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토끼풀,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말똥비름,
식물정보 및 용어
2007.10.04 14:28

새로 추가된 종

조회 수 672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가표준식물목록의 8월 29일자 자료를 기준으로 풀베개 DB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추가된 종(139종)
-------------------------
가는잎잔대( Adenophora triphylla for. linearis (Hayata) Kitam.)
세모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deltoides (S.O.Yu & al.) H.J.Choi & B.U.Oh)
둥근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
섬오리나무( Alnus japonica var. serrata Nakai)
팥애기자운( Amblyotropis verna var. longicarpa (T.H.Chung) W.T.Lee)
용비늘고사리( Angiopteris lygodiifolia Rosent.)
큰쇠고사리( Arachniodes caudata Ching)
꼬리쇠고사리( Arachniodes simplicior (Makino) Ohwi)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반들깃고사리( Asplenium boreale (Ohwi ex Kurata) Nakaike)
암뱀고사리( Athyrium clivicola Tagawa)
가는잎잔대( Adenophora triphylla for. linearis (Hayata) Kitam.)
세모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deltoides (S.O.Yu & al.) H.J.Choi & B.U.Oh)
둥근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
섬오리나무( Alnus japonica var. serrata Nakai)
팥애기자운( Amblyotropis verna var. longicarpa (T.H.Chung) W.T.Lee)
용비늘고사리( Angiopteris lygodiifolia Rosent.)
큰쇠고사리( Arachniodes caudata Ching)
꼬리쇠고사리( Arachniodes simplicior (Makino) Ohwi)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반들깃고사리( Asplenium boreale (Ohwi ex Kurata) Nakaike)
암뱀고사리( Athyrium clivicola Tagawa)
북새발고사리( Athyrium melanolepis (Franch. & Sav.) Christ)
성긴이삭풀( Bromus carinatus Hook. & Arn.)
민둥참새귀리( Bromus racemosus L.)
애기버어먼초( Burmannia championii Thwaites)
버어먼초( Burmannia cryptopetala Makino)
칼라디움( Caladium bicolor (Ait.) Vent.)
둥근잎택사( Caldesia parnassifolia (Bassi ex L.) Parl.)
흰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for. alba Nakai ex T.B.Lee)
줄작두콩( Canavalia gladiata DC.)
참골담초( Caragana koreana Nakai)
애기황새냉이( Cardamine manshurica (Kom.) Nakai)
회색사초( Carex cinerascens Kuk.)
동백사초( Carex livida (Wahl.) Willd.)
가는비늘사초( Carex maximowiczii for. suifunensis (Kom.) Nakai)
산바늘사초( Carex pauciflora Lightf.)
미국개오동( Catalpa speciosa Warder)
큰개비자나무( 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K.Koch)
접란( Chlorophytum comosum (Thunb.) Baker)
둥근잎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var. cyclophyllum Nakai)
층층고랭이( Cladium chinense Nees)
꽃층층이꽃(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Maxim.) Kitag.)
큰손고비( Colysis decurrens (Wall. ex Hook. & Grev.) Nakaike)
제주창고사리( Colysis xshintenensis (Hayata) H.Ito)
털현호색( Corydalis hirtipes B.U.Oh & J.G.Kim)
각시현호색( Corydalis misandra B.U.Oh)
남도현호색( 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흰아프리카문주란( Crinum moorei var. album Hert.)
흰비늘고사리( Ctenitis maximowicziana (Miq.) Ching)
남방고사리( Ctenitis sinii (Ching) Ohwi)
가는털백미( Cynanchum chinense R.Brown)
긴잎도깨비쇠고비( Cyrtomium devexiscapulae (Koidz.) Ching)
산쇠고비( Cyrtomium fortunei var. clivicola (Makino) Tagawa)
양골담초( Cytisis scoparius (L.) Link.)
털진고사리( Deparia kiusiana (Koidz.) M.Kato)
흰털고사리( Deparia orientalis (Z.R.Wang & J.J.Chien) Nakaike)
탐라진고사리( Deparia petersenii (Kunze) M.Kato)
나도좀진고사리( Deparia pseudoconilii (Serizawa) Serizawa)
개좀진고사리( Deparia × angustatum (Nakai) Nakaike)
흰큰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ldhami for. alba T.B.Lee)
둥근말발도리( Deutzia scabra Thunb.)
서울민바랭이( Digitaria violascens var. intersita (Ohwi) Ohwi)
탐라민바랭이( Digitaria violascens var. lasiophylla (Honda) Tuyama)
큰섬잔고사리( Diplazium nipponicum Tagawa)
개톱고사리( Diplazium okudairae Makino)
금강고사리( Dryopteris austriaca var. subopposita H.Ito)
가는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caudipinna Nakai)
