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백송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청암

    청암

  •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설뫼*

    설뫼*

  •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봄까치꽃

    봄까치꽃

  •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상록침엽교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소나무과(Pinaceae) 6속 (나자식물문/소나무강/소나무목)
소나무속(Pinus) 15종
국명백송
학명Pinus bungeana Zucc. ex Endl.
원산지중국 북부 원산
분포전국에 관상용으로 식재
전체크기높이 15m, 지름 1.7m,
형태
  • 바늘형이며, 3장씩 모여 나고, 굳고 곧으며, 길이는 43.2~77.9mm, 너비는 1.0~1.5mm이고, 아린은 빨리 떨어진다. 유관속은 1개이며, 수지구는 5~6개이고, 표피가까이에 위치한다. 기공의 형태는 약간 작으며, 부세포가 둥글게 돌출하여 마치 분화구의 모양을 하고, 배축면 전반에 규칙적으로 분포한다.
  • 개화기는 4~5월, 암수한그루, 수꽃은 장타원형이고, 암꽃은 난형으로 길이는 6.6~12.3mm이다.
  • 난형이며, 길이 6cm 정도, 너비 4.5cm 정도이다. 실편은 50~60개이고, 갈색이 돌며, 마름모형이고, 옆으로 주름이 발달하며, 정단 비후부의 돌기는 길이 3mm이다. 종자는 난형이고, 길이 10mm, 너비 5~6(9)mm이다. 흑갈색이지만 뒷면은 대개 연한 갈색 바탕에 반점이 있고, 떨어지기 쉬운 길이 3mm 정도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결실기는 다음해 10월이다.
  • 높이 15m, 지름 1.7m에 달하며 수피는 밋밋하고 큰비늘처럼 벗겨져 회백색을 나타내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이라고 한다. 어릴 때에는 줄기의 색깔이 연한 녹색을 띠나 수령이 많아짐에 따라 회백색으로 변하고, 표면이 평활하고 플라타너스의 수피처럼 얼룩을 만들면서 얇게 수피가 떨어져 나간다. 큰 가지가 나오며 수관이 둥글게 발달한다.
서식지해발 500~1,800m 사이의 산이나 언덕
개요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수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바늘잎 큰키나무다. 줄기는 높이 25~30m 정도로 자라며, 나무껍질은 회백색, 비늘조각처럼 벗겨진다. 어린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3개씩 모여나고, 바늘 모양으로 길이 5~10cm, 폭 0.5~2.0mm, 양면은 진한 녹색, 공기구멍선이 있으며 단면은 삼각상 부채 모양이다. 비늘잎집은 잎이 나오자마자 곧 떨어진다. 암수한그루이며, 4~5에 수분한다. 수구화수는 장타원형, 암구화수는 난형이다. 구과는 난형, 이듬해 10~11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데, 길이 5~7cm, 폭 4~6cm, 50~60개의 실편으로 덮여 있다. 실편은 넓은 타원형으로 밑이 쐐기 모양이며,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씨는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9~12mm, 검은 갈색이나 뒷면은 연한 갈색에 반점이 있고 날개가 있다. 중국 원산을 우리나라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소나무에 비해 나무껍질이 비늘조각처럼 벗겨지며, 회백색을 띠므로 구분된다. 목재는 가구재, 세공재로 쓰며, 관상용으로 정원이나 공원, 유원지 등에 심는다.흰소나무라고도 한다.
동정키다른 3엽송의 유관속이 2개인 반면, 백송은 3엽송이면서 5엽송의 특징인 1개의 유관속을 갖는다. 또한 5엽송인 잣나무와 같이 유관속이 1개이면서 기공의 부세포가 돌출되는 형질을 가진다. 반면, 종자의 날개는 3엽송 그룹과 같이 길게 발달한다. 유전분석 결과에서 3엽송 분류군보다 5엽송의 그룹과 더욱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형태적으로 유관속의 수가 소나무속 내에서 그룹을 나누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22

