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식물동정 예제
2012.05.25 10:54

뱀딸기, 민뱀딸기, 산뱀딸기

조회 수 540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8년이니까 벌써 5년전부터 풀지못한 수수께끼가 하나 있었습니다.

http://wildgreen.co.kr/class/88432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장미과 뱀딸기속에 두가지종의 뱀딸기가 등재되어있습니다.

뱀딸기(Duchesnea indica (Andr.) Focke)

산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우선 헛갈리는 국명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당분간 학명만으로 따져보겠습니다.

1Leaflets 2–3.5 cm, rarely smaller or larger; flowers 1.5–2.5 cm in diam., rarely smaller; aggregate fruit ripening red, shining, 1–2 cm in diam.; achenes shining when fresh, glabrous or inconspicuously papillate. D. indica
+Leaflets 1.5–2.5 cm; flowers 0.5–1.5 cm in diam.; aggregate fruit ripening pale pink, not shining, 0.8–1.2 cm in diam.; achenes not shining when fresh, rugose. D. chrysantha

위 검색표는 Flora of china에 있는 영문검색표입니다.

1. 소엽이 2-3.5cm, 드물게는 작기도하고 크기도하다. 꽃은 직경이 1.5-2.5cm. 열매는 빤짝거리고 붉은색이 진하게 익으며, 꽃의 크기가 1.5-2.5CM, 수과(瘦果)가 익기전에는 빤짝거리며 털이없고 열매의 돌기가 약하다...... D.indica

2. 소엽이 1.5-2.5cm. 꽃은 직경이 0.5-1.5cm. 열매는 연붉은색으로 익으면 반짝이지  않는다, 직경 0.8-1.2cm, 수과는 익기전이나  익은후에도 반짝이지  않는다.


위 검색표를 몇번 번역하고 수십번 읽어봤지만 도통 이해가 안되는 것이 머리속에 안들어옵니다.


한동안 산딸기만  보면 한참을 사진을 찍었지만 확실한 것은 두가지가 있다는  겁니다.

이쯤에서 아래 두가지 사진중 각각에 이름을 달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울릉도에서 찍었습니다.

사진만으로 잎이나 열매의 크기는 비교가 불가능할테니 걷꽃받침이 무척크고 털이 많습니다. 심지어 열매의 돌기 사이사이에도 털이 있습니다.

IMG_3675.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1:06:13 15:14:28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32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024 X 683


2. 충남 도고에서 촬영했습니다.

사진에 보시다시피 걷꽃받침이 비교적 작아서 열매와 크기가 비슷하고 뒤로 제껴저 있습니다. 열매의 바닥은 반짝반짝 아주 깔끔합니다.

IMG_5715.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09:06:14 11:44:07감도(ISO)32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16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0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1024 X 683원본사진 크기1024 X 683



국명도 문제인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 Focke)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


최근의 영문자료에는

민뱀딸기  (Duchesnea indica (Andr.) Focke)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

로 되어있습니다.


참고로 아래 이미지는 http://efloras.org 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1,2번이 D.indica 3,4번 화서에 털이 많은 것이이 D. crysantha입니다.

27800853_003.gifEXIF Viewer


좌우간 우리 풀베개 도감에는 산뱀딸기에는 단 한건도 등재되어있지 않고 뱀딸기에만 60여건이 등재되어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대로라면 뱀딸기에 등재된 거의 모든 자료가 산뱀딸기에 해당하는 것같습니다.

The vascular plants of Korea를 따르는 것이 조금은 합리적인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이 경우 뱀딸기의 학명은 D. indical에서 D. Chrysnatha로 변경해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ps. 이 게시물은 토론이 끝나면 공부방으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profile
    까치박달 2012.05.25 11:19

    아무런 언급이 없이  사진만 올리셨다면

    위는 산뱀딸기.  아래는 뱀딸기 라고 답변했을텐데...    카르마님이 질문하니 꽉막히네요!

  • ?
    현촌 2012.05.25 11:57

    카르마님 무척 많이 연구하셨군요.

    뱀딸기의 학명이 바뀔 것을 믿고

    우선 잠점적으로 민뱀딸기에 등재하겠습니다.

    여러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

  • profile
    카르마 2012.05.26 11:42
    일단은 국가표준식물목록을 따르는 것이 좋을 듯해서 현촌님이 올리신 사진은 산딸기로 이동시켰습니다.
    대신 저 털많은 녀석을 산뱀딸기에 등재하겠습니다.
  • profile
    무심거사 2012.05.25 14:26

    흠 위에건 귀하고 아래건 흔하다.. 그정도 의견밖에 없네요 ㅎㅎ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연영초와 큰연영초

  2. Korean Maple과 Japanese Maple

  3. 장미속 식물의 구분

  4. 한국산 양지꽃족의 검색표

  5. 한국산 개별꽃속의 검색표

  6. 참나무속의 나무잎 동정 참고자료

  7. 명자나무,산당화,풀명자 검색

  8. 소태나무 황벽나무 잎 비교

  9. 운향과의 상위 분류

  10. 엉컹퀴 붉은줄기와 록색줄기

  11. 백합나무 잎썩음병에 대하여,

  12. 만주송이풀과 털만주송이풀

  13. 바위솔 바로알기

  14. 물레나물속 식물의 구분 : 애기고추나물 좀고추나물

  15. 골치아픈 비름속....

  16. 범의귀속 식물 : 정리되지 않은 바위취, 바위떡풀

  17. 솔장다리의 실체

  18. 부추속 식물의 구분

  19. 붓꽃속 식물의 구분

  20. 원추리속 식물의 구분 II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4 Next
/ 1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