애기톱지네고사리( Dryopteris commixta Tagawa)
애기지네고사리( Dryopteris decipiense var. diplazioides (Christ) Ching)
큰톱지네고사리( Dryopteris dickinsii (Franch. & Sav.) C.Chr.)
청지네고사리( Dryopteris erythrosora for. viridisora (Nakai & H.Ito) H.Ito)
꼬리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formosana (Christ) C.Chr.)
큰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hondoensis Koidz.)
반들지네고사리( Dryopteris medioxima Koidz.)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물벼룩이자리( Elatine triandra Schkuhr)
등대꽃( Enkioanthus campanulatus Nicholson)
산민망초( Erigeron acris var. kamtschaticus (DC.) Herder)
단주대극( Euphorbia hylonoma Hand.-Mazz.)
민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var. glabrescens Nakai)
숙은처녀치마( Heloniopsis tubiflora Fuse & al.)
큰피막이풀( Hydrocotyle nepalensis Hook.)
좀처녀이끼( Hymenophyllum polyanthos (Sw.) Sw.)
스위트피( Lathyrus odoratus L.)
좀백산차( Ledum palustre var. minus Nakai)
긴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var. nobukoanum (Makino) Tagawa)
방망이일엽초( Lepisorus uchiyamae (Makino) H.Ito)
해안싸리( Lespedeza uyekii Nakai)
가는잎방풍( Libanotis seseloides (Fisch. & Meyer) Turcz.)
중국남천( Mahonia fortunei (Lindl.) Fedde)
뿔남천( Mahonia japonica (Thunb.) DC.)
중정억새( Miscanthus sinensis var. nakaianus (Honda) Y.N.Lee)
몬스테라( Monstera deliciosa Liebm.)
애기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macrophyllus (Honda) Ohwi)
흰솜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var. incana (Roth) Nakai)
왕고광나무( Philadelphus koreanus var. robustus (Nakai) W.T.Lee)
나도개관중( Polystichum pseudomakinoi Tagawa)
긴개관중( Polystichum tagawanum Kurata)
털개벚나무( Prunus leveilleana var. pilosa Nakai)
털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var. pubescens (Kostina) Kitag.)
자주이대( Pseudosasa japonica var. purpurascens Nakai)
단풍잎석위( Pyrrosia polydactyla (Hance) Ching)
큰우단일엽( Pyrrosia xnipponica Beppu & Serizawa)
청위봉배나무( Pyrus pseudocalleryana Uyeki)
털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pubescens Nakai ex Kawamoto ex Nakai)
들배나무( Pyrus uyematsuana Makino)
민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var. nudata Blume)
영산홍( Rhododendron indicum (L.) Sweet)
목향장미( Rosa banksiae Aiton)
민생열귀( Rosa silenidiflora Nakai)
부령소리쟁이( Rumex patientia L.)
사탕수수( Saccharum officinarum L.)
거문도개미자리( Sagina saginoides (L.) Karst.)
지렁쿠나무( Sambucus sieboldiana var. miquelii (Nakai) Hara)
긴산취( Saussurea umbrosa var. herbicola Nakai)
단풍고사리삼( Sceptridium nipponicum (Makino) Holub)
비바리골무꽃( Scutellaria indica var. alba S.T.Kim & S.T.Lee)
가지기린초( Sedum aizoon var. ramosum Uyeki & Sakata)
가는금강아지풀( Setaria pallidefusca (Schumach.) Stapf & C.E.Hubb.)
유럽강아지풀( Setaria verticillata (L.) P.Beauv.)
털장구채( Silene firma for. pubescens (Makino) Makino)
크록시니아( Sinningis speciosa (Lodd.) Hiern.)
긴갓냉이( Sisymbrium orientale L.)
연두솜대( Smilacina bicolor var. flavovirens N.S.Lee & J.Y.Kim)
무망시리아수수새( Sorghum halepense for. muticum Hubb.)
탐라별고사리( Thelypteris dentata (Forssk.) E.P.St.John)
잔털드문고사리( Thelypteris hattorii (H.Ito) Tagawa)
털산고사리( Thelypteris nipponica var. borealis Hiyama)
속리참나물( Tilingia nakaiana Kitag.)
대마참나물( 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
색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variegatum Nakai ex Mori)
세잎쥐오줌풀( Valeriana dageletiana var. verticillata S.H.Park)
흰분홍두메투구꽃( Veronica stelleri var. longistyla for. rufescens Y.N.Lee)
버들잎꼬리풀( Veronica tubiflora Fisch. & C.A.Mey.)
흰냉초( Veronicastrum sibiricum for. albiflora T.Yamaz.)
금강가물고사리( Woodsia microsora Kodama)
푸른잔디( Zoysia japonica var. pallida Nakai)
-----------------------------------------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개나리의 장주화와 단주화

