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토끼풀, 정향풀,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개벼룩, 해당화, 덩굴장미,

달맞이꽃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 은하수

    은하수

  •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 habal

    habal

  •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 塞翁之馬

    塞翁之馬

  • 두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Yellow
바늘꽃과(Onagraceae)
달맞이꽃속(Oenothera)
국명달맞이꽃(외래식물)
학명Oenothera biennis L.
별명금달맞이꽃, 향대소초, 아래향, 월견초, 돼지풀(강원 영월)
원산지남아메리카 칠레 원산이다.
분포▶전국 각지에 분포한다.▶북미, 일본, 중국등에 분포
전체크기높이 50~90cm이다.
형태
  • 근엽은 로제트를 만들고 경엽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5~15cm, 나비 5~12m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직접 줄기에 달리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고 주맥은 희다.
  • 꽃은 7월에 황색으로 피고 위쪽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저녁에 피었다 아침에 시든다. 꽃받침조각은 4개가 2개씩 합쳐지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은 4개로 끝이 파지며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4개로 갈라지며 씨방은 원뿔모양으로 털이 있다.
  • 과실은 삭과로 곤봉형이며 길이 2~3cm이고 4개로 갈라진다.
  • 줄기는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와 곧추 선다. 전주에 잔털이 밀생한다.
  • 굵고 곧은 뿌리가 있다.
서식지물가, 길가, 묵밭에 많이 난다.
개요도금양목 바늘꽃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길가, 물가, 묵밭 등에 나는 두해살이풀로, 키는 0.3-1.2m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분지하지 않거나 약간 분지하며, 전체에 단세포 세경선모 및 단세포 장연모가 분포하고, 기부가 융기된 다세포 장연모가 다소 섞여난다. 잎은 경생 및 로제트상으로 근생하며, 양면에 다소 압착된 단세포 세경선모가 분포하고, 엽맥을 따라 단세포 장연모가 다소 밀생한다. 엽병은 길이 0.6-1cm이다. 경생엽의 엽신은 피침형 내지 좁은 타원형 또는 좁은 도피침형으로, 엽선은 예두 내지 점첨두이며, 엽저는 유저이고, 가장자리에 소수의 예거치가 있다. 로제트상 근생엽은 성숙하면 대개 말라 없어지며, 엽신은 도피침형으로, 엽선은 예두, 엽저는 유저 내지 좁은 설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치아상 거치가 있다. 화서는 정생하며, 수상화서로, 꽃이 조밀하게 달리고, 직립하며, 대개 분지하지 않고, 화축에는 단세포 세경선모 및 단세포 장연모가 분포하며, 간혹 다세포성 기부가 융기되어 있는 장연모와 단세포 선모가 함께 분포한다. 꽃은 저녁에 개화하고, 화탁통은 2.5-4cm이며, 표면에 단세포 장연모 및 선모가 분포하고, 특히 자방 부위에 밀생한다. 악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화판은 황색이며, 주황색으로 변하고, 넓은 도란형으로, 요두이다. 주두는 개화 시 약에 둘러싸인다. 삭과는 피침형으로, 상부가 좁아지고, 표면에 단세포 세경선모, 다소 굽은 단세포 장연모 및 선모가 분포하며, 간혹 기부가 융기된 다세포 장연모가 섞여 난다. 종자는 암갈색 내지 흑색이고, 3각기둥형으로, 종피에 불규칙적인 미세한 홈이 발달한다. 남미 원산으로 귀화식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근연종*▶큰달맞이꽃(O. lamarkiana): 잎이 도란상 피침형이며 가지끝이 화수(花穗)를 이루고 삭과에 털이 없다.
동정키귀화식물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외래식물
등록된 식물 417

식물이름 학명
유럽장대 Sisymbrium officinale (L.) Scop. var. officinale   십자화과   노랑장대속  
가는잎털냉이 Sisymbrium altissimum L.   십자화과   노랑장대속  
긴갓냉이 Sisymbrium orientale L.   십자화과   노랑장대속  
대부도냉이 Lepidium perfoliat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다닥냉이 Lepidium apetalum Willd.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콩다닥냉이 Lepidium virginic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들다닥냉이 Lepidium campestre R.Br.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국화잎다닥냉이 Lepidium bonariense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좀다닥냉이 Lepidium ruderale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큰키다닥냉이 Lepidium latifolium L.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털다닥냉이 Lepidium pinnatifidum Ledeb.   십자화과   다닥냉이속  
길다닥냉이 Lepidium densiflorum   배추과   다닥냉이속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L.   배추과   다닥냉이속  
다북개미자리 Scleranthus annuus L.   석죽과   다북개미자리속  
달맞이꽃 Oenothera biennis L.   바늘꽃과   달맞이꽃속  
큰달맞이꽃 Oenothera erythrosepala Borbas   바늘꽃과   달맞이꽃속  
애기달맞이꽃 Oenothera laciniata Hill   바늘꽃과   달맞이꽃속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A.Love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고깔닭의장풀 Commelina benghalensis Linnaeus   닭의장풀과   닭의장풀속  
누운닭의장풀 Commelina caroliniana Walter   닭의장풀과   닭의장풀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