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봉숭아,
풀베개 DB는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국가생물종정보와 학명 및 국명이 상이한 경우 대표국명과 추천학명으로 병기합니다. strike로 줄처진 항목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삭제된 종입니다.

고산봄맞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 산형화서,
앵초과(Primulaceae) 6속 (피자식물문/목련강/앵초목)
봄맞이속(Androsace) 5종
국명고산봄맞이
학명Androsace lehmanniana Spreng.
원산지한국
분포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몽골, 일본, 중국 북부, 북미 서부 등 / 우리 나라 북부(백두산 지역 표고 2,500m근처)
전체크기꽃대의 높이 3-7cm 가량
형태
  • 잎은 연한 황록색이며 넓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좁은 거꿀달걀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엽병처럼 되고 길이 5~12mm, 나비 2-5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윗부분에 표면과 더불어 긴 백색 털이 산생한다.
  •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이며 꽃대는 높이 3~7cm로서 그 끝에 2~4송이씩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리고 포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4mm이며 꽃자루는 길이 3-5mm로서 잔샘털이 섞여 있다. 꽃받침은 잔모양이고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곧추서며 꽃부리는 지름 5-7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수평으로 퍼진다.
  •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꽃받침속에 들어 있다. 8~9월
  • 원줄기가 갈라져 그 끝에 잎이 돌려나기상으로 달리고 어릴 때는 긴 백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서식지건조한 곳에 난다.
개요높은 산 건조한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갈라지고 높이 10cm 안팎으로 작으며, 전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줄기에 여러 장이 모여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0.5~1cm, 폭 2~5mm, 끝부분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흰 털이 난다. 꽃은 7~8월에 피며,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3~7mm로 털이 있다. 포는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다. 꽃받침은 난형으로 5갈래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꽃부리도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8~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함경도 등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몽골, 일본, 중국 북부, 북미 서부 등에 분포한다. 한국산 봄맞이속 식물 중에서 유일하게 줄기가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백두산봄맞이, 큰산봄맞이꽃이라고도 한다.
근연종*한국산 봄맞이속 식물 중에서 유일하게 줄기가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댓글 0

풀베개도감
검색된 식물 5

식물이름 학명 조회
애기봄맞이 [2/19]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drosace filiformis   앵초과   봄맞이속   3,542
봄맞이 [5/72]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drosace umbellata   앵초과   봄맞이속   3,631
명천봄맞이 [3/10]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drosace septentrionalis   앵초과   봄맞이속   2,930
금강봄맞이 [2/14]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drosace cortusifolia   앵초과   봄맞이속   3,621
고산봄맞이 국가표준식물목록 * 본종은 국가생물종목록을 근거로 등록된 종입니다. Androsace lehmanniana   앵초과   봄맞이속   1,606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