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식물동정 예제
2012.05.29 12:17

선갈퀴와 개선갈퀴의 비교

조회 수 494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작년 울릉도에 선갈퀴가 있다고 해서 선갈퀴라고 생각하는 녀석을 만났었습니다.

IMG_3736.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1:06:14 12:31:22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부분측광노출시간1/80조리개 값f/5.6촛점거리100/1노출보정0/1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3 X 1024원본사진 크기2720 X 4080 

어제는 가칠봉산행길에 울릉도에서 본 선갈퀴와 너무나 비슷한 녀석을 만났습니다.


_MG_7043.JPGEXIF Viewer카메라제조사Canon카메라모델명Canon EOS 5D Mark II촬영일자2012:05:28 11:33:58감도(ISO)1600촬영모드조리개우선노출모드Auto exposure측광모드패턴측광노출시간1/400조리개 값f/8.0촛점거리180/1노출보정-2/3플래쉬외장후레쉬화이트밸런스Auto사진 크기683 X 1024원본사진 크기2720 X 4080 개선갈퀴일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차이점이 너무 궁금해서 집에 돌아오자 마자 뒤져봤습니다.


우선 선갈퀴는 갈퀴덩굴과 같은 꼭두선이과지만 학명과 속이 전혀 다른 식물입니다.

선갈퀴속 Asperula

갈퀴덩굴속 Galium

선갈퀴_MG_7043.jpgEXIF Viewer 위는 선갈퀴 : 선갈퀴속....... 꽃의 통부가 초롱꽃처럼 길다.

아래는 개선갈퀴 : 갈퀴덩굴속 ...꽃의 통부가 없다.

갈퀴덩굴속과 꼭두선이속의 식물은 아래처럼 통부가 없습니다.

개선갈퀴-IMG_3742.jpgEXIF Viewer 자료를 뒤져보고 사진을 살펴보니 그 차이점을 알겠더군요.

선갈퀴속은 꽃이 초롱꽃모양으로 통부가  긴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갈퀴덩굴속이나 꼭두선이속은 꽃의 통부가 전혀 없는 납작한 형태입니다.


결론............

울릉도에서 만났던 녀석이 갈퀴덩굴속의 개선갈퀴(Asperula odorata)이고

가칠봉에서 만난 녀석이 선갈퀴(Galium trifloriforme)로 추정됩니다.


울릉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다시 확인해보니 선갈퀴과 개선갈퀴를 두가지 따 찍었더군요...ㅋㅋㅋ

두가지다 선갈퀴로 착각했었습니다.


  • ?
    여왕벌 2012.05.29 13:19
    감사합니다.
    올해 이 녀석들 좀 공부하려고 다날 때마다 담아 오곤 합니다만
    좋은 공부거리 주셨습니다
  • profile
    무심거사 2012.05.29 14:54
    맞아요 나도 가칠봉 그녀석을 선갈퀴로 생각했었는데 개라고 하는바람에 한참 헤메고 있던중입니다.
  • profile
    까치박달 2012.05.30 08:25
    선갈퀴. 산갈퀴. 흰갍퀴 에서 헤맸는데.. 개선갈퀴라는것도 있군요!
    개선갈퀴를 흰갈퀴로 오동정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분석카르마님께서 이참에 흰갈퀴와 개선갈퀴를 비교해주시어 가르쳐주시면 고맙겟습니다.
  • profile
    카르마 2012.05.30 08:50
    갈퀴내지 꼭두선이쪽은 안처다보고 다녔습니다...ㅎㅎㅎ

    생각난김에 정리해보겠습니다.
  • profile
    카르마 2012.05.30 13:35
    일단 공부할 준비는 다 했습니다.
    http://wildgreen.co.kr/class/571841
    근데 정리를 하기는 했는데도 뭔말인지 실물보기전에는 이해를 못합니다...ㅎㅎㅎ
    검색표는 나중에 한번 더 정리하겠습니다.

