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분개구리밥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개구리밥과(Lemnaceae) 3속 (피자식물문/백합강/천남성목)
분개구리밥속(Wolffia) 2종
국명분개구리밥(외래식물)
학명Wolffia arrhiza (L.) Wimm.
별명좀분개구리밥
분포중부 이남
형태
  • 단독 또는 2개의 엽상체가 군체를 한다. 엽상체는 배면은 평탄하고 하부는 비대한 몸속에 가장 폭이 넓은 타원체로 되며 달걀모양 또는 반구형이다. 엽상체는 길이 0.03∼0.08cm, 너비 0.02∼0.05cm이다.
  • 꽃은 엽상체 표면 중앙 부근의 화공에 1개 달리며 1개의 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 종자는 공모양이다. 겨울에는 엽상체가 전분을 저장하여 식아로 되어 물속에 잠겼다가 이른 봄 식아가 떠올라 새로운 엽상체를 싹 틔운다.
서식지연못이나 늪지의 물 위에 난다.
개요연못이나 논의 물 위에 떠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뿌리가 없으며, 잎은 엽상체로 타원 모양의 반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길이 0.8~1.3mm, 폭 0.6~0.8mm, 높이 0.6~0.8mm다. 끝부분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와 붙어 있어 눈사람처럼 보인다. 꽃은 엽상체 윗면의 홈에 수꽃과 암꽃이 1개씩 피며 꽃잎과 꽃받침이 없다. 씨는 공 모양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아프리카, 유라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개구리밥속 식물이나 좀개구리밥속 식물보다 크기가 작고 뿌리가 발달하지 않아 구분된다. 꽃피는 식물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분류군으로 물에 떠 있는 경우 벼과나 사초과 식물의 씨처럼 보인다. 어류 및 수서생물의 먹이가 되며, 수질 정화 기능을 한다. 분개구리밥풀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뿌리와 잎맥이 없다. 극히 작은 다년생 부유식물로 다른 부초와 혼생하는 것이 많다.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큰개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mesoso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196
주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wichura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131
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chinens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259
섬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hachijoens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088
산개고사리 [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vidalii   개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416
버들참빗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paria lancea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2,447
민두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ibiricum var. glab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58
두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ibiric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200
내장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squamiger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49
나도좀진고사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paria pseudoconilii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1,454
구슬개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thyrium deltoidofrons   개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401
검정비늘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virescens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376
개톱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okudairae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475
개좀진고사리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eparia × angustata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3,117
깃주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zium mettenianum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203
가좀진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Deparia oldhamii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103
제주암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Diplazium taquetii   개고사리과   주름고사리속   107
좀개구리밥 [4/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mna aequinoctialis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속   6,683
분개구리밥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Wolffia arrhiza   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속   2,441
개구리밥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pirodela polyrhiza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3,768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