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장미, 해바라기, 정향풀, 토끼풀, 은방울꽃, 황기, 융단사초,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좀새포아풀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이다.
  • 원추화서,
벼과(Poaceae)
포아풀속(Poa)
국명좀새포아풀(한반도특산식물)
학명Poa deschampsioides Ohwi
분포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초원에 난다.
전체크기키는 30㎝이내이다.
형태
  • 잎몸은 길이 5㎝,폭 2.3㎜로 표면은 꺼칠꺼칠하고, 잎혀는 길이 1㎜내외이다.
  • 원뿔모양꽃차례는 달걀모양으로 대체로 성기게 달리고, 매끈하며 길이 5-6㎝로 자주색이다. 작은 이삭은 길이 4.5-5㎜고 낱꽃은 3-5송이이다. 호영은 서로 다르고 막질이며 끝이 날카롭고 윗부분이 꺼칠꺼칠하며 3맥으로 가장자리는 투명하다. 제 1호영은 길이 3㎜, 제 2호영은 길이 3.5㎜이고 외영은 길이 3.5㎜,5맥이고 배 부분과 가장자리 맥에 긴 누운 털이 밀생한다. 밑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길이 3.4㎜, 용골은 2개로 연모가 있다. 수술은 3개이고 꽃밥의 길이 1.8㎜, 낱꽃축은 길이 1㎜이며 긴 털이 있다.
  • 줄기는 성기게 모여 달리고, 밑은 길고 가냘프다. 마디는 1-2개로 털이 있다.
개요고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5~30cm이다. 줄기는 성글게 모여 달리며 아랫부분이 길고 가냘프며 마디는 1~2개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 잎은 길이 5cm, 폭 2.3mm이고 윗면은 거칠거칠하다. 잎혀는 길이 1mm 정도이다. 꽃은 6~7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는데 길이 5~6cm의 난형이고 매끈하며 자주색이고 대체로 성글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4.5~5mm이고 3~5개의 소화가 들어 있다. 포영은 서로 다르고 막질이며 끝이 날카롭고 윗부분이 거칠거칠하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는 투명하다. 제1포영은 길이 3mm이고 제2포영은 길이 3.5mm이다. 외영은 5개의 맥이 있고 배 부분과 가장자리 맥에 긴 누운털이 밀생하며 기부에 구불구불한 솜털이 있다. 내영은 용골이 2개이고 연모가 있다. 수술은 3개이다. 소화축은 긴 털이 있다. 한반도 북부지역 함경남도 두류산, 차일봉, 함경북도 관모봉 등에 분포한다. 식물체의 높이가 30cm 이내로 작고, 잎혀의 길이가 1mm 이내로 작으며, 땅속줄기가 없는 점에서 속 내 유사종과 구분된다. 묏꾸러미풀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13

식물이름 학명
지리산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chiisanensis Ohwi   벼과   김의털속  
좀새포아풀 Poa deschampsioides Ohwi   벼과   포아풀속  
울릉포아풀 Poa ullungdoensis I.C.Chung   벼과   포아풀속  
신이대 Sasa coreana Nakai   벼과   조릿대속  
수염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chosenica Ohwi   벼과   김의털속  
섬포아풀 Poa takeshimana Honda   벼과   포아풀속  
물억새아재비 Miscanthus wangpicheonensis T.I. Heo & J.S. Kim   벼과   억새속  
문수조릿대 Arundinaria munsuensis Y.N.Lee   벼과   해장죽속  
두메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koreanoalpina Ohwi   벼과   김의털속  
낭림새풀 Calamagrostis subacrochaeta Nakai   벼과   산새풀속  
금강포아풀 Poa kumgansanii Ohwi   벼과   포아풀속  
장억새 Miscanthus changii Y.N.Lee   벼과   억새속  
제주조릿대 Sasa palmata (Bean) Nakai   벼과   조릿대속  

  • 1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