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더부살이고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설뫼*

  •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설뫼*

  • 상록다년초로 난대성 양치류
관중과(Dryopteridaceae) 3속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18종
국명더부살이고사리
학명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대만
형태
  • 길이 30cm내외로 인편에 바짝 달라붙어 밀생한다. 길이 40cm내외이며 1회우상복엽이다. 중축이 길게 뻗어 끝에 무성아가 붙는다.
  • 포자낭군은 우편의 중륵 가까이에 2줄 또는 3-4줄로 달리며 포막은 방패모양이고 둥글며 빨리 떨어진다.
  • 짧고 덩어리지며 비스듬히 또는 직립한다. 인편은갈색으로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 근경은 굵으며 비스듬히 얕게 들어가고 잎이 더북이 나온다.
서식지해안가 산지의 숲 속
개요해안가의 산지 숲속에 자라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덩어리지며, 비스듬히 또는 곧추선다. 인편은 갈색이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0cm쯤이며, 인편이 바짝 달라붙어 밀생한다. 잎몸은 1회 깃꼴겹잎으로 길이 40cm쯤이다. 중축이 길게 벋어 무성아가 붙는다. 포자낭군은 7~9월에 형성되며, 우축의 양쪽에 1~3줄로 배열한다. 포막은 작고 일찍 떨어진다. 전라남도와 제주도에 자생하며, 국외로는 대만,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댓글 5

  • Profile 설뫼* 2007.03.02 11:35:37 촬영일시 : 2007.1.27.17:23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

  • Profile 무심거사 2012.02.18 14:24:55 촬영일시 : 20120216 해외 일본 대마도 센뵤마키산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도깨비쇠고비류와는 포자낭의 배열이 다르다.

  • 곰배령 2013.09.15 22:51:49 촬영일시 : 20130915 경기 오산시 물향기수목원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 Profile 晴嵐 2023.01.08 23:10:37 촬영일시 : 20230108 경기 여주군 황악산수목원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더부살이고사리

  • 산들꽃 2024.01.18 11:31:28 촬영일시 : 20240117 경남 진주시 경남수목원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 (Hook.) J.Sm.) : 설뫼*

    더부살이고사리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천일사초 [1/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scabrifolia   사초과   사초속   3,290
큰방울새란 [3/2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gonia japonica   난초과   방울새난속   2,945
방울새란 [2/1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ogonia minor   난초과   방울새난속   2,656
고수 [3/2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oriandrum sativum   산형과   고수속   3,798
비늘사초 [5/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phacota   사초과   사초속   3,402
대반하 [9/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nellia tripartita   천남성과   반하속   5,344
흰붓꽃 [3/29]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Iris sanguinea for. albiflora   붓꽃과   붓꽃속   4,122
털쥐똥나무 [0/2] 국가표준식물목록 Ligustrum obtusifolium var. regelianum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1,358
구상나무 [5/4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koreana   소나무과   전나무속   4,340
조름나물 [3/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enyanthes trifoliata   조름나물과   조름나물속   3,811
나도별사초 [5/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gibba   사초과   사초속   2,903
천선과나무 [8/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Ficus erecta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4,726
큰하늘나리 [5/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lium concolor var. megalanthum   백합과   백합속   1,819
날개하늘나리 [5/35]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ilium pensylvanicum   백합과   백합속   3,116
일본전나무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bies firma   소나무과   전나무속   2,511
자주달개비 [4/6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radescantia reflexa   닭의장풀과   자주달개비속   3,373
미국질경이 [0/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ntago virginica   질경이과   질경이속   1,699
양벚나무 [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avium   장미과   벚나무속   2,091
삿갓사초 [4/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arex dispalata   사초과   사초속   2,617
다닥냉이 [2/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apetalum   배추과   다닥냉이속   3,347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