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봉숭아, 사과나무,

분개구리밥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개구리밥과(Lemnaceae)
분개구리밥속(Wolffia)
국명분개구리밥(외래식물)
학명Wolffia arrhiza (L.) Wimm.
별명좀분개구리밥
분포중부 이남
형태
  • 단독 또는 2개의 엽상체가 군체를 한다. 엽상체는 배면은 평탄하고 하부는 비대한 몸속에 가장 폭이 넓은 타원체로 되며 달걀모양 또는 반구형이다. 엽상체는 길이 0.03∼0.08cm, 너비 0.02∼0.05cm이다.
  • 꽃은 엽상체 표면 중앙 부근의 화공에 1개 달리며 1개의 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 종자는 공모양이다. 겨울에는 엽상체가 전분을 저장하여 식아로 되어 물속에 잠겼다가 이른 봄 식아가 떠올라 새로운 엽상체를 싹 틔운다.
서식지연못이나 늪지의 물 위에 난다.
개요연못이나 논의 물 위에 떠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부유성 수생식물이다. 뿌리가 없으며, 잎은 엽상체로 타원 모양의 반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길이 0.8~1.3mm, 폭 0.6~0.8mm, 높이 0.6~0.8mm다. 끝부분에서 새로운 개체가 나와 붙어 있어 눈사람처럼 보인다. 꽃은 엽상체 윗면의 홈에 수꽃과 암꽃이 1개씩 피며 꽃잎과 꽃받침이 없다. 씨는 공 모양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아프리카, 유라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개구리밥속 식물이나 좀개구리밥속 식물보다 크기가 작고 뿌리가 발달하지 않아 구분된다. 꽃피는 식물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분류군으로 물에 떠 있는 경우 벼과나 사초과 식물의 씨처럼 보인다. 어류 및 수서생물의 먹이가 되며, 수질 정화 기능을 한다. 분개구리밥풀이라고도 부른다.
동정키뿌리와 잎맥이 없다. 극히 작은 다년생 부유식물로 다른 부초와 혼생하는 것이 많다.
참고문헌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417

식물이름 학명
땅꽈리 Physalis angulata L.   가지과   꽈리속  
페루꽈리 Nicandra physalodes (L.) Gaertn.   가지과   페루꽈리속  
둥근가시가지 Solanum sisymbriifolium Lam.   가지과   가지속  
노란꽃땅꽈리 Physalis wrightii Gray   가지과   꽈리속  
털까마중 Solanum sarrachoides Sendtn.   가지과   가지속  
도깨비가지 Solanum carolinense L.   가지과   가지속  
가시가지 Solanum rostratum Dunal   가지과   가지속  
노랑까마중 Solanum nigrum var. humile Wu & Huang   가지과   가지속  
미국까마중 Solanum americanum Mill.   가지과   가지속  
은빛까마중 Solanum elaeagnifolium Cav.   가지과   가지속  
까마중 Solanum nigrum L.   가지과   가지속  
노랑꽃누운땅꽈리 Physalis lagascae   가지과   꽈리속  
왕도깨비가지 Solanum viarum   가지과   가지속  
분개구리밥 Wolffia arrhiza (L.) Wimm.   개구리밥과   분개구리밥속  
점개구리밥 Spirodela punctata   개구리밥과   개구리밥속  
북미골풀 Juncus torreyi Coville   골풀과   골풀속  
들괭이밥 Oxalis dillenii Jacq.   괭이밥과   괭이밥속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과   괭이밥속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국화과   돼지풀속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국화과   돼지풀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