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말발도리, 단풍나무, 정향풀, 황기, 토끼풀, 물참대, 미나리냉이, 실별꽃, 해당화, 층층나무, 박태기나무, 왕벚나무, 팽나무,

섬쥐똥나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낙엽 활엽 관목.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 or ivory
  • 총상화서,
물푸레나무과(Oleaceae)
쥐똥나무속(Ligustrum)
국명섬쥐똥나무(한반도특산식물)
학명Ligustrum foliosum Nakai
원산지한국.
분포울릉도에 분포한다.
전체크기높이는 1-3m 정도에 이른다.
형태
  •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달걀모양, 도란상 타원형,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길이 1-6cm, 폭 0.7-3cm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 꽃은 6월에 피며 일년생가지 끝의 복총상꽃차례에 달리고 꽃자루가 거의 없으며 꽃차례는 길이 8cm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잎 같은 포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술잔모양이며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종모양꽃부리로 길이 6mm이며 판통은 길이 3-4mm이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꽃밥과 열편의 길이가 거의 같다.
  • 열매는 장과상 핵과로 난상 원형이고 길이 6-7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 높이 1-3m이고 일년생가지는 털이 약간 있다.
서식지산야에서 흔히 자란다.
개요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이다. 높이는 1~3m에 이른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매우 뾰족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의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흰색이고 겹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길이 약 6mm의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씨 또는 꺾꽂이로 번식한다. 가지치기가 잘되어 조경수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잎의 형태에 의한 한 품종으로 보려는 견해도 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해안가 산지 중턱 이상의 숲 가장자리에 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1~3m 정도로 자란다. 어린가지에 잔털이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6cm, 폭 0.7~3cm의 도란형, 도란상 타원형, 좁은 타원형, 피침형이며 잎끝과 밑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앞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 같은 꽃싸개가 달린 겹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길이 6~7mm 정도의 달걀형이며 10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이 종은 왕쥐똥나무에 비해 잎 뒷면의 맥이 오목 들어가지 않고 전부 잎이 떨어지며 꽃차례에 잎 같은 꽃싸개잎은 많아 구별된다.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근연종* ▶둥근잎섬쥐똥나무 (for.ovale NAK.) : 잎이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매우 뾰족하다.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3)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1

식물이름 학명
섬쥐똥나무 Ligustrum foliosum Nakai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