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산천궁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산천궁속(Conioselinum) 3종
국명산천궁
학명Conioselinum kamtschaticum Rupr.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부 이북의 고산 초지에 분포
▶우리나라 고산 계곡에 야생
전체크기높이는 50cm내외
형태
  • 근생엽과 밑부분의 줄기잎은 엽병이 길고 삼각형이며 길이 10~15cm로서 3출엽이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최종열편은 좁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며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가 거칠며 소맥이 뚜렷하고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엽병이 엽초로 퇴화된다.
  • 꽃은 백색으로 8월경에 피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서 가지끝에 정생 또는 액생하고 꽃잎은 5개이다. 총포조각은 선형으로서 소산경보다 짧으며 소산경은 길이 2-3cm로서 10-20개이고 꽃자루와 더불어 안쪽 및 화경 윗부분에 돌기같은 털이 있다. 소총포조각은 선형이며 꽃보다 길거나 같고 꽃자루는 20-30개로서 길이 6-8mm이다. 수술은 5개이며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2개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젖혀진다.
  • 열매는 긴타원모양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건피질이고 넓은 날개가 있다. 특히 분과의 배 중에 명료한 3개의 날개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꽃차례 이외에는 털이 없으며 속이 비어 있다.
  • 뿌리에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서식지고산 초원에 난다.
개요바닷가의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50cm쯤이다. 꽃차례에만 털이 있고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삼각형이며 길이 10~20cm이다. 3회 깃꼴겹잎으로 최종 갈래는 좁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 또는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며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 밑에 큰 잎집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는데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 겹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작은산형꽃차례는 10~20개이며 모인꽃싸개잎과 작은모인꽃싸개잎은 선형이다. 열매는 분과이고 긴 타원형이며 날개 모양의 능선이 3개 있고 얇다. 우리나라 함경도에 나며, 러시아, 일본 등에 분포한다.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섬바디와 유사하나, 꽃받침의 톱니가 뚜렷하지 않고 열매의 날개가 얇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뿌리는 약용한다.
근연종*토천궁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산궁궁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nioselinum smithii   산형과   산천궁속   124
두메천궁 국가표준식물목록 Conioselinum filicinum   산형과   산천궁속   1,569
산천궁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nioselinum kamtschaticum   산형과   산천궁속   1,616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