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섬말나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 통통배

    통통배

  •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 무어

    무어

  • 섬말나리(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 무어

    무어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Reddish yellow
백합과(Liliaceae)
백합속(Lilium)
국명섬말나리(한반도특산식물)(희귀멸종위기 식물 : VU 취약종)
학명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별명성인봉나리
원산지한국
분포중국 /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전체크기높이 50-100cm
형태
  • 몇 층의 윤생엽과 작은 어긋나기엽이 달린다. 윤생엽은 6-10개씩 달리고 길이 10-18cm, 폭 2-4cm로서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어긋나기엽은 윤생엽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에서 점점 작아져 윗부분의 포와 연결된다.
  •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끝과 가지끝에 1개씩 달려서 4-12개가 밑을 향해 핀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이며 두꺼운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길이 3-4cm로서 붉은 빛이 도는 황색이며 안쪽에 검붉은색 반점이 있고 뒤로 말린다. 밀구(蜜溝)에 털이 없고 씨방이 암술대보다 짧다.
  • 열매는 삭과로 지름 2.5-3.5cm로서 둥글고 9월에 결실한다.
  • 원줄기는 높이 50-100cm이다.
  • 비늘줄기는 달걀모양이고 약간 붉은 빛이 돌며 간혹 관절이 있다.
서식지울릉도에서 낙엽수가 울창하게 자란 그늘진 낙엽수림 하부의 완만한 경사면에서 널리 생육한다. 산마늘이나 큰두루미꽃 등과 함께 자란다.
개요산과 들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원줄기는 높이 70~150cm가량 곧추서서 자란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또는 둥근 모양으로 지름 3.5~7.0cm, 비늘조각이 조금 성글게 붙고, 땅 위로 나온 부분은 약간 붉은색을 띤다. 잎은 줄기에 1~3층으로 6~10장씩 돌려나며, 그 위에 어긋난 잎이 붙고, 피침형, 길이 10~20cm, 폭 2~4cm, 잎줄이 3~4개, 윤이 난다. 꽃은 6~7월에 주황색으로 피는데 원줄기의 끝과 가지 끝에서 4~12개씩 아래를 향해 달리며,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이고, 향기가 있다. 화피는 6개로 길이 3~4cm, 폭 1.0~1.5cm의 피침형이며 뒤로 둥글게 말리고, 안쪽에 검붉은 반점이 있다. 수술은 6개, 화피보다 훨씬 짧다. 꽃밥은 화피와 같은 색이다. 씨방은 암술대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이며 지름 2.5~3.5cm로 둥글다. 한반도 북부지역, 경상북도 울릉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우리나라 백합속 식물들에 비해 전체가 크고,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별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섬나리라고도 한다.
근연종* 말나리
동정키울릉도 특산식물이며 보통의 말나리에 비해 꽃에 황색빛이 더 많이 돌고 구가 조금 더 크다. 종명은 유명한 원예연구가인 Hanson을 기념하여 붙여졌다. 자생나리류 가운데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46

식물이름 학명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H.Lev.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미치광이풀 Scopolia parviflora (Dunn) Nakai   가지과   미치광이풀속  
울릉바늘꽃 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   바늘꽃과   바늘꽃속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Nakai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태백바람꽃 Anemone pendulisepala Y. N. Lee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모란바위솔 Orostachys saxatilis (Nakai) Nakai   돌나물과   바위솔속  
정선바위솔 Orostachys chongsunensis Y.N.Lee   돌나물과   바위솔속  
진주바위솔 Orostachys margaritifolia Y.N.Lee   돌나물과   바위솔속  
포천바위솔 Orostachys latielliptica Y.N.Lee   돌나물과   바위솔속  
백운배나무 Pyrus hakunensis Nakai   장미과   배나무속  
섬백리향 Thymus quinquecostatus ?elak. var. magnus (Nakai) Kitam.   꿀풀과   백리향속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백합과   백합속  
긴다람쥐꼬리 Huperzia jejuensis B.-Y.Sun & J.Lim   석송과   뱀톱속  
설령버들 Salix cacuminis A.K.Skvortsov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제주산버들 Salix blinii H.Lev.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둥근범꼬리 Bistorta globispica Nakai   마디풀과   범꼬리속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Nakai   장미과   벚나무속  
복사앵도나무 Prunus choreiana Nakai ex Handb.   장미과   벚나무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