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철쭉,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나래박쥐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바지랑대

    바지랑대

  •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무심거사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purple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박쥐나물속(Parasenecio) 10종
국명나래박쥐나물
학명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원산지한국
분포전국의 심산지역에 난다.
전체크기높이 60~120cm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중앙 이하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쯤 되면 쓰러지고 그 윗부분의 잎은 3~4개가 드문드문 달리며 콩팥모양이고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길이 7~17cm, 폭 11~2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좌우 밑부분에 1~2개의 돌기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4.5~9cm로서 기부가 귀처럼 넓다.
  •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6mm이고 포는 3~4개로서 길이 1.5~2.5mm이며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8~10mm로서 5개의 포편으로 된다. 낱꽃은 3~6개이고 꽃부리는 길이 8.5mm이다.
  • 수과는 원주형이고 길이 4~5mm, 지름 0.6mm로서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5mm이고 백색이다.
  • 높이 60-120cm이고 윗부분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엉킨 털이 있다.
서식지▶심산지역에서 자란다.
개요깊은 산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120cm, 엉긴 털이 있다. 잎은 3~4장이 어긋나며, 줄기 아래쪽의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잎은 삼각상 신장형, 길이 7~17cm, 폭 11~25cm, 끝이 짧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가는 날개가 있으며, 밑이 귓불처럼 넓게 된다.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싸개잎은 3~4장, 길이 1.5~2.5mm이다. 모인꽃싸개는 좁은 통형이고 털이 없다. 열매는 수과, 원추형이며, 우산털은 흰색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캄차카,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귀박쥐나물에 비해서 잎 밑부분의 귓불 길이가 2cm 이상으로 길고, 꽃부리의 길이가 8~9mm로 길므로 구별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을 수 있다.
근연종* ▶박쥐나물 var.matsumurana Nak.: 엽병 기부가 귀처럼 넓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댓글 19

  • 고들빼기 2009.08.02 21:49:21 촬영일시 : 2009.7.30 전북 무주군 덕유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23-10-04 18:18:39:민박쥐나물에서 변경(고들빼기)

  • Profile 추풍 2006.07.09 10:32:49 촬영일시 : 2006.7.06 주흘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분포 : 해발 1,000m이상의 숲 속이나 냇가에 자란다.

    다년초로서 높이 60~12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윗부분의 잎은 3~4개가 드문드문 달리며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 총상으로 피며 포는 3~4개이고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털이 없다.
    소화는 3~6개이고 장과는 원추형이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백색이다.

  • Profile 추풍 2006.07.09 10:33:54 촬영일시 : 2006.7.06 주흘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추풍 2006.07.09 10:35:19 촬영일시 : 2006.7.06 주흘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통통배 2007.08.08 17:05:29 촬영일시 : 2007.8 백두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추풍 2008.09.15 21:56:04 촬영일시 : 2008.9.11 강원 양양군 설악산 서북능선에서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청암 2008.09.20 11:49:59 촬영일시 : 08.9.8 강원 양양군 설악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0.05.02 08:02:40 촬영일시 : 20100501 서울 동대문구 홍릉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무심거사 2011.05.12 09:21:09 촬영일시 : 20110512 강원 인제군 원대리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1.06.04 10:03:31 촬영일시 : 20110602 강원 인제군 대암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필릴리 2011.06.23 08:32:41 촬영일시 : 20110618 강원 인제군 곰배령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1.09.09 22:47:54 촬영일시 : 20110819 강원 태백시 두문동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바지랑대 2013.06.14 21:27:36 촬영일시 : 20130613 강원 평창군 오대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Profile 설뫼* 2013.06.16 23:44:19 촬영일시 : 20130611 강원 평창군 월정사계곡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 산들꽃 2013.06.17 00:03:32 촬영일시 : 20130616 경북 봉화군 청옥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

  • Profile 도리뫼 2017.07.28 09:55:31 촬영일시 : 20170726 강원 인제군 곰배령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귀박쥐나물
    * 22-10-13 11:20:08:귀박쥐나물에서 변경(도리뫼)

  • Profile 도리뫼 2017.07.28 09:58:40 촬영일시 : 20170726 강원 인제군 곰배령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

  • Profile 晴嵐 2021.06.24 17:21:39 촬영일시 : 20210619 경기 선택 화악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

  • Profile 晴嵐 2022.05.23 07:38:43 촬영일시 : 20220522 강원 태백시 태백산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 무심거사

    나래박쥐나물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12

식물이름 학명 조회
큰박쥐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komarovianus   국화과   박쥐나물속   168
털박쥐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hastatus   국화과   박쥐나물속   1,295
어리병풍 [3/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pseudotaimingasa   국화과   박쥐나물속   1,439
가지민박쥐 국가표준식물목록 Parasenecio hastatus subsp. orientalis var. ramosus   국화과   박쥐나물속   1,498
참나래박쥐 [0/9] Parasenecio koraiensis   국화과   박쥐나물속   1,556
참박쥐나물 [0/1] Parasenecio hastata var. farfaraefolia   국화과   박쥐나물속   1,616
게박쥐나물 [1/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adenostyloides   국화과   박쥐나물속   2,556
민박쥐나물 [5/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hastatus subsp. orientalis   국화과   박쥐나물속   2,783
박쥐나물 [2/15] 국가표준식물목록 Parasenecio auriculatus var. matsumurana   국화과   박쥐나물속   3,219
나래박쥐나물 [2/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auriculatus var. kamtschaticus   국화과   박쥐나물속   3,302
귀박쥐나물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auriculatus   국화과   박쥐나물속   3,941
병풍쌈 [3/1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firmus   국화과   박쥐나물속   3,944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