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비비추, 말발도리, 산딸나무, 느티나무, 미나리냉이, 황기, 토끼풀, 실별꽃,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풀낭구공부방

원칙적으로 펌이나 스크랩을 금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본의 출처 및 url을 분명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1. No Image

    原始管束植物 및 고사리綱의 科 檢索表

    < 原始管束植物 및 고사리綱의 科 檢索表 > 1. 식물은 陸生(땅에서 자람) 또는 水生(물속에서 자람). 2. 잎은 假葉性(엽맥 없는 가시 또는 비늘모양) 또는 小葉性(작고 엽맥이 1가닥). 3. 줄기는 마디로 되어 있지 않고, 叉狀, 亞叉狀, 單軸狀 分枝 또는 非分...
    Date2006.04.27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387
    Read More
  2. 동강할미꽃의 개체 차이

    동강할미꽃과 긴동강할미꽃이 있다 하여 금번 탐사에서 촬영해온 자료들을 자세히 보니 약간의 차잇점이 나는 개체가 있군요 꽃을 싸고 있는 총포(꽃받침?)에서 약간 다른 부분이 있슴미다 혹시 이부분에서 구별하는지 몰라 올려 봄미다
    Date2006.03.29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麥友 Views500
    Read More
  3. 매화와 매실나무

    아름다운 매화를 봄에 일찍 피는 식물에 부쳐진 이름이 많습니다. 즉 매화바람꽃, 매화노루발, 물매화, 금매화, 황매화 등등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지 원래의 매화나무은 이들과 피해서 매실나무라고 호칭을 바꾸었나 봅니다. 그림이나 묵화(墨畵)...
    Date2006.03.26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현촌 Views721
    Read More
  4. 복수초에도 6종류

    복수초를 들에서 보시면 복이 쏟아저 들어오고 그리고 오래 산답니다. 복수초(福壽草)라고 하니 말입니다. 복수초에 6종류있다는데(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 가지복수초, 연노랑복수초, 애기복수초) 흔히 볼수 있는 것은 복수초, 개복수초, 세복수초로 그 ...
    Date2006.03.11 Category기타 By현촌 Views832
    Read More
  5. 별꽃과 쇠별꽃

    별꽃과 쇠별꽃은 구분하기 쉽지않은 것같습니다. 1. 개화시기 일반적으로 별꽃은 주로 봄(5,6)월에 피고 쇠별꽃은 가을(7,8월)에 피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겹치는 시기도 있고 별꽃속의 특성상 시도때도 없는 피는 경우가 많아서 시기적인 구...
    Date2006.03.04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카르마 Views885
    Read More
  6. No Image

    으아리와 참으아리

    이 두 꽃의 구별이 항상 혼돈되기에 전에 조사한 것이 있기에 여기에 실어 볼까합니다. 추가가 정정사항이 있으면 부탁하여 함께 생각하고 싶습니다. 으아리와 참으아리와의 特性差 (2005.11.15.작성) 항목 으아리 참으아리 길이 2m에 이른다 5m 잎 대생하고 5...
    Date2006.03.01 Category식물동정 예제 By현촌 Views629
    Read More
  7. No Image

    식물 몇종이나 살고 있나?

    우리나라에 식물종류가 얼마나 있을까요? 저는 4000종이 있는 것으로 알았는데 총 7320종에 자생종만 약 5000종임을 알고 놀랬습니다. 아래 자료를 참고 하세요. 2006.02.15현재 항목 과 속 종 자생종 199 1,133 4,948 재배종 135 424 2,275 외국종 16 34 97 ...
    Date2006.02.15 Category기타 By현촌 Views624
    Read More
  8. 꽃의 구조...

    예전에 야사모에 올렸던 건데... 여기다 또 올릴께요... ^^ 검은 바탕은 제가 컴 바탕화면으로 쓰는 것입니다... 둘 다 같은 것이니 아무거나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Date2006.01.03 Category기타 By얼레지 Views824
    Read More
  9. 복엽

    얼핏 보기에는 여러 잎이 달린 것 같지만, 실은 하나의 잎이 갈라져서 두 개 이상의 작은 잎을 이룬 잎을 말합니다. 갈라진 작은 잎의 배열 상태에 따라 1) 우상복엽(羽狀復葉, 깃모양 겹잎), 2) 삼출엽(三出葉, 3출 겹잎), 3) 장상복엽(掌狀復葉)
    Date2005.07.11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57
    Read More
  10. 잎자루 [petiole] <--네이버백과사전

