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식물검색표
2010.08.24 16:59

엉겅퀴속 식물의 구분

조회 수 43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변에서 흔히 만나는 종중의 하나인 엉겅퀴속 식물들도 은근히 속을 썩히는 것들이 많은 듯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늘엉겅퀴와 가시엉겅퀴입니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가시엉겅퀴를 바늘엉겅퀴라고 하는 데가 많고
진짜 바늘엉겅퀴는 자료가 그리 많지 않은 듯합니다.

엉겅퀴속 Circium
1. 잎에 결각이 없다.
 2. 잎은 장난형-선형, 첨저. 엽병이 거의 없다.
  3. 잎 윗면에 무모. 잎 뒷면에 털이 있다 ------------------------------ 1. 버들잎엉겅퀴
  3. 잎 윗면에 유모, 잎 뒷면에 순백색 털이 있다 -------------------------- 2. 흰잎엉겅퀴
 2. 잎은 난형형-장타원형, 예저-절저. 엽병이 있다.
  4. 잎은 예저. 葉柄이 葉身보다 길이가 작다 ----------------------------- 3. 고려엉겅퀴
  4. 잎은 절저. 엽병이 엽신보다 길이가 크다 ----------------------------- 4. 정영엉겅퀴
1. 잎에 결각이 있다.
 5. 總苞片이 뒤로 젖혀진다(울릉도) --------------------------------------- 5. 물엉겅퀴
 5. 총포편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6. 가시가 서로 겹친다(제주도) ---------------------------------------- 6. 바늘엉겅퀴
  6. 가시가 서로 겹치치 않는다.
   7. 花序가 고개를 숙인다.
    8. 苞片이 8줄, 자주빛이 돈다. 관모 18-22mm ---------------------------- 7. 큰엉겅퀴
    8. 포편이 6줄, 녹색. 관모 16-18mm -------------------------------- 8. 도깨비엉겅퀴
   7. 화서가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9. 잎에 가시와 털이 많다. 總苞片은 7-8줄. 葉身 기부는 갑자기 좁아진다 ------- 9. 엉겅퀴
    9. 잎에 가시와 털이 적다. 총포편은 6줄. 엽신 기부는 점차로 좁아진다 ----- 10. 동래엉겅퀴
 1. 버들잎엉겅퀴 C. lineare (Thunb.) Sch.-Bit. 수원 근처의 산록
 2. 흰잎엉겅퀴 C. vlassovianum Fisch. 중부 이북의 풀밭
 3. 고려엉겅퀴 C. setidens Nakai 산야
 4. 정영엉겅퀴 C. chanroenicum Nakai 지리산,가야산,조령 및 구례
 5. 물엉겅퀴 C. nipponicum (Max.) Makino 울릉도 성인봉의 중복 길가
 6. 바늘엉겅퀴 C. rhinoceros Nakai 제주도
 7. 큰엉겅퀴 C. pendulum Fisch. 낮은 지대
 8. 도깨비엉겅퀴 C. schantarense Trautv. et Meyer 신산지역
 9. 엉겅퀴 C.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10. 동래엉겅퀴 C. toraiense Nakai 부산 및 동래근처



엉겅퀴속 25종
가는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icum var. lanceolata Kitam.)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Kitam.)
개엉겅퀴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Dunn) Nakai)
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Trautv. & Mey.)
동래엉겅퀴 (Cirsium toraiense Nakai ex Kitam.)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민흰잎엉겅퀴 (Cirsium vlassovianum var. album Nakai)
바늘엉겅퀴 (Cirsium rhinoceros (H.Lev. & Vaniot) Nakai)
버들잎엉겅퀴 (Cirsium lineare (Thunb.) Sch.Bip.)
서양가시엉겅퀴 (Cirsium vulgare (Savi) Ten.)
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점봉산엉겅퀴 (Cirsium zenii Nakai)
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icum (L.) Nakai)
제주엉겅퀴 (Cirsium chinense Gardner & Cham.)
좁은잎엉겅퀴 (Cirsium japonicum for. nakaianum (H.Lev. & Vaniot) W.T.Lee)
카나다엉겅퀴 (Cirsium arvense Scop.)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흰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issimum for. alba T.B.Lee)
흰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for. alba T.B.Lee)
흰꽃잎엉겅퀴 (Cirsium vlassovianum for. leucanthum Kitam.)
흰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for. albiflorum Y.N.Lee)
흰바늘엉겅퀴 (Cirsium rhinoceros for. albiflorum Sakata)
흰잎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var. niveoaraneum Kitam.)
흰잎엉겅퀴 (Cirsium vlassovianum Fisch. ex DC.)

