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비단분취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purple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취나물속(Saussurea) 47종
국명비단분취(한반도특산식물)
학명Saussurea komaroviana Lipsch.
원산지한국
분포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 40~70cm이다.
형태
  •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일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엽병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5~5cm로서 굽은 털이 밀생하고 엽신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예첨두이고 길이 6~1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면모가 밀생하여 회색으로 되고 맥 위에 굽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만형(灣形) 또는 치아상의 거치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짧고 윗부분의 잎은 밑부분의 잎과 거의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진다.
  •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23mm로서 2~8개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길이 16mm, 지름 19mm로서 뒷부분에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8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달걀모양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모두 예두이며 자줏빛이 돌고 내편은 선형 예두이다. 통상화는 길이 15mm이며 관모는 2줄이고 길이 12mm로서 뒷부분이 백색이며 돌기 또는 털이 있다.
  • 수과로 관모는 2줄이고 깃 모양이다.
  • 높이 40-70cm로서 둥글지만 줄이 있고 밑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갈색 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 근경은 가늘며 옆으로 뻗는다.
개요높은 산의 비탈진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가늘며 옆으로 뻗고 줄기는 높이 40~70cm이고, 둥글지만 줄이 있고 갈색 털이 약간 있으며 윗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아랫부분은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의 일부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뿌리잎은 아래쪽 잎과 더불어 잎자루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3.5~5cm이고 굽은 털이 밀생한다. 잎몸은 길이 6~10cm의 장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거나 길게 뾰족하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회색으로 되며 맥 위에 굽은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굽은 모양 또는 이모양톱니가 있다. 머리모양꽃은 7~9월에 피는데 지름 2.3cm, 2~8개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뒷부분에 털이 밀생하고 모인꽃싸개 조각은 8줄로 늘어선다. 통모양꽃은 길이 1.5cm이다. 열매는 수과, 우산털은 2줄로 늘어서며 뒷부분이 흰색이고 돌기 또는 털이 있다. 우리나라 함경남도 혜산진, 부전고원, 함경북도 백두산 등 북부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이 종은 바깥쪽 모인꽃싸개 조각의 끝부분이 뾰족하며 겉에 융털이 밀생하는 점에서 바깥쪽 모인꽃싸개 조각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는 백운취와 구별된다. 관상식물로 심는다. 실버들분취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2)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3)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비단쑥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rtemisia lagocephala   국화과   쑥속   1,908
비단분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komaroviana   국화과   취나물속   1,170
붉은톱풀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hillea alpina subsp. rhodoptarmica   국화과   톱풀속   2,651
붉은씨서양민들레 [3/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araxacum erythrospermum   국화과   민들레속   1,893
붉은서나물 [6/4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echtites hieraciifolius   국화과   붉은서나물속   4,585
불로화 [4/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geratum houstonianum   국화과   등골나물아재비속   3,848
불란서국화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rysanthemum leucanthemum   국화과   쑥갓속   1,853
불꽃씀바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milia flammea   국화과   불꽃씀바귀속   1,975
분취 [4/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seoulensis   국화과   취나물속   2,667
북분취 [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mongolica   국화과   취나물속   3,046
봄망초 [6/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geron philadelphicus   국화과   개망초속   4,176
병풍쌈 [3/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firmus   국화과   박쥐나물속   3,944
별꽃아재비 [4/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alinsoga parviflora   국화과   별꽃아재비속   3,258
벌씀바귀 [4/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xeris polycephala   국화과   선씀바귀속   3,605
벌등골나물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atorium makinoi var. oppositifolium   국화과   등골나물속   3,692
벌개미취 [4/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koraiensis   국화과   참취속   3,773
벋음씀바귀 [4/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xeris japonica   국화과   선씀바귀속   3,537
버들취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amurensis   국화과   취나물속   1,489
버들잎엉겅퀴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irsium lineare   국화과   엉겅퀴속   3,806
버들분취 [6/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ussurea maximowiczii   국화과   취나물속   3,813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