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인기검색어 ▶
비비추, 정향풀, 말똥비름, 장미, 은방울꽃, 해바라기, 물참대, 층층나무, 괭이밥, 붉은병꽃나무, 동의나물, 박태기나무, 사과나무, 융단사초,

왕갯쑥부쟁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


  • 여러해살이풀이다.
  • ray flower is blue, tubiflorous is yellow
  • 두상화서,
국화과(Asteraceae)
참취속(Aster)
국명왕갯쑥부쟁이
학명Aster magnus Y.N.Lee & C.S.Kim
별명왕갯쑥부장이
원산지한국
분포한국(제주특별자치도 남부)
전체크기높이 30~60cm이다.
형태
  • 잎은 어긋나기하며, 두껍고, 털이 없으며, 근생엽은 주걱 모양이고, 윗부분은 이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다. 길이 15cm, 너비 5.7cm정도 이다. 줄기잎은 피침형, 위쪽으로 갈수록 차츰 작아지며, 길이 3.2~8.3cm, 너비 0.6~2.5cm이다.
  • 머리모양꽃차례는 자줏빛을 띤 파란색의 혀꽃과 노란색의 관상화로 되어 있으며, 지름 5~7cm이다. 총포는 포가 4~5줄로 배열되어 있고, 포는 위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며, 선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13mm, 너비 20mm 정도 이다.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다. 혀꽃은 피침형이고, 길이 3cm, 너비 5mm정도, 길이 4mm 정도의 갈색 관모가 있다. 관상화는 길이 11mm, 너비 2mm 정도, 길이 5mm 정도의 강모 같은 갈색관모가 있다.
  • 관상화의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2mm 정도, 미세한 털이 있다.
  • 줄기는 붉은 색을 띠고,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서며, 억세고, 가지를 많이 친다. 털이 없다.
서식지바닷가
개요바닷가 주변 산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30~6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털이 없다. 뿌리잎은 주걱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약간의 털이 있고 줄기잎은 피침형으로 위쪽으로 갈수록 차츰 작아진다. 꽃은 8~11월에 피는데 머리모양꽃차례는 자줏빛을 띤 파란색의 혀모양꽃과 노란색의 통모양꽃으로 되어 있으며, 지름 5~7cm다. 모인꽃싸개잎은 4~5줄로 배열되어 있고 위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진다. 혀모양꽃은 피침형이고, 길이 3cm, 너비 5mm 정도, 길이 4mm 정도의 갈색 우산털이 있다. 관모양꽃은 길이 11mm, 너비 2mm 정도, 길이 5mm 정도의 강모 같은 갈색 관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미세한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근연종*▶흰왕갯쑥부장이(for. albiflorus Y. Lee & C. Kim): 꽃이 흰색이다.
참고문헌1)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한국특산식물
검색된 식물 6

식물이름 학명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국화과   참취속  
추산쑥부쟁이 Aster × chusanensis Y.S.Lim   국화과   참취속  
섬쑥부쟁이 Aster pseudoglehnii Y.S.Lim   국화과   참취속  
단양쑥부쟁이 Aster danyangensis J.Y.Kim & G.Y.Chung   국화과   참취속  
눈갯쑥부쟁이 Aster hayatae H.Lév. & Vaniot   국화과   참취속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국화과   참취속  

  • 1

Guest

로그인