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조회 수 861 추천 수 31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어느곳에 올려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도감이나 다른 자료들을 보면 애기나리가 다년초로 나와 있습니다.그런데 제가 확인한 바로는 잘못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애기나리는 가는 뿌리가 여러개 사방으로 뻗는데,그 뿌리 끝에서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고 본 뿌리는 잎이 시들면 말라버립니다.  제가 확인한 것은 열매가 2~3개씩 달렸던 흔적으로 봐서 큰 애기나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나 해서 주변을 확인해 봐도 모두 다 똑같이 본 뿌리는 말라 죽어 있었습니다.
딸기를 보면 땅 위로 줄기가 뻗어나가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데(물론 딸기는 본체도 살아 있지만),그 형태가 흡사하게 땅속에서 이루어 지더군요. 씨앗을 받아서 심어놓고 내년에 관찰을 해 볼 요량입니다.
애기나리가 대부분 군락을 이루고 밀집되어 있는 것은  씨앗이 떨어져 퍼진 것 보다는 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가 여러개의 개체를 형성하고 죽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저는 사진기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자료 사진을 첨부하지 못해 죄송하지만 제 글을 읽고 다른 분들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아마도 봄에서 초가을
까지는 형성기이기 때문에 확인이 쉽지 않을 때고,잎이 시든 가을부터 겨울에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제 생각으로는 애기나리나 큰애기나리 모두 한해살이나 길어봐야 두해살이풀이 아닐까 합니다.
  • ?
    들국화 2008.01.17 00:13
    제소견으로는 다년초가 맞는것 같은데요~?
    식물에 전문적인 지식은 부족하지만 제가 10 여년전 같은난우회회원이자 건강원을 운영하시는 분한테 야산에 둥굴레가 지천이라는 말만 꿀떡같이 믿고.. 그흔한 애기나리 군락지를 뒤집은 적이 있는데요 봄에 새싹을 일찍내미는 애기나리는 추석지나면 대궁이 단풍들고 노대가납니다 그렇지만 죽은대궁을 둘춰보면 내년 새싹이 부엽속에 숨어있고요~! 제생각은 그렇습니다 지금도 묵은뿌리를들추면 새싹이 있습니다
  • ?
    들풀1 2008.01.22 13:55
    다년초가 맞습니다. 뿌리 부분이 살아서 겨울을 지네고 해마다 꽃피고 열매 맺는 초본들을 다년초라고 하는데....애기나리는 땅 속을 수평으로 뻗어 나가는 땅속 줄기 즉 근경에서 무성번식으로 해마다 자기복제 식물을 올려 보네고 있답니다.
  • ?
    신내 2008.01.22 19:53
    들풀1님 자기 복제로 몇개의 개체를 만들고 본 뿌리가 죽어도 그것을 다년초라 하는 것은 조금 이상하군요.제가 확인한 바로는올해 자란 것은 가을이되면 이미 죽는다는 것 입니다. 본뿌리가 살아서 겨울을 나지 않아도 다년초라 하는 것은 잘못된 것 아닌가요.?
  • ?
    들국화 2008.01.26 23:15
    그런경우에도 [복제]라는 말이 들어가는군요 첨알았습니다 지금기억으로는 대궁[줄기]는죽어도 뿌리는 남아서 새싹을 내미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은 땅이 얼었으니 날이풀리면 다시한번 확인을 해봐야 되겠습니다 조금전에 산림청에서 비매품으로 발행한 포켓용 도감을 들어다보다가 왔습니다 교목과 관목의 차이 소교목과 소관목의 차이중에도,, 내가본 그림들하고는 다르다는 종이 몇개있었습니다 메모해두었다가 주말에 전의식선생님께 여쭈어 볼려구요 애기나리에 관해서도 물어볼요량입니다.. 사실 저같은 경우에는 크고화려한 꽃이면 관심이더많이가고 약용이나 식용같으면 더더욱 좋아합니다 촌넘기질이지요 ^^*
  • ?
    kplant1 2008.02.08 17:36
    저도 자세한 것은 잘 모릅니다. 더군다나 흔히 관목리라면 주된 줄기가 없고, 뿌리켠에서 수 많은 줄기가 나오는 것을 일컫는데, 이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엄밀하게 구별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달래-나물로 먹는 것이 아님-도 꽃이 진다음 원뿌리는 죽지만 그 곳에서 나온 뿌리 같은 란나(포지)끝에 덩이뿌리가 생겨 겨울을 난 다음 다음해에 꽃대가 나와 꽃을 피우는데, 이를 어느 학자는 의사일년초라 불렀는데, 이런 것도 일반적으로 다년초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 ?
    kplant1 2008.02.08 17:38
    따라서 애기나리도 다래와 비슷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다년초라 부를 수 밖에 없겠지요.
  • ?
    현촌 2008.04.10 05:46
    진지한 토론 보기 좋습니다.
    이러한 토론이 많이 있으므로
    풀베개의 무궁한 발전이 기대될 것 같습니다.
    신내님의 발의로 좋은 지식 얻게 되어
    감사들합니다.
    그리고 들국화님, 들풀1님 그리고
    전의식 고문님 수고 하셨습니다.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0 기타 식물의 특징이나 구분법은 물론 식물에 관한 모든 자료 카르마 2005.06.10 738
269 식물정보 및 용어 화서(花序) <--네이버 백과사전 1 file 카르마 2005.06.22 865
268 식물정보 및 용어 화서 <-- 야후백과사전 file 카르마 2005.06.22 1018
267 식물정보 및 용어 잎차례 [phyllotaxis] <--네이버백과사전 file 카르마 2005.07.05 1081
266 식물정보 및 용어 잎자루 [petiole] <--네이버백과사전 file 카르마 2005.07.07 617
265 식물정보 및 용어 복엽 2 file 카르마 2005.07.11 1057
264 기타 꽃의 구조... 9 file 얼레지 2006.01.03 824
263 기타 식물 몇종이나 살고 있나? 3 현촌 2006.02.15 624
262 식물동정 예제 으아리와 참으아리 4 현촌 2006.03.01 629
261 식물동정 예제 별꽃과 쇠별꽃 2 file 카르마 2006.03.04 885
260 기타 복수초에도 6종류 5 file 현촌 2006.03.11 832
259 식물동정 예제 매화와 매실나무 1 file 현촌 2006.03.26 721
258 식물정보 및 용어 일비현상과 일액현상 3 카르마 2006.03.28 1073
257 식물동정 예제 동강할미꽃의 개체 차이 3 file 麥友 2006.03.29 500
256 식물정보 및 용어 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 8 file 카르마 2006.04.02 1107
255 식물정보 및 용어 앉은부채와 노랑앉은부채 11 file 카르마 2006.04.17 648
254 식물검색표 原始管束植物 및 고사리綱의 科 檢索表 카르마 2006.04.27 387
253 식물검색표 裸子植物綱의 科 檢索表 카르마 2006.04.27 367
252 식물검색표 單子葉植物의 科 檢索表 카르마 2006.04.27 348
251 식물검색표 雙子葉植物의 科 檢索表 카르마 2006.04.27 289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4 Next
/ 1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