  • 현촌 2005.12.28 09:28:33 촬영일시 : 2004.11.19. 경기도 시흥시 옥구공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현촌 2005.12.28 09:31:14 촬영일시 : 2004.05.15. 경기도 시흥시 옥구공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꽃

  • 들국화 2006.04.16 23:10:12 촬영일시 : 2006 .4 .16 소래산 연세대학교 농장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1991 년에 재식한 수종입니다

  • 별꽃 2006.06.08 14:32:43 촬영일시 : 2002.4.3 경기도 이천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Profile 추풍 2006.09.01 22:50:26 촬영일시 : 2006.8.31 창경궁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07.10.22 13:45:18 촬영일시 : 2007.10.21.10:16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snowbell 2008.03.30 21:55:58 촬영일시 : 2008. 03. 20 서울 동대문구 홍릉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

  • 청암 2009.06.26 16:40:12 촬영일시 : 09.5.22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청암 2009.06.26 16:41:36 촬영일시 : 09.5.22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Profile 봄까치꽃 2009.09.17 17:50:02 촬영일시 : 2009-9-13 충남 청양군 청양읍 군량리 고운식물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꽃사랑 2010.12.20 19:45:06 촬영일시 : 20101219 서울 종로구 창경궁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달걀 2011.06.22 01:40:36 촬영일시 : 20110119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천연기념물 제60호 고양송포백송

  • Profile 무심거사 2012.03.29 17:40:32 촬영일시 : 20120328 서울 강남구 선릉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2.05.27 19:33:19 촬영일시 : 20120527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곰배령 2013.09.11 23:02:28 촬영일시 : 20130910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산들꽃 2014.02.17 17:47:51 촬영일시 : 20140217 경북 경주시 산림환경연구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4.05.20 23:09:55 촬영일시 : 20140516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박용석nerd 2015.07.08 23:56:14 촬영일시 : 20150708 경기 성남시 분당구 영장산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눈송이 2018.09.13 15:54:30 촬영일시 : 20180913 서울 종로구 창경궁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 산들꽃 2023.05.07 22:17:12 촬영일시 : 20230507 경남 양산시 통도사 부근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

  • 산들꽃 2024.02.07 20:46:12 촬영일시 : 20240207 경남 양산시 통도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

  • 산들꽃 2024.05.03 06:28:30 촬영일시 : 20240502 경남 양산시 통도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 무심거사

    백송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44

식물이름 학명 조회
구주소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sylvestris   소나무과   소나무속   2,350
테에다소나무 [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taeda   소나무과   소나무속   2,360
일본전나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firma   소나무과   전나무속   2,511
잎갈나무 [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rix gmelinii var. olgensis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2,705
눈잣나무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pumila   소나무과   소나무속   2,960
분비나무 [5/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nephrolepis   소나무과   전나무속   2,978
금강소나무 [0/10] Pinus densiflora for. erecta   소나무과   소나무속   3,111
가문비나무 [5/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jezoensi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3,187
섬잣나무 [3/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parviflora   소나무과   소나무속   3,216
백송 [4/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bungeana   소나무과   소나무속   3,537
일본잎갈나무 [4/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arix kaempferi   소나무과   잎갈나무속   3,596
곰솔 [4/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thunbergii   소나무과   소나무속   3,699
독일가문비 [4/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abie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3,706
솔송나무 [6/23]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suga sieboldii   소나무과   솔송나무속   3,777
잣나무 [2/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koraiensis   소나무과   소나무속   3,861
리기다소나무 [2/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rigida   소나무과   소나무속   3,928
개잎갈나무 [6/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drus deodara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   3,995
스트로브잣나무 [3/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us strobus   소나무과   소나무속   4,033
종비나무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cea koraiensis   소나무과   가문비나무속   4,058
구상나무 [5/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koreana   소나무과   전나무속   4,340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