이상태검색집에는 10종을 비교하고 있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무려 25종이 등재되어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서양가시엉겅퀴나 카나다엉겅퀴같은 외래종이 포함되어있고
기존 자생 엉겅퀴중에서는 가장 많은 변화가 있는 부분이 정영엉겅퀴,동래엉겅퀴,가시엉겅퀴,바늘엉겅퀴등등입니다.

동래엉겅퀴는 엉겅퀴로 통합되었고
정영엉겅퀴는 고려엉겅퀴로 통합되었습니다.
이상태검색집에 제주도의 가시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바늘엉겅퀴라고 규정하고 있었지만 바늘엉겅퀴는 덕적도와 남해도에 자생하고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것으로 엉겅퀴중 가시가 긴것을 가시엉겅퀴로 세분화했습니다.

1. 내총포편의 끝이 마름모꼴로 부풀어있으며 거친톱니가 있다. 수과는 두가지색상
2. 잎은 선상으로 잎의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유모가 있다................ C. lineare(버들엉겅퀴)
2.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 윗면과 아랫면 모두 유모가 있다.
3. 잎자루가 없다. 잎기부가 줄기를 감싼다............................. C. vlassovianum(흰잎엉겅퀴)
3. 잎자루가 있다. 잎은 예저 또는 심장저.............................. C. setidens(고려엉겅퀴)
1. 내총포편의 끝이 첨두 또는 점첨두로 부풀어있지않으며 수과는 한가지색상이다.
4. 이년초. 화통이 화판보다 1.5-2.5배 길다................................ C. pendulum(큰엉겅퀴)
4. 다년초. 화통의 길이가 화관과 비슷하거나 짧다.
5. 포편의 끝이 뒤로 휘어진다......................................... C. nipponicum(물엉겅퀴)
5. 포편의 끝이 휘어지지 않는다.
6. 잎가장자리의 가시가 서로 겹친다............................... C. rhinoceros(바늘엉겅퀴)
6. 잎가장자리의 가시가 서로 겹치치 않는다.
7. 화서가 고개를 숙인다...................................... C. schantarense(도깨비엉겅퀴)
7. 화서가 똑바로 서있다...................................... C. japonicum(엉겅퀴,가시엉겅퀴)
1. C. pendulum(큰엉겅퀴) 7,8,9,10월 함북,항남,깅원,경기,충북,충남,전북
2. C. nipponicum(물엉겅퀴) 8,9,10,11월 울릉도
3. C. rhinoceros(바늘엉겅퀴) 7,8월 경기(덕적도), 경남(남해도)
4. C. schantarense(도깨비엉겅퀴) 7,8,9월 함북,함남,평북,강원,경기,충북,충남,경북
5. C. japonicum
1. 잎가장자리의 가시의 길이가 1-4mm................ var. japonicum
2. 잎가장자리 가시의 길이가 0.4-1.2Cm.............. var. spinossimum
5a. C. japonicum var. japonicum(엉겅퀴) 6,7,8월 전국
5b. C. japonicum var. spinossimum(가시엉겅퀴) 6,7,8월 전북,전남,경남,제주
6. C. lineare(버들엉겅퀴) 8,9,10월 경기
7. C. vlassovianum(흰잎엉겅퀴) 8월 함북,함남,평북,평남,강원,경기
8. C. setidens(고려엉겅퀴) 7,8,9,10월 함남,평남,강원,경기,충북,충남,경북,경남,전북,전남

그동안의 자료를 살펴본 결과
우리가 정영엉겅퀴로 동정하던 잎자루가 없고 줄기를 감싸는 형태의 것은 흰잎엉겅퀴로 보입니다.
또한 바늘엉겅퀴에 올라있는 대부분의 사진은 가시엉겅퀴입니다.