    선갈퀴는 잎이 4윤생이니까 전혀 다르고
    흰갈퀴는 잎끝이 요두로 가운데 부분이 조금 들어간 형태랍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갈퀴덩굴처럼 잎가장자리에 역침이 있어서 우둘투둘하다네요.
    개선갈퀴는 잎끝은 둥그렇지만 침이 튀어나와있는 것같은 미철두고 잎에 역침이 없습니다.
  • profile
    habal 2012.05.30 22:24
    통부의 차이점 있었군요.
    좋은자료 잘 보았습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연영초와 큰연영초

    https://wildgreen.co.kr/class/88189 참조 벌써 10년이 훨씬 지났군요. 뒤죽박죽 바뀌는 연영초와 큰연영초의 국명과 학명에 대해서 쓴 적이 있었습니다. 최근의 추세를 보니까 울릉도의 것들이 큰연영초(Trillium tschonoskii)로 내륙의 고산지역의 것들이 ...
    Date2023.06.28 By카르마 Views75
    Read More
  2. Korean Maple과 Japanese Maple

    인터넷 자료를 검색하다 보니 서양인들이 Korean Maple이라고 부르는 단풍나무가 있더군요. 자세히 살펴보니 우리가 당단풍이라고 부르는 종입니다. 반면 우리가 단풍나무라고 부르는 종은 일본단풍이라는 의미의 Japanes Maple이라고 부르는군요. 당단풍이라...
    Date2021.04.09 Category기타 By카르마 Views312
    Read More
  3. No Image

    장미속 식물의 구분

    1. 줄기가 누워있거나 땅에 바짝 엎드린다. 2. 줄기가 누워 있다, 모상체분비샘이 있다. 산방화서; 화주에 털이 없다(Styles glabrous)...............................1. 용가시나무 (Rosa maximowicziana) 2. 줄기가 땅에 바짝 붙어있으며, 분비선이 없다. ...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49
    Read More
  4. No Image

    한국산 양지꽃족의 검색표

    https://www.e-kjpt.org/journal/view.php?number=4908 1. 잎 표피 상납질이 발달하거나 미약하게 발달한다. 수술은 한 개의 화분낭이 존재하며, 화주는 기저생, 아기저생 또는 측생이다. (subtribe Fragariinae) 2. 관목이다. 자방에 털이 밀생한다 ·········...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422
    Read More
  5. No Image

    한국산 개별꽃속의 검색표

    https://www.e-kjpt.org/journal/view.php?number=4918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ex Pax & Hoffm.)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x Pax & Hoffm.) 긴개별꽃 (Pseudostellaria japonica Pax) 덩굴개별꽃 (Ps...
    Date2021.04.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42
    Read More
  6. 참나무속의 나무잎 동정 참고자료

    북악산하늘길을 탐사하다가 참나무속의 6종류 나무잎 특징을 알기쉽게 정리하여 게시한 것이 눈에 띄어 담아왔습니다.
    Date2019.02.2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설뫼* Views853
    Read More
  7. 명자나무,산당화,풀명자 검색

    도로변 녹지대 수목 녹지관리원입니다. 명자나무라고 하는 수목을 2년전 식목했었는데 검색해보니 다양합니다. 산당화라는것, 풀명자라는것,명자나무라는것 홍 뭐러는 종도있는것 같습니다. 구분이 어려워 이 난에 상세 조언믈 부탁드립니다.
    Date2017.07.02 Category식물검색표 By잘몰라요 Views922
    Read More
  8. 소태나무 황벽나무 잎 비교

    황벽나무 소태나무 붉나무 흥정계곡은 소태나무와 황벽나무가 같이 자라고 있고 나무가 높아 잎으로는 잘구별인 안된다.
    Date2017.06.2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까치박달 Views875
    Read More
  9. No Image

    운향과의 상위 분류

    초피나무 산초나무등을 조사하다가 의문점이 생겨 올립니다. 산초나무는 쥐손이풀목 Geraniales 운향과, 초피나무는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운향과로 되어있습니다. 운향과의 상위분류가 어떻게 두가지가 되나요? 실제로 그런가요? 이해가 힘듭니다. 고수님...
    Date2016.02.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숲과나무 Views542
    Read More
  10. 엉컹퀴 붉은줄기와 록색줄기

    개체가 다른것인지? 아니면 생육지에따라 변한것인지 궁금합니다. 이 사진은 5월24일 아침 8시에 동일장소에서 촬영한것입니다.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Date2015.05.2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잘몰라요 Views603
    Read More
  11. 백합나무 잎썩음병에 대하여,

