)64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0/5000조리개 값f/2.8촛점거리74/10조리개 최대개방297/100노출보정0/10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1536 X 2048

  • Profile 추풍 2006.09.27 00:14:37 촬영일시 : 2006.9.26 계양산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DIGIMAX 350SE소프트웨어andoWKS15촬영일자2006/09/26 13:22:52감도(ISO)100촬영모드조리개우선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00조리개 값f/2.6조리개 최대개방37/1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사진 크기600 X 800원본사진 크기534 X 740

  • 산들꽃 2018.10.03 20:54:05 촬영일시 : 20181003 경북 영덕군 팔각산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18:10:03 12:05:34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중앙부중점측광노출시간1/33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68 X 1024원본사진 크기768 X 1024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samsung카메라모델명SM-N950N소프트웨어Digital Photo Professional촬영일자2018:10:03 12:05:45감도(ISO)200촬영모드Program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스팟측광노출시간1/33조리개 값f/1.7촛점거리430/100조리개 최대개방153/100노출보정0/10플래쉬Not Fired35mm 환산26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768 X 1024원본사진 크기768 X 1024

  • Profile 도리뫼 2022.10.02 11:04:19 촬영일시 : 20221002 경기 김포시 통진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22:10:02 12:59:43감도(ISO)10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7.1촛점거리4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12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10:02 13:00:20감도(ISO)10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800 X 12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촬영일자2022:10:02 13:00:41감도(ISO)10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7.1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8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10:02 13:03:19감도(ISO)10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25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8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

  • Profile 도리뫼 2023.02.13 01:26:22 촬영일시 : 20220917 강원 태백시 백병산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09:17 12:30:03감도(ISO)4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20.0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9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09:17 12:30:18감도(ISO)4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20.0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200 X 9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Melica onoei Franch. & Sav.) : 별꽃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6D Mark II소프트웨어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촬영일자2022:09:17 12:33:13감도(ISO)400촬영모드Manual노출모드Manual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조리개 값f/20.0촛점거리105/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199 X 800원본사진 크기6240 X 4160

    쌀새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96

식물이름 학명 조회
진퍼리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linia japonica   벼과   몰리니아속   9,714
산조풀 [3/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lamagrostis epigejos   벼과   산새풀속   4,942
나도바랭이새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stegium vimineum   벼과   민바랭이새속   4,854
조릿대 [3/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sa borealis   벼과   조릿대속   4,810
주름조개풀 [2/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plismenus undulatifolius   벼과   주름조개풀속   4,585
갈대 [4/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ragmites australis   벼과   갈대속   4,506
달뿌리풀 [2/3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ragmites japonicus   벼과   갈대속   4,375
[2/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Oryza sativa var. sativa   벼과   벼속   4,174
수크령 [3/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nnisetum alopecuroides   벼과   수크령속   4,160
강아지풀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viridis   벼과   강아지풀속   4,045
기장대풀 [3/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sachne globosa   벼과   기장대풀속   4,000
[3/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mperata cylindrica   벼과   띠속   3,948
물억새 [1/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scanthus sacchariflorus   벼과   억새속   3,937
[3/3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Zizania latifolia   벼과   줄속   3,828
흰줄갈풀 [3/17]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laris arundinacea var. picta   벼과   갈풀속   3,783
까락빕새귀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sterilis   벼과   참새귀리속   3,684
가을강아지풀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etaria faberi   벼과   강아지풀속   3,680
보리 [3/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벼과   보리속   3,663
모새달 [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hacelurus latifolius   벼과   모새달속   3,651
큰듬성이삭새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icrostegium vimineum var. polystachyum   벼과   민바랭이새속   3,63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