몇가지 눈여겨볼 부분은 우선 바늘엉겅퀴와 가시엉겅퀴의 차이입니다.723e86edca382df6a8c47d63be3d45b2.pngEXIF Viewer
위 그림은 2007년도 식물분류학회지 37권에 실려있는 송미장,김현님의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한국산 엉겅퀴속의 분류학적연구>라는 논문에서 캡춰한 것입니다.
그림의 C, 즉 엉겅퀴중에서 잎가장자리의 가시가 긴 것이 가시엉겅퀴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자생하고 있고 그림의 F, 즉 잎가장자리 끝뿐 아니라 중간부분의 가시도 길어서 서로 엉기는 형태가 바늘엉겅퀴이며 경기도의 덕적도와 경남의 남해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또한가지 화서가 고개를 숙이는 큰엉겅퀴와 도깨비엉겅퀴를 구분하는데 이상태검색집에는 총포편의 숫자를 따졌지만 실제로 포편의 숫자를 세는 것이 그리 만만하지 않았습니다.8b408e11243896e1906e83d3bdaf02c7.pngEXIF Viewer
하지만 그림의 A 처럼 두화를 개별로 화통과 화관의 길이의 비율을 살펴보면 큰엉겅퀴의 구분이 그리 어렵지 않아보입니다.
즉 화통부분과 부풀어져있는 화판부분의 비율이 화통부분이 1.5-2.5배로 훨씬 길어서 다른 종과 쉽게 구별이 가능합니다.

  • profile
    까치박달 2010.08.25 15:17

    엉겅퀴도 헉!

  • profile
    잘몰라요 2010.08.29 10:02

    갈수록 태산입니다. 무슨의미의 원문인지? 난해하군요. 단 카르마님의 전문적인 식견에 감탄만 자아냅니다.  공부해보겠습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식물검색표 裸子植物綱의 科 檢索表 카르마 2006.04.27 367
113 식물검색표 현호색종류의 검색표 1 카르마 2013.04.20 991
112 식물검색표 한번은 넘어야할 산 : 산딸기속 4 카르마 2010.08.25 1091
111 식물검색표 한국산 양지꽃족의 검색표 7 카르마 2021.04.06 425
110 식물검색표 한국산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카르마 2021.04.06 547
109 식물검색표 피나무속 검색표 카르마 2010.07.29 328
108 식물검색표 털이슬속 식물의 동정 2 카르마 2010.08.05 517
107 식물검색표 층층이꽃과 애기탑꽃의 개념정리 카르마 2009.09.24 443
106 식물검색표 천남성속의 재분류 2 카르마 2008.05.21 355
105 식물검색표 천남성속의 검색표 3 카르마 2008.05.29 423
104 식물검색표 참나무 이야기 -2- 참나무속 1 카르마 2009.09.26 377
103 식물검색표 참나무 이야기 -1- 참나무과 카르마 2009.09.26 500
102 식물검색표 질경이속 식물과 갯질경이 file 카르마 2009.07.25 443
101 식물검색표 쥐깨풀속 식물의 동정 : 쥐깨풀과 들깨풀 2 카르마 2009.10.14 342
100 식물검색표 족도리풀속 식물의 재분류 3 카르마 2013.04.29 525
99 식물검색표 족도리종류 1 file 까치박달 2012.04.11 196
98 식물검색표 조팝나무속 식물의 분류 1 카르마 2012.05.22 406
97 식물검색표 제비꽃속 3 : 줄기가 없는 제비꽃 카르마 2013.04.05 293
96 식물검색표 제비꽃속 2 : 줄기가 있는 제비꽃들... 2 카르마 2012.05.15 297
95 식물검색표 제비꽃속 1 : 서두... 카르마 2012.05.15 263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