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정향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해당화, 덩굴장미,

묵밭소리쟁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2년생 초본.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eddish Purple
  • 원추화서,
마디풀과(Polygonaceae)
소리쟁이속(Rumex)
국명묵밭소리쟁이(외래식물)
학명Rumex conglomeratus Murray
별명묵밭송구지(북한명), 묵밭소루장이(북한명)
원산지유럽 원산.
분포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길가나 도랑에서 자란다.
전체크기높이가 1m 가량 된다.
형태
  • 근생엽과 줄기잎으로 분류한다. 근생엽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원저 또는 약간 심장저이며 길이 10-20cm, 폭 3-7cm로서 엽병이 길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잎도 이와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 꽃은 5-7월에 피며 적자색이고 원뿔모양꽃차례에서 층층이 돌려나기한다. 꽃차례에 잎이 있으며 꽃받침은 6장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개, 암술대 3개로 구성되어 있다. 꽃받침 열편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혹이 있다.
  • 열매는 수과로 세모진 넓은 달걀모양이며, 약 1.5mm 길이이고, 흑갈색으로 안쪽 꽃받침에 싸인다.
  •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흑자색이 돌며 줄기는 가늘고 길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털이 없으며 곧게 선다.
서식지양지의 길가나 도랑 근처에서 자란다.
개요줄기에 세로로 능선이 있고 꽃받침 뒷면에 날개 모양의 혹이 분포한다.
근연종* ▶애기수영(R. acetosella): 털이 없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잎과 함께 신맛이 난다.
▶토대황(R. aquaticus): 잎은 긴 타원상 달걀모양, 긴 삼각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소리쟁이(R. japonicus): 뿌리는 비후하고, 잎은 타원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굴곡, 약간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짧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잎자루는 길다.
동정키줄기에 세로로 능선이 있고 꽃받침 뒷면에 날개 모양의 혹이 분포한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 식물편(목,초본류) (정태현, 1965),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외래식물
검색된 식물 13

식물이름 학명
히말라야여뀌 Koenigia polystachya (Wall. ex Meisn.) T.M.Schust. & Reveal   마디풀과   히말라야여뀌속  
하수오 Reynoutria multiflora (Thunb.) Moldenke   마디풀과   하수  
쓴메밀 Fagopyrum tataricum (L.) Gaertn.   마디풀과   모밀속  
부령소리쟁이 Rumex patientia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묵밭소리쟁이 Rumex conglomeratus Murray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개마디풀 Polygonum equisetiforme Sibth. & Sm.   마디풀과   마디풀속  
미국갯마디풀 Polygonum ramosissimum Michx.   마디풀과   마디풀속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Franch. & Sav.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마디풀과   여뀌속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A.Love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