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천마, 황기,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실별꽃, 낙우송, 은행나무, 백목련, 철쭉,

은꿩의다리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 추풍

    추풍

  •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 塞翁之馬

    塞翁之馬

  •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 고들빼기

    고들빼기

  •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 둥근바위솔

    둥근바위솔

  •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 고들빼기

    고들빼기

  • 여러해살이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white,red
  • 원추화서,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꿩의다리속(Thalictrum)
국명은꿩의다리(한반도특산식물)
학명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별명은가락풀,음지가락풀,쩌른꿩의다리,참가락풀,참꿩의다리
원산지한국
분포중부이남
전체크기높이 30~60cm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기나 위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고 2~3회 3출엽이다. 소엽은 길이 1~4cm, 나비 1~3cm로 얇은 지질이고 넓은 달걀모양, 네모진 타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결각상 톱니가 있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 꽃은 7월에 홍백색으로 피며 양성으로 줄기 끝에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이 없고 꽃받침조각은 4개로 조락성이며 수술은 많고 환상배열한다.
  • 과실은 수과이고 3~4개씩 달리며 대가 없고 좁은 달걀모양으로 능선이 없다.
  • 줄기는 곧추서고 전체에 털이 없다.
서식지산지
개요산지의 숲속의 돌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6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며 약간 단단하다. 잎은 어긋나고 2~3회 세 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길이 1~4cm의 넓은 달걀형 또는 네모난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깊고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붉은빛이 도는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열매는 좁은 달걀 모양의 수과이며, 9~10월에 익는데 열매꼭지가 없고 세로로 골이 있으며 끝이 점점 뾰족해져 부리 모양이 된다. 우리나라 경기도, 충청북도 등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한국산 꿩의다리속의 종들은 대부분 작은잎의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발달하고, 끝이 둔한 반면, 은꿩의다리는 작은잎의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발달하고, 잎끝이 뾰족한 점에서 쉽게 구별된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참꿩의다리, 쩌른꿩의다리, 참가락풀, 음지가락풀이라고도 부른다.
근연종*꿩의다리 : 은꿩의다리보다 턱잎이 넓다.
동정키http://www.wildgreen.co.kr/class/346268
http://www.wildgreen.co.kr/class/335783
참고문헌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74

식물이름 학명
은사시나무 Populus × tomentiglandulosa T.B.Lee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은꿩의다리 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var. brevistylum Nakai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울진노루오줌 Astilbe uljinensis B.U.Oh & H.J.Choi   범의귀과   노루오줌속  
울릉포아풀 Poa ullungdoensis I.C.Chung   벼과   포아풀속  
울릉제비꽃 Viola ulleungdoensis M.Kim & J.S.Lee   제비꽃과   제비꽃속  
울릉솔송나무 Tsuga ulleungensis G.P.Holman, Del Tredici, Havill, N.S.Lee & C.S.Campb.   소나무과   솔송나무속  
울릉산마늘 Allium ulleungense H.J.Choi & N.Friesen   백합과   부추속  
울릉바늘꽃 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   바늘꽃과   바늘꽃속  
울릉꽃장포 Tofieldia ulleungensis H. Jo   백합과   돌창포속  
울릉국화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ucida (Nakai) Pak   국화과   산국속  
우산제비꽃 Viola woosanensis Y.N.Lee & J.Kim   제비꽃과   제비꽃속  
우산마가목 Sorbus ulleungensis   장미과   마가목속  
우단꼭두서니 Rubia pubescens Nakai   꼭두선이과   꼭두서니속  
요강나물 Clematis fusca Turcz. var. flabellata (Nakai) J.S.Kim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Maxim.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왕골무꽃 Scutellaria pekinensis var. maxima   꿀풀과   골무꽃속  
완도호랑가시나무 Ilex × wandoensis C.F.Mill. & M.Kim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Uyeki   현삼과   오동속  
영도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 var. microphyllus (Nakai) Kud?   꿀풀과   산박하속  
연지골무꽃 Scutellaria indica L. var. coccinea S.T.Kim & S.T.Lee   꿀풀과   골무꽃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