    구리한강시민공원에서 수목을 가꾸며 지냅니다. 2010년부터 백합나무(튜울립나무)를 길가에 심어 가꾸는데 금년4월부터 잎이 검게 마르면서 만지면 바스러집니다. 잎이 모두떨어지면 나무가 고사합니다. 무슨 병일까요? 매우 궁금합니다. 사진두장은 건강한 나...
    Date2015.05.06 Category기타 By잘몰라요 Views572
    Read More
  12. 만주송이풀과 털만주송이풀

    자료를 하나 찾아 오동정을 바로 잡습니다 아래 비교 자료에 의하면 제가 본 설악의 만주송이풀은 털만주송이풀이었습니다 둘다 설악에 자생한다하니 또 가야할일이 생겼군요. 빠른시일내 만주송이풀 사진을 확보하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동참하실분 거수! (추...
    Date2015.05.05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무심거사 Views457
    Read More
  13. 바위솔 바로알기

    바위솔이 암에 좋다고 하니 멸종 위기종이 되어간다. 그래서 10여년 동안 가을에는 바위솔위치 확인하고 겨울에는 꽃대를 찾아 씨앗을 받으러 다녔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바위솔과 외국에서 들여온 종을 혼돈하는것이 너무 안타까워 한번 글을 올리고자 한다....
    Date2015.04.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케빈 Views552
    Read More
  14. No Image

    물레나물속 식물의 구분 : 애기고추나물 좀고추나물

    이상태검색집의 물레나물속 검색표입니다. 물레나물속 Hypericum 1. 소관목. 잎은 도피침형-장타원형 ------------------------------------- 1. 갈퀴망종화 1. 다년초. 잎은 피침형-광난형. 2. 꽃은 4-6cm. 화주는 5개. 수술은 5개씩 속생 ------------------...
    Date2014.07.18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424
    Read More
  15. No Image

    골치아픈 비름속....

    몇년전부터 벼르고 벼르던 것을 오늘은 용기를 내봤습니다. 다행이 몇년전에 정리하다만 자료가 컴터에 남아있네요...ㅎㅎㅎ 비름속 식물은 구분도 쉽지 않고 최근에 외래종이 많이 추가되어 더더욱 어려워졌습니다. 이상태검색집에는 8종 영문자료에는 재배종...
    Date2014.07.09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279
    Read More
  16. No Image

    범의귀속 식물 : 정리되지 않은 바위취, 바위떡풀

    바위취, 바워떡풀이 속해있는 범의귀속 식물에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11종 이상태검색집에는 12종이 등재되어있습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 범의귀속(Saxifraga) 11종 구름범의귀 (Saxifraga laciniata Nakai & Takeda) 구실바위취 (Saxifraga octopetala Naka...
    Date2014.06.3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272
    Read More
  17. 솔장다리의 실체

    드디어 솔장다리의 실체를 보았다. 딱보는 순간 수송나물과는 달랐다.. 역시 필드에서 보는게 최고 아무리 책상에서 들여다봐도 현장을 보지않고는 실감나지 않는것 같다 자생지도 강변이었고 잎의 형태나 꽃의 형태 모든게 달랐다
    Date2013.08.24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무심거사 Views461
    Read More
  18. No Image

    부추속 식물의 구분

    이상태검색집에 있는 부추속에 관한 내용입니다. 부추속 Allium 1. 花梗에 날개가 있다. 開花前 화경은 머리를 숙임. 根莖이 있다. 2. 根莖이 길다. 잎은 花梗과 비슷한 길이이다 ------------------------------ 1. 두메부추 2. 근경이 짧다. 잎은 화경보다 ...
    Date2013.05.2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551
    Read More
  19. No Image

    붓꽃속 식물의 구분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보면 25종의 붓꽃종류가 등재되어있습니다. 붓꽃속(Iris) 25종 각시붓꽃 (Iris rossii Baker var. rossii) 금붓꽃 (Iris minutiaurea Makino) 꽃창포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난장이붓꽃 (Iris uniflora var. caricin...
    Date2013.05.07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398
    Read More
  20. No Image

    원추리속 식물의 구분 II

    지난번에 영문자료에서 원추리속을 들여다보면서 많이 답답했었는데 이번에 새로운 논문이 하나 있어서 다시 정리를 해봤습니다. http://wildgreen.co.kr/class/88207 참조 노랑원추리 (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7,8월 경기,충북,충남,전북,전남 초지와...
    Date2013.05.0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328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4 Next
/ 1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