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두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green,violet
  • 원추화서,
벼과(Poaceae) 115속 (피자식물문/백합강/사초목)
포아풀속(Poa) 31종
국명두메포아풀
학명Poa malacantha Kom. var. shinanoana (Ohwi) Ohwi
원산지한국
분포백두산지역 등 북부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는 15~30㎝
형태
  • 잎은 안으로 오그라들거나 편평하고 길이 4~6㎝,나비 4~5㎜로서 표면은 분백색이며 잎혀는 길이 2~4㎜로서 반원형이고 막질이다.
  • 꽃은 5~7월에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는 약간 치밀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5~7cm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가 밋밋하며 2개씩 달리고 옆으로 퍼진다. 작은이삭은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6~8㎜, 나비 4㎜로서 꽃이 들어 있고 자줏빛이 돌지만 다소 연한 녹색인 것도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며 첫째 것은 길이 3~4mm이고 둘째 것은 길이 4~5mm로서 짧은 측맥이 있다. 호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매우 뾰족하며 5맥이 있고 뒷면에 능각이 있으며 길이 5~6mm이고 측면 밑부분과 주맥 및 측맥 중앙부까지 복모가 있다. 꽃밥은 길이 1.5~2mm이다.
  • 다소 모여나기하며 약간 두껍다.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선다.
서식지▶고산지역 풀밭에 자란다.
개요북부지방의 높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서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키는 무릎 높이 아래로 자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의 마디에서 2개 정도의 가지가 나오며, 원추형을 이루고, 길이 5~7cm이다. 작은이삭은 길이 6~8mm로, 꽃이 2~4개 들어 있고, 꽃 아래에는 털이 있다. 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표면에 누운 털이 있으며, 길이 5~6mm이다. 내영은 호영보다 짧다. 꽃은 늦봄에서 여름까지 핀다. 호영의 가장자리가 거칠지 않고, 줄기 아래가 굵어진다. 작은이삭이 가끔 무성아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이삭포아풀(Poa bulbosa)과 유사하지만 이삭포아풀처럼 자주 무성아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31

식물이름 학명 조회
개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Poa bulbosa   벼과   포아풀속   89
북왕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hatusimae   벼과   포아풀속   97
긴왕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ngustifolia   벼과   포아풀속   101
푸른선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lta   벼과   포아풀속   108
애기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versicolor   벼과   포아풀속   108
시베리아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sibirica   벼과   포아풀속   853
자주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glauca   벼과   포아풀속   896
성긴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tuberifera   벼과   포아풀속   915
마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acroleuca var. submoniliformis   벼과   포아풀속   923
이삭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bulbosa subsp. vivipara   벼과   포아풀속   952
두메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malacantha var. shinanoana   벼과   포아풀속   977
좀꾸러미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radula   벼과   포아풀속   981
선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nemoralis   벼과   포아풀속   1,003
좀포아풀 [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compressa   벼과   포아풀속   1,047
울릉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ullungdoensis   벼과   포아풀속   1,073
좀새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deschampsioides   벼과   포아풀속   1,074
코마로브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komarovii   벼과   포아풀속   1,111
갑산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ussuriensis   벼과   포아풀속   1,142
관모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urssulensis var. kanboensis   벼과   포아풀속   1,168
눈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a palustris   벼과   포아풀속   1,172

  • 1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