    잎몸 부분을 유지하는 자루 부분. 엽병(葉柄)이라고도 한다. 잎자루 속의 관다발은 줄기의 관다발과 잎몸의 관다발을 연락하는 역할을 한다. 잎자루는 많은 식물의 잎에 있지만, 이것이 없는 식물도 있고, 잎몸이 직접 줄기에 붙는 것, 때로는 외떡잎식물에서 ...
    Date2005.07.0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17
    Read More
  11. 잎차례 [phyllotaxis] <--네이버백과사전

    줄기에 대한 잎의 배열 방식. 엽서(葉序)라고도 한다. 보통의 잎차례는 1개의 마디에 1장의 잎이 붙는 경우이며, 이것을 어긋나기(호생잎차례)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잎의 부착점을 연결하는 선이 나선상으로 되므로 이것을 나선잎차례[螺旋葉序]라고도 한다. ...
    Date2005.07.05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81
    Read More
  12. 화서 <-- 야후백과사전

    꽃대에 달린 꽃이 둘 이상 집단을 이루어 피는 모양. 화서(花序)라고도 한다. 꽃의 배열양식에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일정한 형이 있는데 이것을 꽃차례형(型)이라고 하며 보통 줄여서 꽃차례라고 한다. 줄기의 맨 끝에 단 1개의 꽃이 달린 경우는 꽃차례가 ...
    Date2005.06.22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1018
    Read More
  13. No Image

    식물의 특징이나 구분법은 물론 식물에 관한 모든 자료

    자료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댓글에도 사진을 업로드 할 수 있게 수정했습니다.
    Date2005.06.10 Category기타 By카르마 Views738
    Read More
  14. 앉은부채와 노랑앉은부채

    화악산 탐사를 갔다가 하산길에 눈이 밝으신 맥우님 덕분에 대규모 앉은부채군락지를 두군데 발견했습니다. 그중 한군데서는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를 찾았습니다. 사진은 일반 앉은부채와 잎이 노란색인 앉은부채가 서로 기대며 사이좋게 살고 있더군요. 위 ...
    Date2006.04.17 Category식물정보 및 용어 By카르마 Views648
    Read More
  15. No Image

    점나도나물속의 동정포인트

    점나도나물속 식물의 구분이 쉽지않은 것같습니다. 여러가지 혼동이 많은 듯해서 정리를 좀 해봤습니다. 1. 꽃잎의 끝은 雙齒狀이다. 2. 꽃잎과 꽃받침의 길이가 비슷하다 ----------------------------------- 1. 점나도나물 2. 꽃잎은 꽃받침보다 2배정도 길...
    Date2009.05.29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256
    Read More
  16.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

    매자나무속 식물은 봄에 피는 진노란색의 꽃도 아름답고 가을이면 단풍과 함께 붉은 열매때문에 최근 정원수로 인기 있는 수종이지만 원래는 약재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식물이다. 매자나무속의 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이 학명과 비슷한 berberine 외에도 palma...
    Date2008.06.16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912
    Read More
  17. No Image

    붉은병꽃나무와 소영도리나무

    풀베개의 자료 및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보며 병꽃나무속에 다음과 같이 11종의 식물이 등록되어있습니다, ------------------------------------------------------------------------ 골병꽃나무 Weigela hortensis (Siebold & Zucc.) K.Koch 병꽃나무 Weigela...
    Date2009.05.30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499
    Read More
  18. 산박하속 식물의 동정포인트

    요즘 산에 가면 흔히 눈에 띄는 식물중 하나가 산박하입니다. 산박하속 식물중 자주방아풀이라는 식물의 정체가 궁금해서 자료를 뒤져봤습니다. 결론적으로 엽액에서도 화서가 나오는 것이 산박하이고 엽액에는 화서가 없고 줄기끝에만 총상화서를 이루는 것이...
    Date2009.09.21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371
    Read More
  19. 용담속식물의 동정(과남풀, 큰구슬붕이)

    용담속 식물중에서도 봄에는 구슬붕이과 큰구슬붕이 가을에는 용담과 과남풀이 자주 도마에 올라옵니다. 결론적으로 큰구슬붕이는 포가 있고 구슬붕이는 포가 없는 것이 중요한 차이점이고 용담은 꽃받침이 옆으로 벌어지지만 과남풀은 벌어지지 않고 화통과 ...
    Date2009.09.25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404
    Read More
  20. No Image

    사상자와 개사상자

    사상자와 개사상자때문에 많이 애를 먹었었는데 그동안 개사상자에 관한 부분이 많이 바뀐듯합니다. 이상태검색집을 보면 29. 소산경 2-4개, 총포는 없거나 1개, 꽃받침 백색 또는 자주색, 열매는 타원형으로 자줏빛을 띠고 갈고리모양의 가시같은 돌기와 복모...
    Date2010.06.21 Category식물검색표 By카르마 Views287
    Read More
계속 검색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 14 Next
/ 14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