    어떤 책을 보면 개나리를 자웅이주라고 적어놓은 책이 가끔 있더군요. 하지만 이는 명백한 잘못입니다. 위의 두개의 사진처럼 개나리는 꽃하나에 암술과 수술을 동시에 가지는 양성화입니다. 위쪽의 사진은 암술의 길이가 긴 장주화(長柱花)이고 아래는 암술이...
    Date2006.04.0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101
    Read More
  2. 잎차례 [phyllotaxis] <--네이버백과사전

    줄기에 대한 잎의 배열 방식. 엽서(葉序)라고도 한다. 보통의 잎차례는 1개의 마디에 1장의 잎이 붙는 경우이며, 이것을 어긋나기(호생잎차례)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잎의 부착점을 연결하는 선이 나선상으로 되므로 이것을 나선잎차례[螺旋葉序]라고도 한다. ...
    Date2005.07.05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75
    Read More
  3. No Image

    일비현상과 일액현상

    지난번 塞翁之馬님의 사진에 대해서 일비현상이라고 답을 드렸었는데 자료를 뒤지다 보니까 일비현상이 아니고 일액현상이 맞는 것같습니다. 일비현상(Exudation,Bleeding):식물의 줄기를 절단하거나 줄기의 도관부에 상처를 주었을 때 물이 배출되는 경우 일...
    Date2006.03.28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68
    Read More
  4. 복엽

    얼핏 보기에는 여러 잎이 달린 것 같지만, 실은 하나의 잎이 갈라져서 두 개 이상의 작은 잎을 이룬 잎을 말합니다. 갈라진 작은 잎의 배열 상태에 따라 1) 우상복엽(羽狀復葉, 깃모양 겹잎), 2) 삼출엽(三出葉, 3출 겹잎), 3) 장상복엽(掌狀復葉)
    Date2005.07.1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46
    Read More
  5. 화서 <-- 야후백과사전

    꽃대에 달린 꽃이 둘 이상 집단을 이루어 피는 모양. 화서(花序)라고도 한다. 꽃의 배열양식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한 형이 있는데 이것을 꽃차례형(型)이라고 하며 보통 줄여서 꽃차례라고 한다. 줄기의 맨 끝에 단 1개의 꽃이 달린 경우는 꽃차례가 ...
    Date2005.06.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16
    Read More
  6. No Image

    야생화 이름의 유래에 대한 기초지식[펌]

    야생화 이름의 유래에 대한 기초지식 우리나라에는 대략 4천여 종(귀화식물이나 원예종은 제외)의 식물이 있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이름이 있는 것처럼, 식물의 이름은 식물을 구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며 사람과 식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합니다...
    Date2007.08.30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유수처럼 Views930
    Read More
  7. 갈퀴덩굴속 식물정보

    마침 금년에 나온 논문이 갈퀴덩굴속의 형태에 대해서 잘 되어있네요.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정금선 ( Keum Seon Jeong ) , 박재홍 ( Jae Hong Pak ) 식물분류학회지 | 2012 위 논문의 주요내용을 발췌해...
    Date2012.05.30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904
    Read More
  8. 화서(花序) <--네이버 백과사전

    꽃대[花軸]에 달린 꽃의 배열, 또는 꽃이 피는 모양. 화서(花序)라고도 한다. 크게 단꽃차례[單花序]와 복꽃차례[複花序]로 나누며, 단꽃차례는 다시 총수꽃차례[總穗花序]와 취산꽃차례[聚繖花序]의 2가지로 나눈다. ⑴ 총수꽃차례:꽃대 밑에서 끝을 향하면서 ...
    Date2005.06.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863
    Read More
  9. 어리연꽃이 용담목(目)이라니!

    연꽃과 밑에 연꽃속, 수련속, 가시연꽃속, 어리연꽃속이 속해 있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조사하여 보고 놀랬습니다. 얼마나 무식한지를 알게 되어 부끄럽습니다. 잘 아시리라고 믿습니만 저 처럼 아직 몰랐던 회원들에게도 도움이 될것 같애 알려 드립니다. ...
    Date2007.07.1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857
    Read More
  10. No Image

    부유성 수생식물

    부유성 수생식물(浮遊性水生植物) 요즘 수생식물이 한참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그런데 부유성 수생식물에 대한 자료가 희귀하여 일본의 분류자료를 번역하였기에 회원님들에게도 도움이 될것 같애서 아래에 게재했습니다. 부유성 수생식물을 설명하기 전에 우...
    Date2007.07.1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796
    Read More
  11. No Image

    분꽃이 갈래꽃(이판화)이라는 사실.

