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물참대, 토끼풀, 해당화, 금낭화, 황기, 정향풀,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말발도리, 단풍나무, 코스모스,
식물동정 예제
2012.05.25 10:54

뱀딸기, 민뱀딸기, 산뱀딸기

조회 수 54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8년이니까 벌써 5년전부터 풀지못한 수수께끼가 하나 있었습니다.

http://wildgreen.co.kr/class/88432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장미과 뱀딸기속에 두가지종의 뱀딸기가 등재되어있습니다.

뱀딸기(Duchesnea indica (Andr.) Focke)

산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우선 헛갈리는 국명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당분간 학명만으로 따져보겠습니다.

1Leaflets 2–3.5 cm, rarely smaller or larger; flowers 1.5–2.5 cm in diam., rarely smaller; aggregate fruit ripening red, shining, 1–2 cm in diam.; achenes shining when fresh, glabrous or inconspicuously papillate. D. indica
+Leaflets 1.5–2.5 cm; flowers 0.5–1.5 cm in diam.; aggregate fruit ripening pale pink, not shining, 0.8–1.2 cm in diam.; achenes not shining when fresh, rugose. D. chrysantha

위 검색표는 Flora of china에 있는 영문검색표입니다.

1. 소엽이 2-3.5cm, 드물게는 작기도하고 크기도하다. 꽃은 직경이 1.5-2.5cm. 열매는 빤짝거리고 붉은색이 진하게 익으며, 꽃의 크기가 1.5-2.5CM, 수과(瘦果)가 익기전에는 빤짝거리며 털이없고 열매의 돌기가 약하다...... D.indica

2. 소엽이 1.5-2.5cm. 꽃은 직경이 0.5-1.5cm. 열매는 연붉은색으로 익으면 반짝이지  않는다, 직경 0.8-1.2cm, 수과는 익기전이나  익은후에도 반짝이지  않는다.


위 검색표를 몇번 번역하고 수십번 읽어봤지만 도통 이해가 안되는 것이 머리속에 안들어옵니다.


한동안 산딸기만  보면 한참을 사진을 찍었지만 확실한 것은 두가지가 있다는  겁니다.

이쯤에서 아래 두가지 사진중 각각에 이름을 달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울릉도에서 찍었습니다.

사진만으로 잎이나 열매의 크기는 비교가 불가능할테니 걷꽃받침이 무척크고 털이 많습니다. 심지어 열매의 돌기 사이사이에도 털이 있습니다.

IMG_3675.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1:06:13 15:14:28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32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024 X 683


2. 충남 도고에서 촬영했습니다.

사진에 보시다시피 걷꽃받침이 비교적 작아서 열매와 크기가 비슷하고 뒤로 제껴저 있습니다. 열매의 바닥은 반짝반짝 아주 깔끔합니다.

IMG_5715.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09:06:14 11:44:07감도(ISO)3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024 X 683



국명도 문제인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 Focke)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


최근의 영문자료에는

민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

로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이미지는 http://efloras.org 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1,2번이 D.indica 3,4번 화서에 털이 많은 것이이 D. crysantha입니다.

27800853_003.gifEXIF Viewer


좌우간 우리 풀베개 도감에는 산뱀딸기에는 단 한건도 등재되어있지 않고 뱀딸기에만 60여건이 등재되어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대로라면 뱀딸기에 등재된 거의 모든 자료가 산뱀딸기에 해당하는 것같습니다.

The vascular plants of Korea를 따르는 것이 조금은 합리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이 경우 뱀딸기의 학명은 D. indical에서 D. Chrysnatha로 변경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ps. 이 게시물은 토론이 끝나면 공부방으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profile
    까치박달 2012.05.25 11:19

    아무런 언급이 없이  사진만 올리셨다면

    위는 산뱀딸기.  아래는 뱀딸기 라고 답변했을텐데...    카르마님이 질문하니 꽉막히네요!

  • ?
    현촌 2012.05.25 11:57

    카르마님 무척 많이 연구하셨군요.

    뱀딸기의 학명이 바뀔 것을 믿고

    우선 잠점적으로 민뱀딸기에 등재하겠습니다.

