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단풍나무, 산딸나무, 느티나무, 황기, 벚나무, 팽나무, 향나무, 회화나무, 실별꽃, 낙우송, 천마, 은행나무, 백목련, 철쭉,

진도하늘지기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국명진도하늘지기(한반도특산식물)
학명Fimbristylis jindoensis J. Kim and M. Kim
분포한국특산(전남)
개요다년생. 근경은 직경 1.5-2.5mm이고, 길게 옆으로 벋으며, 피침형 또는 난형의 인편에 싸인다. 줄기 단면은 편평한 삼릉형이고, 높이는 57-93cm이다. 잎 3-5개이고, 줄기보다 길이가 짧거나 같으며, 엽신은 길이 7-51cm, 너비 1-3mm이다. 미세한 잔톱니가 있고, 엽설은 매우 짧다. 포엽 2-4개이고, 길이는 1.7-10.2cm이며, 곧추선다. 화서보다 길이가 짧거나 드물게 길고, 아래 부분은 넓으며,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톱니가 있다. 화서 복합 인상화서, 길이 2.2-8cm이고, 약 20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 장타원형, 좁은 난형, 혹은 난형이고, 길이는 4.2-7.2mm이며, 너비는 1.2-1.7mm이다. 5-15개 정도의 소화가 달리고, 끝은 예두이다. 인편 밝은 갈색이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는 2.8-3.6mm이다. 3맥이 있고, 등쪽은 녹색의 용골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막질로 백색이고, 끝은 둔두 혹은 예두이다. 수술 3개이다. 수과 흰색 또는 황백색으로 도란형이고, 길이 0.7-0.9mm이며, 미세한 사마귀모양의 돌기가 있다. 암술 자방은 도란형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며,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진다.전남 진도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신종 기재된 특산식물이다(Kim & Kim, 2015b). 자생지 내 개체수는 풍부한 편이나 개체군의 크기가 매우 작고, 개체군의 수도 적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 방안 수립 및 추가적인 자생지 파악이 필요하다. 줄기에 세로로 3-5개의 줄무늬가 있고, 털이 없으며, 소수가 20개 이상으로 여러 번 갈라지는 복합 인상화서인 점으로 근연분류군인 들하늘지기(F. pierotii)와 구별된다.Habit Wet lowland and mountain slopes. Perennials. rhizomes 1.5-2.5 mm in diam, long-creeping, covered with lanceolate or ovate scales. Stems flatly 3-angled, 57-93 cm tall. Leaves 3-5, shorter than to nearly as long as stem; ligule very short; leaf blade 7-51 cm long, 1-3 mm wide, margin finely serrulate. Involucral bracts 2-4, 1.7-10.2 cm long, suberect, shorter than inflorescence, base dilated, margin finely serrulate. Inflorescences compound anthela, 2.2-8 cm long, ca. 20 spikelets. Spikelets oblong, narrowly ovate or ovate, 4.2-7.2 mm long, 1.2-1.7 mm wide, 5-15-flowered, apex acute. Scales pale brown, broadly ovate, ca. 2.8-3.6 mm long, 3-veined, forming an abaxial green keel, margin membranous and white, apex obtuse to acute. Stamens 3. Achenes white or yellowish white, obovoid, 0.7-0.9 mm long, minute verrucose. Pistil ovary obovate, 3-sided; stigmas 3.
참고문헌한국식물 도해도감 4 사초과(2016)

한국특산식물
등록된 식물 346

식물이름 학명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B.U. Oh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깔끔좁쌀풀 Euphrasia coreana W.Becker   현삼과   산좁쌀풀속  
애기좁쌀풀 Euphrasia coreanalpina Nakai ex Y.Kimura   현삼과   산좁쌀풀속  
산좁쌀풀 Euphrasia mucronulata   현삼과   산좁쌀풀속  
털좁쌀풀 Euphrasia retroticha Nakai ex T.Yamaz.   현삼과   산좁쌀풀속  
너도밤나무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   참나무과   너도밤나무속  
삼도하수오 Fallopia koreana B.U.Oh & J.G.Kim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지리산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chiisanensis Ohwi   벼과   김의털속  
수염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chosenica Ohwi   벼과   김의털속  
두메김의털 Festuca ovina L. var. koreanoalpina Ohwi   벼과   김의털속  
진도하늘지기 Fimbristylis jindoensis J. Kim and M. Kim   사초과   하늘지기속  
개나리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만리화 Forsythia ovata Nakai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장수만리화 Forsythia velutina Nakai   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흰땃딸기 Fragaria nipponica Makino subsp. chejuensis Staudt & Olbricht   장미과   딸기속  
물들메나무 Fraxinus chiisanensis Nakai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참갈퀴덩굴 Galium koreanum (Nakai) Nakai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  
애기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for. pusillum (Nakai) M.Park   꼭두선이과   갈퀴덩굴속  
흰그늘용담 Gentiana chosenica Okuyama   용담과   용담속  
좀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 var. microphylla Nakai   용담과   용담속  

Guest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