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황기, 말발도리, 비비추, 낙우송, 장미, 산딸나무, 느티나무, 토끼풀, 실별꽃, 회화나무, 봉숭아, 왕벚나무, 팽나무,

나도바랭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나도바랭이(Chloris virgata Sw.) : 추풍

    추풍

  • 나도바랭이(Chloris virgata Sw.) : 추풍

    추풍

  • 나도바랭이(Chloris virgata Sw.) : 무심거사

    무심거사

  • 1년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violet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속(Chloris)
국명나도바랭이(외래식물)
학명Chloris virgata Sw.
원산지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
분포한국
전체크기높이는 20-50㎝.
형태
  • 엽신은 길이 6~25cm, 너비 4~7mm이다. 6~25cm 4~7mm 엽초는 밋밋하고 등 쪽에 용골이 있다. 엽설은 극히 낮은 막질이며 가장자리에 가늘고 짧은 털이 줄지어난다.
  • 줄기 끝에 4~10개의 총(raceme)이 장상으로 달리고 화서의 길이 5~7cm, 화축의 한쪽으로 무병의 소수가 빈틈없이 2열로 배열된다. 소수는 길이 3.0~3.5mm, 2개의 소화가 있다. 아래쪽 소화는 무병으로 임성이며 위쪽 소화는 유병으로 무성이다. 포영은 1맥으로 모두 끝이 까락이 되며 제1포영은 길이 2.0~2.5mm, 제2포영은 길이 3.0~3.5mm이다. 임성소화의 호영은 혁질, 길이 3mm, 끝은 2개의 뾰족한 톱니로 갈라지고 사이에서 길이 10~15mm의 까락이 나오며 3맥, 위쪽 가장자리에 백색의 긴 털이 있다. 무성소화는 호영만 남고 나머지는 퇴화 되었으며 호영 끝에 길이 8~15mm의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보다 약간 짧고 2맥, 용골에 작은 털이 난다.
  • 영과
  • 한 포기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오고 높이 20~50cm, 4~6개의 마디가 있다. 20~50cm
서식지해안가의 황무지나 길가에서 자라는 열대아메리카원산의 귀화식물이다.
개요해안가의 빈터나 길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대가 나와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20~50cm이며, 마디는 4~6개 있다. 잎몸은 길이 10~25cm이고, 너비 4~7m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0.8mm이고, 위쪽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가지들이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고, 길이 5~7cm이다. 작은이삭은 가지의 한쪽에 두 줄로 조밀하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3.0~3.5mm이고, 꽃이 두 개 들어 있고, 아래쪽 소화는 양성이고, 위쪽의 것은 불염성이다. 두 포영은 맥이 한 개 있고, 제2포영은 까락이 있다. 호영은 길이 3mm 정도이며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고, 중간에서 길이 10~15mm의 까락이 달리며,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아메리카대륙 열대지역 원산인 귀화식물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에 나며, 일본, 중국, 북미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전체 꽃차례에 가지가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는 것이 특징이며, 우산잔디와는 작은이삭에 두 개의 꽃이 들어 있고, 포영과 호영에 긴 까락이 있는 점이 다르다.
동정키우산잔디속(Cynodon)식물에 비해 소수는 2개의 소화로 이루어지며 포영과 호영에 까락이 발달한다.
참고문헌1) Manual of Korean Grasses (이영노, 1996),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3)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4)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5)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외래식물
검색된 식물 1

식물이름 학명
나도바랭이 Chloris virgata Sw.   벼과   나도바랭이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