    여러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

  • profile
    카르마 2012.05.26 11:42
    일단은 국가표준식물목록을 따르는 것이 좋을 듯해서 현촌님이 올리신 사진은 산딸기로 이동시켰습니다.
    대신 저 털많은 녀석을 산뱀딸기에 등재하겠습니다.
  • profile
    무심거사 2012.05.25 14:26

    흠 위에건 귀하고 아래건 흔하다.. 그정도 의견밖에 없네요 ㅎㅎ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갈퀴덩굴속 식물의 동정예제

    http://wildgreen.co.kr/class/571841 참조 지난 며칠간은 갈퀴덩굴하고 씨름을 했네요. 갈퀴덩굴에 대해서 예제를 만들어봤습니다. 도감의 내용도 대부분은 이동하거나 댓글로 달아두었습니다만 결론은 "갈퀴덩굴은 어렵다"입니다. 참고로 외부사이트에서 링...
    Date2012.06.0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930
    Read More
  2. 큰구슬봉이와 구슬봉이의 차이점.

    봄에 자주 접할수 잇는 큰구슬봉이와 구슬봉이의 차이점을 찾아보았습니다. 큰구슬붕이 구슬붕이 초장(草長) 10cm 내외 5-6cm 뿌리 초장과비슷, 잔뿌리가많음 초장의 50%정도, 잔뿌리 없슴. 근생옆 완전한 형태로 남음 흔적만 있슴. 경생옆 대생으로 4쌍 2쌍 ...
    Date2006.05.10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habal Views920
    Read More
  3. 꿩의다리 제자리 찾기

    꿩의다리도 그동안 동정이 많이 뒤죽박죽이었던 것같습니다. 학자들에 의한 도감자료가 책마다 다르니 우리같은 아마추어들의 동정을 엉터리일 수밖에 없을 겁니다. 꿩의다리속 식물을 정리한 김에 풀베게에 등록된 사진은 중심으로 동정예제를 만들어봤습니다...
    Date2010.07.23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885
    Read More
  4. 별꽃과 쇠별꽃

    별꽃과 쇠별꽃은 구분하기 쉽지않은 것같습니다. 1. 개화시기 일반적으로 별꽃은 주로 봄(5,6)월에 피고 쇠별꽃은 가을(7,8월)에 피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겹치는 시기도 있고 별꽃속의 특성상 시도때도 없는 피는 경우가 많아서 시기적인 구...
    Date2006.03.0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885
    Read More
  5. 소태나무 황벽나무 잎 비교

    황벽나무 소태나무 붉나무 흥정계곡은 소태나무와 황벽나무가 같이 자라고 있고 나무가 높아 잎으로는 잘구별인 안된다.
    Date2017.06.2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까치박달 Views878
    Read More
  6. 참나무속의 나무잎 동정 참고자료

    북악산하늘길을 탐사하다가 참나무속의 6종류 나무잎 특징을 알기쉽게 정리하여 게시한 것이 눈에 띄어 담아왔습니다.
    Date2019.02.2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설뫼* Views853
    Read More
  7. 매화와 매실나무

    아름다운 매화를 봄에 일찍 피는 식물에 부쳐진 이름이 많습니다. 즉 매화바람꽃, 매화노루발, 물매화, 금매화, 황매화 등등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원래의 매화나무은 이들과 피해서 매실나무라고 호칭을 바꾸었나 봅니다. 그림이나 묵화(墨畵)...
    Date2006.03.26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현촌 Views720
    Read More
  8. 제비꽃과의 검색표와 낚시제비꽃의 암술머리...

    동정이 어려운 것중 하나가 제비꽃속이 아닌가 합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정명으로 등재되어있는 것만 해도 62종입니다. 사진만으로 제비꽃을 동정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겁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각 특징을 확인하고 그 특징을 잡아내는 것 외에는 별 ...
    Date2006.04.29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685
    Read More
  9. No Image

    으아리와 참으아리

    이 두 꽃의 구별이 항상 혼돈되기에 전에 조사한 것이 있기에 여기에 실어 볼까합니다. 추가가 정정사항이 있으면 부탁하여 함께 생각하고 싶습니다. 으아리와 참으아리와의 特性差 (2005.11.15.작성) 항목 으아리 참으아리 길이 2m에 이른다 5m 잎 대생하고 5...
    Date2006.03.0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현촌 Views628
    Read More
  10.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

    저희집 뒷산에는 다행이도 큰애기나리와 애기나리의 군락지가 있습니다. 재미난 현상은 서로가 침범을 하지않고 의좋케 각각의 영역을 지키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풀베개 도감의 서술이 약간 애매모호한?부분이 있기에 두 사진과 함께 제나름대로의 의견을 달...
    Date2006.05.10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habal Views612
    Read More
  11. 분꽃나무와 댕강나무의 비교

