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정향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해당화, 덩굴장미,

분개구리밥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개구리밥과(Lemnaceae)
분개구리밥속(Wolffia)
국명분개구리밥(외래식물)
학명Wolffia arrhiza (L.) Wimm.
별명좀분개구리밥
분포중부 이남
형태
  • 단독 또는 2개의 엽상체가 군체를 한다. 엽상체는 배면은 평탄하고 하부는 비대한 몸속에 가장 폭이 넓은 타원체로 되며 달걀모양 또는 반구형이다. 엽상체는 길이 0.03∼0.08cm, 너비 0.02∼0.05cm이다.
  • 꽃은 엽상체 표면 중앙 부근의 화공에 1개 달리며 1개의 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 종자는 공모양이다. 겨울에는 엽상체가 전분을 저장하여 식아로 되어 물속에 잠겼다가 이른 봄 식아가 떠올라 새로운 엽상체를 싹 틔운다.
서식지연못이나 늪지의 물 위에 난다.
개요연못이나 논의 물 위에 떠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뿌리가 없으며, 잎은 엽상체로 타원 모양의 반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길이 0.8~1.3mm, 폭 0.6~0.8mm, 높이 0.6~0.8mm다. 끝부분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와 붙어 있어 눈사람처럼 보인다. 꽃은 엽상체 윗면의 홈에 수꽃과 암꽃이 1개씩 피며 꽃잎과 꽃받침이 없다. 씨는 공 모양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아프리카, 유라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개구리밥속 식물이나 좀개구리밥속 식물보다 크기가 작고 뿌리가 발달하지 않아 구분된다. 꽃피는 식물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분류군으로 물에 떠 있는 경우 벼과나 사초과 식물의 씨처럼 보인다. 어류 및 수서생물의 먹이가 되며, 수질 정화 기능을 한다. 분개구리밥풀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뿌리와 잎맥이 없다. 극히 작은 다년생 부유식물로 다른 부초와 혼생하는 것이 많다.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196

식물이름 학명
비너스도라지 Triodanis perfoliata (L.) Nieuwl.   초롱꽃과   비너스거울속  
애기범부채 Tritonia crocosmaeflora Lemoine   붓꽃과   애기범부채속  
서양쐐기풀 Urtica dioica L.   쐐기풀과   쐐기풀속  
긴포마편초 Verbena bracteata Cav. ex Lag. & Rodr.   마편초과   마편초속  
큰물칭개나물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현삼과   개불알풀속  
문모초 Veronica peregrina L.   현삼과   개불알풀속  
개불알풀 Veronica polita Fr.   현삼과   개불알풀속  
좀개불알풀 Veronica serpyllifolia L.   현삼과   개불알풀속  
큰노랑꽃갈퀴 Vicia grandiflora Scop.   콩과   나비나물속  
구주갈퀴덩굴 Vicia sepium L.   콩과   나비나물속  
긴꼬리제비꽃 Viola inconspicua Blume   제비꽃과   제비꽃속  
창원제비꽃 Viola palmata L.   제비꽃과   제비꽃속  
들묵새아재비 Vulpia bromoides   벼과   들묵새아재비속  
좀들묵새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벼과   들묵새속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속  
바늘도꼬마리 Xanthium spinosum L.   국화과   도꼬마리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