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무늬천남성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김새벽

    김새벽

  •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통통배

  •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통통배

  •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통통배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Dark violet
  • 수상화서,
천남성과(Araceae) 8속 (피자식물문/백합강/천남성목)
천남성속(Arisaema) 9종
국명무늬천남성
학명Arisaema thunbergii Blume
원산지한국
분포남쪽 섬에서 자란다.
전체크기꽃대의 높이 10-20cm
형태
  • 잎은 1개이며 길이 30-60cm의 엽병이 있고 소엽은 9~17개이며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중앙부의 소엽은 길이 10-25cm, 나비 1-4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아래 위로 물결모양이 되고 짙은 녹색이다.
  • 5월경에 높이 10-20cm의 꽃대가 나와 이삭꽃차례가 달리며 포는 흑자색이 돌고 판연은 달걀모양으로서 판통 윗부분을 덮으며 흑자색이 돌고 상반부는 밑으로 처지면서 끝이 실처럼 가늘어지며 길이 8-10cm이다. 꽃차례는 윗부분이 흑자색이고 채찍처럼 30~50cm로 길어지며 판연 밑에서 위로 나와 곧추섰다가 밑으로 처지고 밑부분은 굵어지며 잔주름이 많으나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가늘어진다. 꽃은 이가화이다.
  • 열매는 옥수수 알처럼 붙어서 적색으로 익는다.
  • 구경(알줄기)은 편평한 알형이다.
  • 알줄기는 편평한 구형이며 작은 알줄기가 옆에 달리고 수염뿌리가 윗부분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서식지다소 어두운 곳에서 자생하며, 꽃이 질때까지는 햇볕에서 잘 자라나 그 이후에는 그늘에서 잘 자란다.
개요그늘진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둥글고 납작하다. 잎몸은 길이 30~60cm, 9~17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가운데 있는 작은잎은 길이 10~25cm, 폭 1~4cm로 가장 크다. 꽃은 5월에 암수딴포기로 핀다. 불염포는 진한 자주색이고 깔때기 모양으로 위로 갈수록 넓어진다. 육수꽃차례의 부속물은 채찍 모양으로 길이 30~50cm, 불염포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장과, 붉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에 분포한다. 이 종은 두루미천남성, 섬천남성에 비해 가운데에 있는 작은잎이 가장 크므로 구분된다. 땅속줄기는 진통제로 쓴다. 꼬리천남성이라고도 한다.
동정키1. 화수부속체가 불염포밖으로 길게 뻗고, 끝부분은 사상이며 기부에 병이 없다. 엽서는 2/5이다
2. 위경이 엽병보다 훨씬 짧으며, 육수화서는 단성의 꽃으로 되어있고, 정소여이 측소엽보다 작지 않다. 화분립의 돌기 사이가 평활하다................................................................. 1.무늬천남성 A. thunbergii
2. 위경이 엽병보다 길며, 육수화서는 암꽃과 수꽃으로 되어있거나 오직 수꽃만으로 되어있고,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훨씬 작다. 화분립은 돌기 사이가 과립상이다. .................... 2.두루미천남성 A. heterophyllum
1. 화수부속체는 완전히 불염포 현부 안에 있으며, 끝부분은 원추형 또는 곤봉형이며, 입서는 나선상 대상(1/2)이다
3.불염포의 현부는 주머니 모양 - 투구모양이다. ............... 3.큰천남성 A. ringens
3. 불염포의 현부는 앞으로 펼쳐저 있거나 숙였거나 기울어져 있다.
4. 소엽편이 3-5매이다........................................... 4.둥근잎천남성 A. amurense
4. 소엽편이 5-19매이다.
5. 소엽편의 표면에 무늬가 없고, 화수부속체가 원추형이다.
.............................................. 5.점박이천남성 A. peninsulae
5. 소엽편의 표면에 무늬가 있고, 화수부속체가 곤봉형이다.
.............................................. 6.섬남성 A. takesimense
참고문헌1)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

댓글 8

  • 가야 2006.04.03 22:50:45 촬영일시 : 2006.4.1 양재동 야생화 전시장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 08-05-29 10:35:31 : 섬천남성에서 변경(카르마)

  • 김새벽 2006.04.17 05:11:19 촬영일시 : 2006.4.16 성남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06-04-21 20:28:23 : 두루미천남성에서 변경(카르마)

  • 현촌 2006.04.17 19:55:06

    참으로 신비하게 생겼습니다. 끝에 마치 하얀 실 같은 것이 달려 있군요? 실물을 보고 싶군요.

  • 통통배 2014.05.09 11:40:24 촬영일시 : 20140501 제주 서귀포시 .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자생상태입니다.

    첨으로 봤습니다.

  • 오솔 2016.02.14 07:48:41 촬영일시 : 20150619 제주 제주시 중산간 곶자왈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Profile 설뫼* 2017.05.27 16:19:30 촬영일시 : 20170526 강원 인제군 무심방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오솔 2017.06.16 01:01:56 촬영일시 : 20170424 제주 제주시 중산간 곶자왈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Profile 추풍 2020.01.27 10:37:11 촬영일시 : 20190525 제주 제주시 큰지그리오름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무늬천남성(Arisaema thunbergii Blume) : 통통배

    .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섬쑥부쟁이 [8/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er pseudoglehnii   국화과   참취속   10,551
진퍼리새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linia japonica   벼과   몰리니아속   9,714
서부해당화 [5/47]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alus halliana   장미과   사과나무속   9,109
호랑가시나무 [5/4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lex cornuta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8,821
노루귀 [5/17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patica asiatica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8,542
회양목 [5/5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uxus sinica var. insularis   회양목과   회양목속   8,146
애기동백나무 [1/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ellia sasanqua   차나무과   동백나무속   8,069
비파나무 [3/2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iobotrya japonica   장미과   비파나무속   7,952
동백나무 [3/7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ellia japonica   차나무과   동백나무속   7,870
낙상홍 [3/4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lex serrata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7,679
히어리 [3/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ylopsis coreana   조록나무과   히어리속   7,582
감태나무 [4/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ndera glauca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7,521
댕댕이덩굴 [6/5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cculus orbiculatus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7,421
변산바람꽃 [7/9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anthis byunsanensis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7,340
줄사철나무 [2/33] 국가표준식물목록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7,238
무궁화 [4/7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ibiscus syriacus   아욱과   무궁화속   7,225
푼지나무 [4/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elastrus flagellaris   노박덩굴과   노박덩굴속   7,221
콩배나무 [3/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장미과   배나무속   7,149
화살나무 [5/5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onymus alatus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6,902
촛대승마 [7/3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ctaea simplex   미나리아재비과   노루삼속   6,68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