    분꽃나무와 댕강나무의 구분이 어렵군요. 우리 풀베개에 올린 회원들의 꽃도 잘못 실린 사진도 발견되고 해서 공부 사마 우리 풀베개자료와 "나무 쉽게 찾기"(윤주복 저)를 참고자료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으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위사진: 분꽃...
    Date2008.06.0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현촌 Views610
    Read More
  12. 엉컹퀴 붉은줄기와 록색줄기

    개체가 다른것인지? 아니면 생육지에따라 변한것인지 궁금합니다. 이 사진은 5월24일 아침 8시에 동일장소에서 촬영한것입니다.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Date2015.05.2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잘몰라요 Views604
    Read More
  13. 복수초 시리즈

    녹색이라고는 도무지 찾아 볼 수 없는 이른 봄의 산자락, 군데군데 아직 덜 녹은 희끗한 눈덩이만 간간이 보이는 그런 계절이 초봄이다. 사방은 모두 갈색의 정적만이 고요히 흐르고 있는데, 저 먼 곳에서 갑자기 눈이 부시도록 샛노란 꽃 몇 송이가 눈에 번쩍...
    Date2007.02.27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하늘공간 Views579
    Read More
  14. No Image

    천남성 분류

    그냥 다 천남성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개인도감 만들면서 많이 배웁니다. 그간 찍어놓은 사진들 각 영역별로 폴더 만들어 넣어놓고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이랑 이곳 풀베게랑 저쪽 야사모랑 모두 들락거리면서 비교확인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정리가 ...
    Date2006.05.30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통통배 Views561
    Read More
  15.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과의 개체 비교

    [참고] * 저는 큰까치수염이 까치수염 보다 꽃도 크고 개체도 더 큰 줄 알았슴미다 * 그러나 꽃의 크기나 모양은 거의 구별이 곤란하게 같았슴미다 * 오히려 꽃대 전체의 크기는 까치수염이 더 크고 화려 하군요 * 검색집을 보니, 동정의 키는 잎의 모습과 잎...
    Date2006.07.05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麥友 Views560
    Read More
  16. 억새와 갈대 시리즈

    요즘은 야생에 꽃이 없으니 억새와 갈대라도 올려 보아야지요. 이들을 구별하는 것도 그리 만만치 않으니, 차근차근 시간날 때 공부해 보도록 해보세요.^^* 억새와 갈대는 아무리 구분을 해봐도 시원치가 않네요.^^* 특히 억새는 종류도 많고 서로 비슷비슷한 ...
    Date2007.01.05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하늘공간 Views557
    Read More
  17. 뱀딸기, 민뱀딸기, 산뱀딸기

    2008년이니까 벌써 5년전부터 풀지못한 수수께끼가 하나 있었습니다. http://wildgreen.co.kr/class/88432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장미과 뱀딸기속에 두가지종의 뱀딸기가 등재되어있습니다. 뱀딸기(Duchesnea indica (Andr.) Focke) 산뱀딸기(Duchesnea chrysant...
    Date2012.05.25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544
    Read More
  18. 보리밥나무와 보리장나무 잎의 비교

    상록성 보리수나무중에서 보리밥나무와 보리장나무를 구분하기 쉽지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두개를 나란히 놓고 보면 구분이 쉬운데... 자생지에서는 그리 간단하지 않은 것같습니다. 국명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 큰보리장나무 학명 Elaeagnus macrophylla Elae...
    Date2012.05.25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538
    Read More
  19. 민들레속의 비교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붉은씨서양민들레 Taraxacum laevigatum DC. 산민들레 Taraxacum ohwianum Kitam.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Weber 영도민들레 Taraxacum formosanum Kitam. 좀민들레 Taraxacum hallaisanense Nakai 털민들레 Ta...
    Date2006.05.1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526
    Read More
  20. 갈대와 달뿌리풀의 비교(1)

    이 가을이 가기 전 한눈에 갈대와 달뿌리풀을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어느 분은 갈대는 바닷가에 많고 달뿌리풀은 강이나 습지에 많다고 얘기합니다. 또한 갈대의 이삭은 촘촘하고 달뿌리풀은 성기게 나있다고도 합니다. 추가해서 갈대와 달리 달뿌리...
    Date2006.10.02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조경이 Views519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