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말발도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설뫼*

    설뫼*

  •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여로

  • 낙엽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방화서,
범의귀과(Saxifragaceae) 17속 (피자식물문/목련강/장미목)   ---->수국과(Hydrangeaceae)
말발도리속(Deutzia) 8종
국명말발도리
학명Deutzia parviflora Bunge
별명당매수류, 태백말발도리,말발도리나무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대부분 백두대간에 분포.
전체크기높이 2m.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꼴, 달걀상 타원형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3)4 ~ 8cm, 폭3 ~ 3.5 cm이지만 맹아의 경우 길이가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 5개로 갈라진 별모양의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도 3 ~ 7mm로, 별모양의 털 있다.
  • 꽃은 5월 중순 ~ 6월 중순에 피고, 지름 10 ~ 12mm정도로서 백색이며 성모가 있고 편평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꽃잎도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는 거의 톱니가 없으며 암술대는 3개이고 밀선반에 성모가 있다.
  • 열매는 삭과로서 종모양 구형이며 지름 2 ~ 3mm이고 별모양털이 있으며 8월 말 ~ 10월 중순에 성숙하며 끝은 세모진모양으로서 5개로 갈라진다.
  •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녹갈색 또는 녹색이며 성모가 있고 늙은 가지는 흑회색이다.
서식지▶산지의 계곡부 바위틈에서 자란다.
▶비교적 중성땅을 좋아한다.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가 적합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이 좋다.
▶수분요구도가 낮고 내건성이 커서 어디에서나 잘 자라며 토질을 가리지 않아 습지에서도 볼 수 있다. 내한성과 내염성, 내공해성이 강하다.
개요고산 지역의 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서 높이 1~2m 정도로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올해 만들어진 가지는 연한 갈색으로, 별 모양 털이 달린다. 작년에 만들어진 가지는 회백색으로 거의 털이 없다. 잎은 단엽으로, 길이 6~8cm, 너비 2~4cm로 난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아래쪽은 둔하다. 잎 윗면은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아랫면은 연한 초록색으로 별 모양 털이 나타나기도 하며, 특히 맥 근처에는 별 모양 털이 많이 나타난다. 잎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0.5~1.0cm이며, 별 모양 털이 달린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올해 만들어진 가지 끝이나 곁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에 무리 지어 달린다. 꽃자루와 작은꽃자루에는 별 모양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으로 되어 있으나, 별 모양 털이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삼각형이다. 꽃잎은 하얀색 원형으로 5장이며 길이와 너비 모두 0.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되며, 위아래 쪽에 별 모양 털이 달린다. 수술은 10개이며, 날개 모양이 희미하게 나타난다. 암술대는 3개이며, 암술대 기부 씨방 근처에는 별 모양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여름에 성숙한다. 한반도 함경도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근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2∼3m가량이다. 새 가지는 연한 갈색, 중앙에 별처럼 생긴 털이 달린다. 작년 가지는 회백색으로 거의 털이 없다. 잎은 단엽으로, 길이 6~8cm, 너비 2~4cm로 난상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아래쪽은 둔하다. 잎 윗면은 초록색, 별처럼 생긴 털들이 있으며, 아랫면은 연한 초록색, 별 모양 털이 잎맥 근처에 많이 나타난다. 잎 가장자리에는 끝이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0.5~1.0cm이며, 별 모양 털이 달린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새 가지 끝이나 곁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에 무리 지어 달린다. 꽃받침은 통으로 되어 있으나, 별 모양 털이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5개로 삼각형이다. 꽃잎은 하얀색 원형으로 5장이며 길이와 폭 모두 0.5cm 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수술은 10개이며, 날개 모양이 희미하게 나타난다.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7~10월에 성숙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몽골, 러시아 근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물참대는 잎에 털이 없어 매끈한 느낌을 주나, 말발도리는 잎에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려 다소 껄끄러운 특징을 지니고 있다. 관상용, 녹화용으로 심는다. 말발도리나무라고도 한다.
근연종* ▶태백말발도리(var.barvinervis NAK.): 잎 뒷면 맥위에 밀모(密毛)가 있다.
▶털말발도리(var.pilsa NAK.): 잎 뒷면에 별모양털과 단모(單毛)가 모두 있다.
▶속리말발도리(var.obscula T.LEE): 잎 뒷면에 별모양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동정키맹아력이 좋다.
참고문헌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32

  • Profile 추풍 2006.05.31 21:26:31 촬영일시 : 2006.5.31 인천대공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별꽃 2006.06.06 19:12:02 촬영일시 : 2006.6.6 한택식물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이동 오동정신고건수:1
  • 별꽃 2006.06.06 19:12:20 촬영일시 : 2006.6.6 한택식물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들국화 2006.07.15 23:15:55 촬영일시 : 2006 . 6 . 19 인천대공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꽃사랑 2007.05.16 18:52:28 촬영일시 : 2007.4.28 한택식물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파랑새 2007.07.13 12:48:54 촬영일시 : 2007. 5 서울 선유도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추풍 2008.04.18 19:00:06 촬영일시 : 2008.4.16 경기 남양주시 천마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난헌 2008.05.23 14:07:25 촬영일시 : 02.05.23 경기 화성시 봉담읍 하가등리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꽃밭에서....

