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낙우송, 몬스테라, 장미, 은행나무, 황기, 백목련,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귀박쥐나물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무심거사

    무심거사

  •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habal

  • 여러해살이풀이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Purple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106속 (피자식물문/목련강/국화목)
박쥐나물속(Parasenecio) 10종
국명귀박쥐나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LC 약관심종)
학명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별명오창영(제주)
원산지한국
분포일본, 중국, 러시아 / 한국(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홍천군; 전라남도 구례군, 무주군, 화순군)
전체크기높이는 60~120cm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엽은 소형으로 화시에 마르며 중엽은 3~4매이고 콩팥모양으로 길이 7~17cm, 나비 11~25cm이며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4.5~9cm이며 날개가 있고 기부가 귀처럼 넓어진다.
  • 꽃은 8∼9월에 피고 자색을 띠며 줄기 끝에 총상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2~6mm이며 포는 3~4개이다. 총포는 좁은 통형이고 포편은 5개로 길이 8~10mm이다. 낱꽃은 3~6개이고 꽃부리는 8.5mm이다.
  • 수과는 원주형으로 길이 4~5mm이다.
  • 줄기는 마디를 따라 꾸불꾸불하게 자라며 상부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엉킨 털이 있다.
서식지심산
개요높은 산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지만 마디를 따라 구불구불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30~100cm, 털이 거의 없다. 잎은 4~6장이 어긋나며, 오각상 또는 삼각상 신장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잎자루에 가는 날개가 있으며 밑이 귓불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줄기 가운데 잎은 길이 5~10cm, 폭 7~15cm이다. 줄기 위쪽의 잎들은 점점 작아지는데 넓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되고 잎자루가 짧아지며 잎자루 밑이 줄기를 감싸지 않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이 총상 또는 겹총상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포는 1~2장, 길이 1~2mm, 피침형이다. 모인꽃싸개잎은 5장이며 좁고 긴 타원형이다. 머리모양꽃 1개에 관모양꽃 5~6개가 달린다. 열매는 수과, 우산털은 흰색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사할린,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나래박쥐나물에 비해서 잎 밑부분의 귓불 길이 1.5cm 미만으로 짧고, 꽃부리의 길이 5~6mm로 짧으므로 구별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댓글 14

  • Profile habal 2009.05.26 18:35:09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habal 2009.05.26 18:37:49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habal 2009.05.26 18:41:33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habal 2009.05.26 18:45:38 촬영일시 : 2009.05.24. 강원 태백시 금대봉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habal 2010.05.17 22:45:33 촬영일시 : 20100516 강원 횡성군 청태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14-05-29 23:40:20:박쥐나물에서 변경(habal)

  • Profile johan 2011.05.13 11:24:42 촬영일시 : 20110505 강원 태백시 태백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무심거사 2011.06.22 19:49:42 촬영일시 : 20110602 강원 인제군 대암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바지랑대 2013.06.26 15:13:36 촬영일시 : 20130613 강원 평창군 오대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추풍 2013.09.17 22:18:21 촬영일시 : 20130812 경북 문경시 주흘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곰배령 2014.07.28 01:05:35 촬영일시 : 20140727 경기 포천시 평강식물원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설뫼* 2015.05.21 06:59:25 촬영일시 : 20150514 강원 인제군 설악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설뫼* 2016.08.11 17:14:53 촬영일시 : 20160729 해외 중국 길림성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화룡시.선봉령습지

  • Profile 晴嵐 2021.06.07 15:15:36 촬영일시 : 20210606 강원 선택 태백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 Profile 晴嵐 2021.07.26 08:31:54 촬영일시 : 20210724 강원 선택 함백산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habal

    귀박쥐나물

풀베개도감
등록된 식물 5,603

식물이름 학명 조회
그늘개고사리 Athyrium koryoense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1,675
[2/22] Citrus unshiu   운향과   귤속   3,777
귀박쥐나물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arasenecio auriculatus   국화과   박쥐나물속   3,941
귀리 [3/7]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vena sativa   벼과   귀리속   2,430
귀룽나무 [5/43]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runus padus   장미과   벚나무속   5,293
궁궁이 [2/4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gelica polymorpha   산형과   당귀속   4,153
굽은노란장대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isymbrium heteromallum   배추과   노란장대속   1,566
굵은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for. depressum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1,791
굴피나무 [4/3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Platycarya strobilacea   가래나무과   굴피나무속   2,565
굴참나무 [3/1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Quercus variabilis   참나무과   참나무속   4,168
굴거리나무 [2/2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Daphniphyllum macropodum   굴거리나무과   굴거리나무속   6,522
군자란 [2/2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Clivia miniata   수선화과   군자란속   3,557
국화쥐손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Erodium stephanianum   쥐손이풀과   국화쥐손이속   1,948
국화잎아욱 [2/8]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Modiola caroliniana   아욱과   국화잎아욱속   2,385
국화잎쑥 [0/3] Artemisia stolonifera for. dissecta   국화과   쑥속   2,189
국화잎다닥냉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Lepidium bonariense   배추과   다닥냉이속   1,519
국화잎가막사리 국가표준식물목록 Bidens maximowicziana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71
국화수리취 [2/6]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Synurus palmatopinnatifidus   국화과   수리취속   3,287
국화방망이 [7/11]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Tephroseris koreana   국화과   산솜방망이속   2,120
국화바람꽃 [0/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emone pseudoaltaica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1,56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