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팽나무, 향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백목련, 가래나무, 말발도리, 회화나무,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노루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노루참나물(Pimpinella komarovii (Kitag.) R.H.Shan & F.T.Pu)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D6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10:08:16 11:17:39감도(ISO)20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조리개 최대개방194698/65536노출보정0/2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072 X 2048

    무심거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산형과(Apiaceae) 45속 (피자식물문/목련강/미나리목)   ---->미나리과(Apiaceae)
참나물속(Pimpinella) 7종
국명노루참나물
학명Pimpinella komarovii (Kitag.) R.H.Shan & F.T.Pu
원산지한국
분포러시아, 중국 / 우리나라 북부,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 함경남도
전체크기높이 30~80cm
형태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2회 3출복엽이며 소엽은 5-9개이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3.5cm, 폭 1.5-3cm로서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밀생하고 끝부분의 잎은 3-5개의 소엽으로 되며 엽병이 없다.
  • 꽃은 8월에 피고 백색이며 겹우산모양꽃차례로서 산경은 10~15개이고 길이 2~3cm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총포와 작은 총포가 없고 꽃자루는 길이 5-8mm이다.
  • 열매는 분과로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이 2.5-3mm로서 겉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 8~9월에 익는다.
  • 높이 30-8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백색털이 있다.
서식지산지에 난다.
개요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산기슭이나 산골짜기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해외에는 러시아와 중국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1m에 이르고 윗부분은 3~4갈래로 갈라지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며 일찍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고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잎은 2~3회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래잎은 난상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끝부분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겹우산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8~9월에 익고 분과,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근연종* 본 종은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Kom.) Nakai)에 비해 줄기잎이 2회 갈라지는 점에서 구분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1

  • Profile 무심거사 2010.08.20 22:10:43 촬영일시 : 20100816 강원 인제군 한계령

    노루참나물(Pimpinella komarovii (Kitag.) R.H.Shan & F.T.Pu) : 무심거사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D60소프트웨어Adobe Photoshop 7.0촬영일자2010:08:16 11:17:39감도(ISO)200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9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조리개 최대개방194698/65536노출보정0/2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3072 X 2048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569

식물이름 학명 조회
대왕참나무 [2/10]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palustris   참나무과   참나무속   187
루브라참나무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rubra   참나무과   참나무속   63
한라참나물 [4/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hallaisanensis   산형과   참나물속   1,363
참나물 [5/3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brachycarpa   산형과   참나물속   4,904
노루참나물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komarovii   산형과   참나물속   1,923
그늘참나물 [3/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brachycarpa var. uchiyamana   산형과   참나물속   1,902
가는참나물 [5/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koreana   산형과   참나물속   2,717
백약이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saxifraga   산형과   참나물속   188
큰산참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impinella calycina   산형과   참나물속   107
참반디 [4/2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icula chinensis   산형과   참반디속   5,450
애기참반디 [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icula tuberculata   산형과   참반디속   1,649
붉은참반디 [2/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anicula rubriflora   산형과   참반디속   2,821
털참새귀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hordeaceus   벼과   참새귀리속   1,191
털빕새귀리 [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tectorum   벼과   참새귀리속   1,608
큰참새귀리 [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secalinus   벼과   참새귀리속   1,473
큰이삭풀 [1/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catharticus   벼과   참새귀리속   2,300
참새귀리 [1/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japonicus   벼과   참새귀리속   2,430
좀참새귀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inermis   벼과   참새귀리속   1,255
성긴이삭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carinatus   벼과   참새귀리속   1,451
빕새귀리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Bromus ciliatus   벼과   참새귀리속   1,50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