  • 난헌 2008.05.23 14:09:47

    이 말발도리는 무늬가 있습니다.

  • 현촌 2009.05.11 08:36:05 촬영일시 : 2009.05.10. 경기 화성시 난헌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꽃사랑 2009.05.11 20:36:07 촬영일시 : 2009.5.10 경기 화성시 농장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꽃사랑 2009.05.30 10:43:56 촬영일시 : 2009.5.30 인천 남동구 남촌동 공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여울목 2009.06.05 00:35:30 촬영일시 : 2009.6.1 충북 음성군 가엽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여로 2009.06.19 20:44:45 촬영일시 : 09,05,30 전북 무주군 덕유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설뫼* 2009.06.23 18:17:01 촬영일시 : 2009.5.17.16:51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현촌 2009.07.11 12:06:23 촬영일시 : 2009.05.30. 서울 동대문구 홍릉수목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여로 2010.06.18 20:55:24 촬영일시 : 20100609 전북 무주군 덕유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무심거사 2012.06.02 20:57:59 촬영일시 : 20120602 강원 인제군 원대리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통통배 2013.05.29 19:18:02 촬영일시 : 20130526 강원 영월군 .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산들꽃 2013.06.18 20:08:56 촬영일시 : 20130616 경북 봉화군 청옥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설뫼* 2013.07.28 20:19:09 촬영일시 : 20130613 강원 평창군 월정사계곡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곰배령 2014.05.28 20:41:50 촬영일시 : 20140528 강원 화천 살랑골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쟈바 2016.05.27 21:30:04 촬영일시 : 20160526 경남 합천군 별유산 부근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계곡 어귀

  • Profile 바지랑대 2016.05.31 19:05:16 촬영일시 : 20160530 강원 태백시 태백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설뫼* 2016.06.02 09:21:32 촬영일시 : 20160524 강원 화천군 간동면살랑골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산들꽃 2016.06.24 10:20:44 촬영일시 : 20160515 경북 경주시 다봉마을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엘레간티시마말발도리(로즈린드)

  • 눈송이 2017.06.29 02:15:26 촬영일시 : 20170621 해외 기타 코펜하겐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별꽃 2019.08.14 12:07:15 촬영일시 : 20190603 인천 연수구 송도동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 Profile 晴嵐 2021.05.24 03:54:17 촬영일시 : 20210522 강원 삼척시 도계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晴嵐 2021.06.01 22:30:01 촬영일시 : 20210530 전남 구례군 지리산 방광리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Profile 晴嵐 2021.06.07 16:28:18 촬영일시 : 20210606 강원 선택 태백산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 산들꽃 2023.05.04 23:06:21 촬영일시 : 20230504 경북 경주시 학동 독주골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Deutzia parviflora Bunge) : 여로

    말발도리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살비아 [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lvia officinalis   꿀풀과   배암차즈기속   2,696
애기원추리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minor   백합과   원추리속   2,696
백운기름나물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eucedanum hakuunense   산형과   기름나물속   2,693
말냉이장구채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lene noctiflora   석죽과   장구채속   2,692
자주개황기 [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ragalus laxmannii   콩과   황기속   2,692
청비녀골풀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Juncus papillosus   골풀과   골풀속   2,692
개병풍 [4/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stilboides tabularis   범의귀과   개병풍속   2,691
선이질풀 [2/2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Geranium krameri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2,690
줄민둥뫼제비꽃 [0/14]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or. variegata   제비꽃과   제비꽃속   2,685
개오동 [4/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talpa ovata   능소화과   개오동속   2,682
노랑미치광이풀 [3/15]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copolia lutescens   가지과   미치광이풀속   2,681
털개살구 [0/3] Pru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장미과   벚나무속   2,680
주저리고사리 [2/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ryopteris fragrans   면마과   관중속   2,678
꽃싸리 [4/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mpylotropis macrocarpa   콩과   꽃싸리속   2,677
각시원추리 [1/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emerocallis dumortieri   백합과   원추리속   2,676
으름난초 [7/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yrtosia septentrionalis   난초과   으름난초속   2,676
흰처녀치마 [2/4] 국가표준식물목록 Heloniopsis breviscapa var. flavida   백합과   처녀치마속   2,676
단수수 [0/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orghum bicolor var. dulciusculum   벼과   수수새속   2,674
흰털새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olcus lanatus   벼과   흰털새속   2,672
이대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asa japonica   벼과   이대속   2,66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