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1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원추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포아풀속(Poa) 31종
국명마디포아풀
학명Poa acroleuca Steud. var. submoniliformis Makino
원산지일본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40-50㎝이다.
형태
  • 엽신은 길이 5.1~11.0cm이고, 너비는 1.4~3.9mm이다. 5.1~11.0cm 1.4~3.9mm 엽초는 매끄럽고, 잎목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다. 엽설의 길이는 0.5~1.8mm, 예두이다. 0.5~1.8mm
  • 개방원추화서이다. 화서는 길이 5~17cm이고, 거칠며 가지는 한 마디에서 2(~5)개의 가지가 나오고, 길이 1.9~8.5cm이다. 소수의 길이는 3~5mm이고, 2~4개의 소화가 달린다. 포영은 거칠고, 제1포영은 길이 2.0~2.6mm이며, 1맥이나 드물게 3맥이다. 제2포영은 길이 2.3~3.0mm이며, 3맥이다. 소화 기반은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가 2.3~2.6mm이며, 5맥이고, 맥과 표면은 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가 1.7~2.1mm, 용골과 표면에 연모가 있다. 소화축은 거칠다. 인피는 2개이고, 막질이며, 길이는 0.2mm이다.
  • 영과
  •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를 내어 곧추선다. 줄기는 높이 17~69cm이고, 납작하며, 마디는 4~6개이다. 줄기 기부는 구근처럼 부풀어 오른다. 17~69cm
서식지저지대 초원에 자란다.
개요낮은 지대 초원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많은 줄기는 모여나서 포기를 이루며, 줄기는 곧게 서며, 아랫부분이 굵게 부푼다. 높이는 17~69cm이고, 4~6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매끈하고 입구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잎혀는 0.5~1.8mm로 막질이다. 잎몸은 길이 5~11cm이고, 너비 1.4~3.9mm이다. 꽃은 4~7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의 마디에서 2개 정도의 가지가 나오며,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5~17cm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3~5mm로, 꽃이 2~4개 들어 있고, 소화 아래에는 긴 털이 있다. 제1포영은 길이 2.0~2.6mm이고, 제2포영은 2.3~3.0mm이다. 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표면에 연한 털이 있으며, 길이는 2.3~2.6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다. 우리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기본종인 실포아풀과는 줄기 아랫부분이 굵게 부푸는 것으로 구분된다. 구슬실꿰미풀, 섬꾸렘미풀로도 부른다.
근연종* ▶실포아풀(P. acroleuca Steud.): 높이 15-35㎝, 줄기는 가냘프다. 잎몸은 납작하고 꺼칠꺼칠하다.
▶두메포아풀(P. alpina L.): 근경은 짧고 줄기는 약간 두껍다. 용골과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맥 사이에 연모가 있다.
▶좀포아풀(P. compressa L.): 높이 20-60㎝, 전체가 회록색, 근경이 옆으로 기고, 줄기는 아주 납작하며,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자주포아풀(P. glauca Vahl): 줄기는 밀생하고 곧게 선다. 잎몸은 황록색, 납작하고 엽초에 털이 없이 매끈하다.
▶가는포아풀(P. mastumurae Hack.): 높이 40-80㎝, 근경은 가냘프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밑이 약간 구부러지며 납작하다.
▶눈포아풀(P. palustris L.): 높이 50-100㎝, 근경은 가냘프고 짧으며, 줄기는 밑이 땅을 긴다.
▶섬포아풀(P. takeshimana Honda): 줄기는 밀생, 가냘프고 줄무늬가 있으며 털이 없다. 줄기 윗부분의 잎몸은 꽃차례보다 길기도 하다.
동정키실포아풀(P. acroleuca)과 비슷하지만 줄기 기부가 부풀어 올라 구근형태를 나타낸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염소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egilops cylindrica   벼과   염소풀속   982
좀꾸러미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radula   벼과   포아풀속   981
두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malacantha var. shinanoana   벼과   포아풀속   977
좀미꾸리광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orreyochloa pallida   벼과   좀미꾸리광이속   976
털가침박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xochorda serratifolia var. oligantha   장미과   가침박달속   970
담상이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achyelytrum japonicum   벼과   담상이삭풀속   965
고사리새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tapodium rigidum   벼과   고사리새속   959
자주이대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벼과   이대속   954
외대쇠치기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emochloa ophiuroides   벼과   외대쇠치기아재비속   953
좀낭아초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hamaerhodos erecta   장미과   좀낭아초속   953
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bulbosa subsp. vivipara   벼과   포아풀속   952
애기향모 [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ierochloe glabra   벼과   향모속   944
이란미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saea heterocarpa   산형과   이란미나리속   944
좀겨풀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ersia oryzoides   벼과   겨풀속   941
아메리카대극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uphorbia heterophylla   대극과   대극속   938
섬꿩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giogyria japonica   꿩고사리과   꿩고사리속   925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벼과   포아풀속   923
일엽아재비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Haplopteris flexuosa   봉의꼬리과   일엽아재비속   922
애기개올미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placrum caricinum   사초과   애기개올미속   921
탐라민바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igitaria violascens var. lasiophylla   벼과   바랭이속   919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