    우연히 분꽃이 통꽃이 아니고,갈래꽃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았네요. 꽃 모양이 분명히 통으로된 분꽃이... 분류학자마다 좀 다를 수 있지만 내 자료에는 분꽃은 종자식물문(현화식물문) 속씨식물아문(피자식물아문) 쌍떡잎식물강(쌍자엽식물강) 갈래꽃아강(이판...
    Date2007.12.05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봄까치꽃 Views746
    Read More
  12. 대극속 식물의 배상화서(杯狀花序)에 대한 이해

    대극속 식물들은 배상화서라는 독특한 화서를 갖는 특징이 있습니다. 배상화서(杯狀花序)란 문자그대로 화서의 형태가 술잔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영문 기재문을 보면 involucre cuplike 또는 Cyathium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서의 형태가 컵(잔)처럼...
    Date2012.07.19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726
    Read More
  13. No Image

    통합, 삭제 또는 변경된 자료

    국가표준식물목록의 8월 29일자 자료를 기준으로 풀베개 DB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통합, 삭제 또는 변경된 자료(304종) ------------------------------- 다시마고사리 -->다시마고사리삼 부싯깃꼬리고사리 -->산부싯깃꼬리고사리 큰솜털고사리 -->애기가물...
    Date2007.10.04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710
    Read More
  14. 진정한 왜개연꽃의 모습은?

    어떤 분야든지 깊이 들어 갈수록 어려운 것은 세상이 다 아는 것이지만 식물분류는 참으로 어렵군요. 우리 풀베개 종합식물도감의 왜개연꽃을 보면 회원들이 다른 종류의 꽃들이 섞어저 있습니다. 개연꽃의 숫술이 모인 원반 같은 것을 주원반(柱圓盤)이라 하...
    Date2007.07.24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현촌 Views673
    Read More
  15. No Image

    새로 추가된 종

    국가표준식물목록의 8월 29일자 자료를 기준으로 풀베개 DB를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추가된 종(139종) ------------------------- 가는잎잔대( Adenophora triphylla for. linearis (Hayata) Kitam.) 세모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deltoides (S.O.Yu & ...
    Date2007.10.04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72
    Read More
  16. 앉은부채와 노랑앉은부채

    화악산 탐사를 갔다가 하산길에 눈이 밝으신 맥우님 덕분에 대규모 앉은부채군락지를 두군데 발견했습니다. 그중 한군데서는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를 찾았습니다. 사진은 일반 앉은부채와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가 서로 기대며 사이좋게 살고 있더군요. 위 ...
    Date2006.04.1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48
    Read More
  17. 잎자루 [petiole] <--네이버백과사전

    잎몸 부분을 유지하는 자루 부분. 엽병(葉柄)이라고도 한다. 잎자루 속의 관다발은 줄기의 관다발과 잎몸의 관다발을 연락하는 역할을 한다. 잎자루는 많은 식물의 잎에 있지만, 이것이 없는 식물도 있고, 잎몸이 직접 줄기에 붙는 것, 때로는 외떡잎식물에서 ...
    Date2005.07.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16
    Read More
  18. No Image

    국가표준식물목록 통합 및 삭제, 추가된 종 가나다순 정리

    카르마님 께서 올리신 2007년 8월 29일자 기준 국가표준식물목록 통합 및 삭제, 추가된 종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했습니다. 보시는데 훨씬 수월하시리라 생각되어 올립니다. 국가 표준 식물 목록의 통합, 삭제 또는 변경된 자료(304종) 2007.8.29 기준 가는각시...
    Date2008.07.08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고들빼기 Views593
    Read More
  19. 바위솔 바로알기

    바위솔이 암에 좋다고 하니 멸종 위기종이 되어간다. 그래서 10여년 동안 가을에는 바위솔위치 확인하고 겨울에는 꽃대를 찾아 씨앗을 받으러 다녔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바위솔과 외국에서 들여온 종을 혼돈하는것이 너무 안타까워 한번 글을 올리고자 한다....
    Date2015.04.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케빈 Views552
    Read More
  20. No Image

    운향과의 상위 분류

    초피나무 산초나무등을 조사하다가 의문점이 생겨 올립니다. 산초나무는 쥐손이풀목 Geraniales 운향과, 초피나무는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운향과로 되어있습니다. 운향과의 상위분류가 어떻게 두가지가 되나요? 실제로 그런가요? 이해가 힘듭니다. 고수님...
    Date2016.02.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숲과나무 Views542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